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화장지 품절 1).jpg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비상식품류 및 화장지 사재기(panic buying)로 나타나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호주의 화장지는 호주 내에서 생산되기에 공급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FOMO’ 심리로 특정 품목을 대량 비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사진은 한 슈퍼마켓에서 화장지를 ‘쓸어 담은’ 한 고객의 트롤리. 사진: 트위터 / SoniaCrestpac

 

Coronavirus pandemic- ‘화장지 대량 구매행동’ 이유는...

호주의 toilet paper 대부분, SA 주에서 생산... 공급에 이상 없다

 

매콰리 파크(Macquarie Park)에 거주하는 A씨는 매 2주마다 쇼핑센터를 간다. 가정에서 필요한 제반 물품을 한 번에 구매하는 것이다. 며칠 전 A씨는 평소처럼 늘 가던 대형 쇼핑센터를 갔다가 화장지 진열 선반이 텅 비어 있는 것에 놀랐다. 해당 직원을 통해 A씨는 쇼핑객들이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수준을 넘어 보이는 대로 쇼핑 카트에 ‘싹쓸이’를 해 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A씨는 이전에 이 같은 상황을 겪은 적이 없기에 그 자체가 충격이었다.

A씨를 더욱 황당하게 만든 것은, 화장지 구매를 위해 다른 슈퍼마켓에 갔을 때였다. 그곳의 계산대 종업원이 이미 세 개의 큰 화장지 패킷을 구매해 카운터 뒤쪽에 쌓아두고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화장지 공급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으로 구매자들이 한꺼번에 몰리고 있다는 것을 실감한 것이다.

간신히 평소 구매하던 양의 화장지를 갖고 슈퍼마켓을 나오면서 A씨는 ‘바이러스 불안감으로 사람들이 물품 사재기(panic buying)을 하는 데 있어 식품보다 화장지에 집중하는 이유’가 궁금해졌다. 그러면서 A씨도 ‘화장지를 많이 비축해 놓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달 말에서 이달 첫 주 사이, 호주 내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확진자 숫자가 갑작스레 증가한 가운데 일부 호주인 사이에서는 비상 식품과 화장지를 한꺼번에 대량으로 구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어느 지역이든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특히 영업 시작과 함께 몰려온 쇼핑객들이 한 번에 ‘싹쓸이’를 해버림으로써 화장지 진열대가 하루 종일 비어버리기 일쑤다.

 

슈퍼마켓에 화장지가 없는 이유

 

퀸즐랜드 과학기술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QUT) 소매업 전문가인 개리 모티머(Gary Mortimer) 교수는 최근 슈퍼마켓에 화장지가 보이지 않는 두 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슈퍼마켓은 ‘특정 시간에 맞추어 물품을 공급하는’(just in time inventory)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화장지처럼 부피가 큰 품목이 많이 쌓여 있는 것을 슈퍼마켓 측에서는 좋아하지 않는 것이다. 대형 슈퍼마켓은 보통, 매일 각 품목을 공급받을 때 다음 번 물품을 진열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재고를 받는다.

모티머 교수는 “화장지는 부피가 크고 가벼운데, 이는 슈퍼마켓이 물품진열 통로에 100개에서 250개 정도의 패킷만 진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때문에 만약 10명 내외의 고객이 평소 구매하던 한 패킷에서 추가로 2~3개 이상을 구매하게 되면 갑자기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 이 품목을 진열대에 계속 보충해 놓기가 어렵게 되고 결과적으로 해당 진열대 선반은 하루 종일 비어 있게 마련”이라는 설명이다.

맥콰리대학교(Macquarie University) 마케팅 전문가인 자나 보덴(Jana Bowden) 박사는 “화장지가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 어렵다”면서 ‘슈퍼마켓의 진열대에 화장지가 동날 수 있음’을 전제한 뒤 “또 다른 측면에서,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미디어가 소개하자 그에 따라 발생된 불안감 수준일 뿐”이라고 진단했다. “싱가포르, 홍콩, 일본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다룬 뉴스가 있다”는 것이다.

