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식품 인증 '코셔'의 근원은 구약 성경
 
korsher.jpg
▲ 월마트 브랜드인 샘스 크렌베리 주스에 코셔 마크인 OU표시가 있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미국 식품 시장에는 유대인 식품 인증서인 ‘코셔’(Kosher) 마크를 달고 있는 식품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코셔는 본래 유대인의 종교에 근거한 식품 준비 및 조리법이었으나 현재는 유대인뿐 아니라 미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요건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광우병 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소비자들이 코셔 식품을 찾고 있을 뿐 아니라 90년도부터 시작된 웰빙 트렌드도 역시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목표로 하는 코셔 제품의 소비를 증가 시키고 있다.

코셔 제품은 유대교 교파에서 성경을 바탕으로 교파에 맞는 식품 준비 및 조리 방법으로 요리된 식품에 국한되었으나 이제는 일반 소비제품까지 확대되고 있다. 즉 코셔 제품은 이제 범 소비자 제품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고, 코셔마크 역시 유대교법에 국한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청결한 제품이라는 인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단계이다.

코셔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코셔 인증 제품을 원료로 사용해야 하며 식품 가공단계에서 사용되는 기계와 조리법이 코셔 기준에 부합해야만 한다. 이같은 인증 절차를 따르려면 제품 회사들은 매년 일정액의 비용을 더 떠맡아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건강을 중시 여기는 현 소비 패턴과 안전한 식품을 찾는 추세에 따라 현 미 주류 식품 시장에서 코셔 마크는 중요한 마케팅 툴로 작용되고 있다.

코셔 마크 중 가장 공신력 있는 ‘오소독스 유니온(Orthodox Union•OU)’ 인증 마크는 전체 코셔 제품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동그라미 O문자안에 U자가 들어가 있는 모양새인 코셔 마크는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제조업체들이 자사 상품에 인증을 받아 활용하고 있다.

코셔 식품은 유대인 음식법에서 출발

미국에서 유대인들이 밀집돼 있는 곳에선 '코셔 마켓(Kosher Market)' 이 들어서 있다. 특히 이곳에서는 유대교에서 요구하는 대로 취급된 음식을 주로 판매한다.

음식법은 구약성경 레위기의 율법을 기초로 하고 있다. 유대인은 음식법 '코셔릇' 에 의해 먹기 합당한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을 구별한다. 그리고 합당한 음식을 바로 '코셔' 라 부르는데 코셔는 문자적으로도 '합당한' 혹은 '적당한' 이란 뜻이다.

소고기는 규율이 요구하는 사료를 반드시 먹여야 함은 물론 병이 들거나 부상을 입은 소의 고기는 식용으로 판매할 수 없다. 소를 도살할 때는 머리에 총을 쏘지 못하며 반드시 목을 벤다. 목을 베어 도살하는 행위인 '셰히타' 는 희생제물 제도에 사용된 것으로 희생제사는 오래전 사라졌지만 유대인들은 계속 사용하고 있다.

도살 후에는 고기를 더운 물에 담그지 않고 찬물에 피를 씻어낸 다음 소금에 담가 처리한다. 이때 소금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살균과 함께 피를 우려내기 위함이다. 구약성경 레위기의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라는 말을 유념해서이다.

"너는 염소 새끼를 어미 젖으로 삶지 말지니라"

또 고기와 관련해 코셔 음식의 독특한 관례 중 하나는 유제품과 고기를 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구약성경 출애굽기의 "너는 염소 새끼를 어미 젖으로 삶지 말지니라" 라는 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말은 당시 이방 관습, 다산 의식, 혹은 사치를 배척하기 위한 것 등으로 풀이될 수 있으나 젖으로 키워진 새끼를 다시 젖으로 삶아 죽일 수 없다는 인도적인 뜻으로도 해석되어진다.

유대인들은 이 규정을 지나치게 적용한 나머지 우유 제품의 음식과 고기 음식이 절대 섞이지 않도록 철저하게 분리한다. 샌드위치도 야채와 치즈는 함께 사용하나 햄과 치즈는 사용하지 않는다. 치즈가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피자에도 소시지나 빼빼로니는 섞지 않고 올리브나 버섯 등 야채만으로 터핑을 한다.

그릇, 포크와 나이프도 유제품과 육류용을 별도로 사용한다. 그릇의 경우 한 벌은 우유 제품만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한 벌은 물론 고기를 위한 것이다. 유제품이 담겼던 그릇에 고기제품을 넣게되면 젖과 고기를 섞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법을 철저히 지키는 유대인은 설거지 할때조차도 식기가 섞이지 않게 두 조의 싱크대를 사용한다. 심지어 고기를 먹은후 6시간 간격을 둔 뒤에 유제품을 먹는다고 한다. 이에 유대인들은 우유는 아침에 고기는 저녁에 먹는다. (한국 이스라엘문화원, 위키피디아 등 웹사이트 정보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7 캐나다 한인신협 2명의 신임 이사 추천 진행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0.
1896 캐나다 6대 주에서 4개 주NDP 정당 지지도 1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1.
1895 캐나다 대낮 밴쿠버 다운타운서 동아시아 20대 여성 묻지마 공격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1.
1894 캐나다 2022년도 한반도 평화정책과 평화통일의 위기의 한 해 예측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1.
1893 캐나다 BC 신속항원검사 키트 학교에 우선 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2.
1892 캐나다 자연의 역습, 결국 혈세로 메꿀 수 밖에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2.
1891 캐나다 새해 초부터 사건사고로 흉흉한 메트로밴쿠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2.
1890 캐나다 2월 1일부터 유제품 용기도 빈병 보증금 대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5.
1889 캐나다 BC 코로나입원환자 1000명에 육박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5.
1888 캐나다 BC주 상원의원 수 제대로 아는 주민은 고작 3%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5.
1887 미국 무료 코로나 자가 검사 키트 19일부터 주문 받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1886 미국 미 연방 대법, 민간 기업 백신 의무화 조치에 제동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1885 미국 쉽게 풀리지 않는 식료품 부족 현상, 언제까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1884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민 2명, 연방 의사당 난입 음모 혐의로 기소 file 코리아위클리.. 22.01.25.
1883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24명...하루 8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6.
1882 캐나다 버나비 메트로타운, 메트로밴쿠버의 새 우범지역으로 부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6.
1881 캐나다 하버센터 팀호튼 매장서 묻지마 칼부림에 20대 치명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1.26.
1880 캐나다 아루다 공중보건국장, COVID-19 확산에 책임지고 사임 file Hancatimes 22.01.26.
1879 캐나다 퀘벡주, 백신 미접종자에 추가 세금 부과 file Hancatimes 22.01.26.
1878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부스터샷 일정 변경 및 완치자에게도 빠른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