1.차영사.jpg

▲21일 오클랜드한인회 신년하례에서 차창순총영사(주오클랜드분관)가 재외선거신고·신청 접수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것을 당부하고 24일과 31일 이동접수장소를 안내했다. (사진=최성자 기자)

 

[굿데이 뉴질랜드] 부임 5개월이 막 지난 차창순 총영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신년하례를 통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재외선거신고·신청이 저조한 것에 대해 언급했다. 

 

차 총영사는 재외동포 차세대들과 모국과의 연결고리를 좀 더 강화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한민족에 대한 정체성 유지'로 들며 선거 참여의 중요성을 전했다.  차 총영사는 "문화는 사회의 개인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말을 쓰고, 같은 음식을 즐기며, 같은 문화와 전통 관습을 공유하면서 한민족 공동체를 유지하면, 어디에 살던 모국과 재외동포 차세대들과의 연결고리는 강화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재외선거.jpg

▲주오클랜드분관에 설치된 재외선거신고·신청 접수 안내 및 창구에서 담당자가 자료를 입력하고 있다. (사진=최성자 기자) 

 

그러면서 "시민들이 선거를 위해 직접 재외공관을 방문해서 직접 등록을 해야만 한다고 알고 있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며 "인터넷을 통해서 온라인 등록이 가능하다는 것을 더 많이 홍보를 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현재 재외국민 투표를 위해 오클랜드에선 내달 13일까지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이 진행 중이다. 때문에 공관은 동포 언론을 통한 홍보활동, 유권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동포행사에 참석해 이동사무소를 설치하고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을 신청 받고 있다. 

 

공관 관계자는 "이번 선거부터는 직접 분관에 오지 않더라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분들이 활용해서 신청을 하면 좋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선거법개정을 통해 우편과 온라인 접수를 처음 실시하는 이번 총선에 얼마나 많은 재외선거인들이 등록을 할지 주목되고 있다"고 밝혔다.

okja vote.jpg▲재외동표재단(이사장 조규형)과 재외동포언론인협회(회장 김훈)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공동 캠페인을 통해 막바지 홍보를 펼치고 있다  

 

한편, 재외동표재단과 재외동포언론인협회(이하 재언협)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공동 캠페인을 통해 막바지 홍보를 펼치고 있다. 

 

이를 위해 재언협은 각 회원사들을 위해 5가지 양식의 신문광고 디자인과 TV용 방송파일을 제작 배포하고 기사를 통해 재외국민들의 유권자 등록 열기를 끌어올려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4·13총선의 선거인 등록 마감은 2월 13일로 이제 겨우 2주 남짓 밖에 남지 않았다.

 

2012년 총선에서 12만 명이 등록을 했던 것을 감안할 때 이번 총선은 2배에 달하는 25만 명선이 현실적 기대치라고 지난 가을 이재열 새누리당 재외국민국장은 재외동포언론인협회 2015 가을 국제 심포지엄에서 밝힌 바 있다. 

 

그동안 △복수국적 허용 연령 55세 하향 조절 △재외동포청 설립 등 재외동포들의 권익 향상 기반을 위해 목소리를 냈던 재외동포들의 적극적인 선거 참여로 권리와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선거 참여가 절실하다. 

 

재외선거도표.jpg

▲ 2016년 1월 11일 오전 7시 현재(한국시간)뉴질랜드와 호주 공관별 신고·신청 접수현황 

 

1월 27일 현재 뉴질랜드는 예상 선거권자 1만3,456명 중 456명이 등록을 했다. 

 

온라인 및 전자우편 접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http://ova.nec.go.kr 또는 http://ok.nec.go.kr), 재뉴대한민국대사관 전자우편 (ovanewzealand@mofa.go.kr) 또는 오클랜드총영사관 전자우편(ovauckland@mofa.go.kr)

 

※ 필요한 서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우편, 전자우편을 이용한 신청자의 경우 투표 시에는 반드시 신분증명서와 국적 확인에 필요한 서류의 원본을 제시하여야 하며, 국외부재자 신고 및 재외선거인 등록신청의 세부절차?방법, 신고?신청서식 및 신고?신청 접수용 전자우편 주소 등은 중앙선관위의 홈페이지(?http://ova.nec.go.kr 또는 http://ok.nec.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캠페인은 재외동포재단과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가 함께 합니다.

vote3 copy.jpg

http://www.goodday.co.nz/news/209992

 

이 기사는 내외뉴스통신과 내외경제TV에 게재되었습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43 호주 동포자녀 유소년-청년들 스포츠 행사 연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842 뉴질랜드 제17기 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협의회 통일 워크샵 개최 - 자문회의 역할과 차세대 통일교육방안에 대한 토론 발표회 가져 굿데이뉴질랜.. 16.01.29.
» 뉴질랜드 겨우 15일 남은 4·13총선 재외선거 신고·신청일 막바지 등록 위해 총력 다 하고 있지만…턱없이 저조한 상태 굿데이뉴질랜.. 16.01.29.
1840 호주 재외 유권자 등록 마감, 1주일 앞으로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9 호주 ‘한지’를 통해 매력적인 한국문화를 만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8 호주 파워하우스뮤지엄, 한국 현대 도자기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7 호주 재외국민 투표참여 독려, 재외언론인들 나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1836 뉴질랜드 재외선거인 등록 D-8, 턱없이 부족한 해외 홍보 뉴질랜드는 두 번의 황금주말 연휴 겹쳐 실제 등록일 겨우 5일 남아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1.
1835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확장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4 호주 시드니 한인회, 재해 피해 동포 위한 모금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3 호주 김봉현 대사, 프라이덴버그 장관 면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2 호주 시드니재외선관위, 투표소 설치장소-운영기간 의결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1 호주 “한국 내외 국민-동포들, 다함께 도약 이끌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1830 뉴질랜드 4·13 총선 재외선거인신고 신청률, 19대 대비 27% 증가…재외유권자 수의 8% file 굿데이뉴질랜.. 16.02.18.
1829 호주 김봉현 대사, 캔버라 다문화 축제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8 호주 제20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신고·신청 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7 호주 시드니 최초, ‘한지문화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6 호주 “한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돼 너무 기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1825 호주 주호주 대사관 직원, 면세품 초과 구매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6.02.25.
1824 호주 “한국의 고급문화 선보인 것이 가장 큰 의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