이어 보덴 박사는 “이는 미디어의 화젯거리였고 소비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미디어로 확인하고 있다”며 “호주국민들은 지금, 다른 국가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암시와 신호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합(화장지 품절 2).jpg

캠시 소재 울워스(Woolworths) 슈퍼마켓의 화장지 진열대. 준비해 둔 제품이 순식간에 품절되어 정작 화장지가 필요한 이들은 구매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사진: 김지환 / 한국신문 객원기자

 

“호주의 화장지 공급,

걱정할 필요 없다”

 

이런 배경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불안감이 화장지 대량 구매로 이어지고 있지만 호주에서 화장지가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보덴 박사의 말이다. 호주에서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화장지는 대부분 남부 호주(South Australia)에서 생산된다. 보덴 박사는 “따라서 일부 사람들이 대량으로 사재기를 하지 않는 이상 화장지를 필요로 하는 모든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보덴 박사는 “기술적으로 우리는 공급이 매우 양호하고 남부 호주에 기반을 둔 주요 제조회사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공급 측면에서 볼 때 이런 ‘사재기 현상’은 완전 비이성적 행동”이라는 그녀는 “슈퍼마켓 측에서 구매 수량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공급문제가 아니라 공황구매(panic buying), 즉 사재기”라고 지적했다.

 

종합(화장지 품절 3).jpg

일부 호주 시민들의 화장지 사재기 현상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후 인터넷 상에는 이를 풍자하는 갖가지 사진과 동영상들이 나돌고 있다. 사진은 화장지로 온몸을 둘둘 감싼 이들을 세워 놓고, 현재 일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화장지 사재기 현상을 비꼬는 'How Australians protect themselves against Corona virus' (호주인들의 코로나 바이러스 방지법) 이란 제목의 인터넷 풍자사진.

 

‘화장지 사재기’로 나타난

‘herd behaviour’ 현상

 

심리학자들은 화장지 사재기를 군중심리(crowd psychology)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많은 이들이 어떤 행동을 하면 자기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이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herd behaviour’(개인들 사이에 어떤 행동양식에 대한 사전 조정이 없음에도 비슷한 행위로 나타나는 경향)라고 한다. 슈퍼마켓의 직원조차 일부 소비자들이 사재기 하는 것을 보고 스스로도 화장지를 대량으로 확보해 카운터 뒤에 보관해 놓은 것이 ‘herd behaviour’의 단적인 예라는 설명이다.

한 심리학자는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이 시작되면서 안면 마스크 품절이 시작됐고, 화장지로 이어졌다”면서 “지금 구매하지 않으면 해당 제품을 마련할 기회가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합리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QUT의 모티머 교수는 “어렵기는 하겠지만 구매에 대해 이성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보통 한 주(a week)에 4개의 화장지 롤을 사용한다면 8개의 롤이 담긴 패킷을 구매할 경우 2주간 사용이 가능하다”며 “이의 열 배가 되는 화장지를 한꺼번에 구매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만약 제품을 구매하는 것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면 온라인을 통해 필요 품목을 주문할 수도 있다.

