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Australian Bight 1).jpg

하늘에서 내려다 본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Great Australian Bight). 이곳의 남쪽 372킬로미터 지점에서 원유탐사를 추진했던 노르웨이 자원개발 회사 ‘에퀴노르’(Equinor)가 최근 계획 포기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ABC

 

탐사 환경승인 받은 노르웨이 기업 ‘에퀴노르’, ‘탐사포기’ 배경은 ‘상업적 이유’

BP-Chevron 사에 이어 세 번째... 연방 자원부는 ‘지속적 탐사’ 의지 표명

 

서부 호주(WA)의 노스만(Norseman)에서 남부 호주(SA)의 포트어거스타(Port Augusta) 사이의 1천660킬로미터를 잇는 에어 하이웨이(Eyre Highway)는 눌라보 평원(Nullarbor Plain)을 통과하는 장거리 도로로, 이 구간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긴 직선코스 철로(longest straight section of railway in the world, 478km), 그리고 또한 호주에서 가장 긴 일직선 포장도로(longest straight section of tarred road in Australia. 146km)가 있다.

아웃백 여행자들에게 인기 있는 눌라보 평원의 명성은 에어 하이웨이를 지나며 만날 수 있는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Great Australian Bight)가 자리하기 때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호주의 웅장한 자연 풍경, 지리적 특성을 간직한 이 거대한 만(bay)은 곤드와나(Gondwana supercontinent, 수백만 년 전 지구 남반구에 있었던 거대 대륙의 명칭으로 지금의 아라비아, 남미,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등이 한 대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가 약 5천만 년 전, 호주에서 남극이 분리될 때 생겨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이하 ‘the Bight’)의 해안선은 바다에서 약 60미터의 절벽이 110km가량 이어진 곳이며, 겨울이면 남극 가까운 곳의 고래들이 추위를 피해 찾아오고 번식을 하는 주요 해양생태 지역이기도 하다.

반면 근래에는 거대 자원개발 회사들이 이곳의 바다에서 원유를 확보하려 시도했다가 연이어 시추 계획을 포기한 사례도 이어진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세 번째로 이 지역에서 지원탐사 시추작업을 계획했던 노르웨이 기반의 다국적 에너지 회사 ‘에퀴노르’(Equinor) 사가 최종 포기를 결정한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종합(Australian Bight 2).jpg

에퀴노르의 원유탐사에 대한 정부의 환경승인이 허가되자 호주 환경단체들은 이에 반발, ‘the Bight’ 보호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 사진은 남부 호주 해안 타운인 빅터 하버(Victor Harbor) 거주민들의 원유탐사 반대 캠페인. 사진: ABC

 

지난주 2월 25일(화) 호주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에퀴노르의 탐사계획 ‘포기’는 다른 지역의 자원탐사에 비해 “상업적으로 경쟁력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에퀴노르는 지난해 12월, 호주는 물론 자국인 노르웨이 환경단체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 ‘the Bight’ 남쪽 372킬로미터 지점에서 해저 원유탐사를 위한 환경 승인을 얻은 바 있다. 이후 에퀴노르는 이 지점, 2.5킬로미터 깊이의 해저에서 진행할 원유탐사 시추를 추진해 왔다. 앞서 이 지역에서의 원유 탐사는 지난 2016년 영국 기반의 다국적 오일-가스 회사인 BP가 계획했다가 포기한 바 있으며, 이듬해에는 미국의 다국적 오일회사 ‘Chevron Corporation’이 도전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에퀴노르는 “서부 호주(WA) 지역에서의 자원 탐사 허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호주 각 지역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탐사 활동을 유지할 것”이라며 ‘the Bight’ 앞 바다의 원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해 12월, 에퀴노르의 프로젝트에 대해 환경승인이 허가되자 올 1월, 호주의 비정부 자연보호기구인 ‘Wilderness Society’는 이를 허가해 준 관련 정부기구 ‘National Offshore Petroleum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uthority’(NOPSEMA)를 대상으로 법적 대응에 착수한 바 있다.

NOPSEMA의 환경승인 내용은 에퀴노르로 하여금 2020-21년 또는 2021-22 회계연도 11월에서 4월 사이 하루 24시간, 60일 동안 탐사 시추작업을 할 수 있음을 허가하는 것이다.

이 환경승인 이후 해양생태계에 치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원유 발굴을 우려한 환경단체들은 자원탐사를 격렬하게 반대해 왔다. ‘Wilderness Society’의 피터 오웬(Peter Owen) 대표는 “모든 호주인들이 심해 원유탐사에 크게 우려하고 있다”면서 “BP, 쉐브론 사처럼 에퀴노르로 하여금 ‘‘the Bight’에서의 원유탐사 계획을 철회하게 만든 것은 멋진 일”이라고 말했다.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는 원유시추 계획 철회에 대해 “호주의 해안 지역 공동체, 전통적 토지소유자인 원주민 커뮤니티, 호주 및 전 세계 서퍼(surfer)들, 해산물 사업자, 기타 지역 비즈니스 모두에게 있어 더할 나위없는 승리”라고 평가했다.

그린피스의 호주-태평양 지역 책임자인 데이빗 리터(David Ritter) 대표 역시 “호주 해안 공동체와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의 독특한 해양생태계를 보호하는 유일한 길은 원유 탐사를 영구히 배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Australian Bight 3).jpg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 앞 해저에서의 탐사 과정에서 원유가 유출될 경우의 잠재적 위험을 보여주는 모델링. 이 지역은 호주 해안의 주요 고래 번식지이자 다양한 해양생태계를 간직한 곳이다. (소스: Equinor)

 

호주 연방 정부,

‘자원’에 대한 미련 ‘여전’

 

에퀴노르가 이 지역에서의 원유탐사를 계획하면서 자체적으로 위험 상황을 모델링한 결과 탐사 작업이 잘못되어 원유가 유출될 경우 서쪽으로는 알바니(서부 호주 퍼스에서 남쪽으로 약 420킬로미터 지점)에서 동쪽으로는 NSW 주 북부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 시드니에서 북쪽으로 400킬로미터 지점)까지 흘러갈 위험이 있다고 분석된 것으로 알려졌다.

에퀴노르가 원유탐사를 포기한 것에 대해 호주 및 국제 환경단체들의 ‘환영’에도 불구하고 연방정부는 이 지역의 자원에 대한 미련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키이스 피트(Keith Pitt) 자원부 장관은 에퀴노르의 결정에 “실망스럽다”면서 “하지만 향후 탐사 계획을 계속 지지할 것”임을 밝혔다.

피트 장관은 “에퀴노르가 원유탐사를 포기한 것에 많은 이들이 실망하고 있으며, 남부호주(South Australia) 주 정부 입장에서도 (경제적 측면에서) 마찬가지 일 것”이라면서 “자유-국민 연립 정부는 해양 원 자원의 안전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관은 이어 “이 지역의 새로운 원유 및 가스 자원탐사 제안은 공정하고 독립적으로 평가될 것”이라는 정부의 입장을 옹호했다.

에퀴노르의 원유탐사 계획을 지지했던 남부 호주(SA), 캥거루 아일랜드(Kangaroo Island) 지방의회의 마이클 펜길리(Michael Pengilly) 시장은 에퀴노르의 탐사계획 철회가 “타당한 비즈니스 결정”이라고 자신의 의견을 밝히면서 “애초 이 지역에 어떤 자원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였지만, 그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이 잠재적 이점보다 크기에 포기를 결정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인적으로 원유 탐사에 대해) 문제 삼지 않았으며 이는 전적으로 독립 규제기관의 판단에 달린 것이었다”면서 “이들이 탐사를 통해 원유나 가스를 발견했다면, 이는 국익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펜길리 시장은 환경단체들이 에퀴노르의 프로젝트에 대해 ‘환경파괴에 대한 두려움’(fear campaign)을 이유로 반대 캠페인을 전개했지만 이에 동조하지 않은 캥거루 아일랜드 주민들도 많았다고 전했다.

 

종합(Australian Bight 4).jpg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안 바이트에서의 원유탐사 프로젝트는 노르웨이 환경 운동가들에게서도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오슬로(Oslo)에서 패들보트 시위를 벌이는 노르웨이 환경단체 회원들. 사진: Hallvard Kolltveit

 

노르웨이 환경운동가들도

the Bight’ 앞 원유 탐사 ‘반대’

 

에퀴노르는 노르웨이 정부가 67%의 지분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 회사의 원유탐사 계획은 노르웨이 환경단체들에게서도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지난해 5월 오슬로(Oslo)에서는 노르웨이의 환경운동 활동가들이 원유탐사를 반대하며 패들보트를 타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the Bight’ 원유탐사에 대해 노르웨이의 지지자들은 경제적 이익을 앞세웠지만, 반대자들은 BP가 진행하던 멕시코 만(Gulf of Mexico) 원유 유출 사고(2004년과 2010년 두 차례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BP는 미국 정부에 45억 달러의 벌금을 물어야 했다)와 이로 인해 수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을 들어 반대를 표명했다.

‘호주 석유생산 및 탐사협회’(Australian Petroleum Production and Exploration Association)는 에퀴노르의 탐사 포기로 이 지역에서의 자원시추를 어느 회사가 다시 추진할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동 협회의 매튜 도만(Matthew Doman) 회장은 “원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다는 것은 알지만 분명하지 않은 것은 상업적 생산 가능성”이라고 덧붙였다.

남부 호주(SA) 기반의 녹색당(Green Party) 소속 사라 핸슨-영(Sarah Hanson-Young) 상원의원은 “남부호주 주민들의 압도적 숫자가 에퀴노르의 계획을 지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핸슨-영 의원은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라안 바이트는 원시 바다와 고래 번식지로서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면서 “이 지역의 전통적 토지소유자인 ‘머닝’(Mirning) 원주민 부족, 자연보호 단체인 ‘Great Australian Bight Alliance’가 제안한 원유탐사 관련 공식 협의 요청을 에퀴노르가 거절한 바 있다”고 비난했다.

앞서 에퀴노르는 환경승인 단계에서 전통적 토지소유 원주민 부족인 이 지역의 방갈라(Barngarla), 나룽가(Narungga), 나오(Nauo), 위랑구(Wirangu) 부족 지도자들과 만났지만 머닝과 은가린제리(Ngarrindjeri) 부족의 경우에는 탐사계획에 대한 공개의견 수렴 대상이 아니어서 배제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Australian Bight 1).jpg (File Size:94.7KB/Download:37)
  2. 종합(Australian Bight 2).jpg (File Size:72.5KB/Download:38)
  3. 종합(Australian Bight 3).jpg (File Size:74.3KB/Download:42)
  4. 종합(Australian Bight 4).jpg (File Size:72.4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