보덴 박사는 ‘행동보다 말이 쉽다’(It's easier said than done)는 것을 전제한 뒤 “그렇다 해도 ‘FOMO’(fear of missing out.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은 불안감)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조언과 함께 “슈퍼마켓에서 많은 이들이 특정 품목을 구매하면 자신도 그것을 사 두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언제든 구매할 수 있는 것을 대량으로 비축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화장지 품절 1).jpg (File Size:70.0KB/Download:23)
  2. 종합(화장지 품절 2).jpg (File Size:65.1KB/Download:19)
  3. 종합(화장지 품절 3).jpg (File Size:49.0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1 호주 턴불 총리 “역사 기념물 논쟁은 스탈린주의 발상, 대다수 국민 경악” 톱뉴스 17.08.28.
5050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대상 지역 3곳 확정 톱뉴스 17.08.28.
5049 호주 연방정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100명 재정지원 중단 및 출국 통보 톱뉴스 17.08.28.
5048 호주 멜버른 카운슬로 튄 쿡 선장 동상 등 역사 기념물 훼손 불똥 톱뉴스 17.08.28.
5047 뉴질랜드 “4천불 현상금까지 걸었건만…” 총에 맞아 죽은 채 발견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8.29.
5046 뉴질랜드 경찰무전기에서 들리는 ‘돼지 꿀꿀’ 소리의 정체는? NZ코리아포.. 17.08.29.
5045 호주 Ch10, 도산 위기 모면…미국 CBS 인수 확정 톱뉴스 17.08.29.
5044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도발, 전 세계 평화와 안보 위협”…강력 규탄 성명 잇따라 톱뉴스 17.08.29.
5043 뉴질랜드 향후 2년간 뉴질랜드 방문 크루즈 유람선 50% 신장 NZ코리아포.. 17.08.30.
5042 뉴질랜드 북한에 대한 미국 주도 공격 NZ 지지 여부, 반반 의견으로 나눠져 NZ코리아포.. 17.08.30.
5041 호주 CBA ‘산 넘어 산’…AUSTRAC이어 APRA도 조사 착수 톱뉴스 17.08.30.
5040 호주 2017 NSW 카운슬 선거, 한국계 후보 6명 출사표 톱뉴스 17.08.30.
5039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의 ‘진흙탕 싸움’ 톱뉴스 17.08.30.
5038 뉴질랜드 폐쇄된 옛날 노천광산 인근에서 대형 싱크홀 나타나 NZ코리아포.. 17.08.31.
5037 뉴질랜드 뜨거운 한낮에 차에 아기 방치한 채 한잔 하고 잠들었던 아빠 NZ코리아포.. 17.08.31.
5036 뉴질랜드 승객 급증으로 본격 확장에 나서는 퀸스타운 공항 NZ코리아포.. 17.08.31.
5035 호주 지난 주 이어 낙찰률 하락... 16개월 만에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4 호주 탈북 학생들의 꿈... “어려운 이들 위해 일하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3 호주 ‘용의자 사살권’ 등 경찰 공권력, 시민들의 공포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2 호주 최장기간 연구 보고서, “성공하려면 성(姓)도 잘 타고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1 호주 베레지클리안, 서울 명예시민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0 호주 우울증-불안감에 시달리는 여성 비율,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9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8 호주 저소득층 지역, 임대주택 보증금 환불 거부 비율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7 호주 보수 진영 정치 인사들, 동성결혼 ‘Yes’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6 호주 ‘동성결혼’ 관련 우편조사 등록 마감일의 ‘해프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5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4)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4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 “한국어 등 가상교실 확대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3 호주 호주 대학 평가... 골드코스트 ‘본드대학교’, 최고 점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2 호주 “동성결혼 반대진영의 광고도 결사 반대하는 노동당” 톱뉴스 17.08.31.
5021 호주 수그러들지 않는 연방의원 이중국적 파동…이번에는 노동당과 무소속으로 톱뉴스 17.09.01.
5020 호주 해리 큐얼, 잉글랜드 감독 데뷔 후 ‘첫 승’ 톱뉴스 17.09.01.
5019 호주 갈 길 바쁜 사우디, UAE에 덜미…원정 경기서 1-2 역전패 톱뉴스 17.09.01.
5018 호주 NSW 전 교육장관 피콜리 의원 정계 은퇴…보궐 선거 3곳으로 늘어 톱뉴스 17.09.01.
5017 호주 쇼튼 당수 “잘못된 역사는 바로 잡아야…” 톱뉴스 17.09.01.
5016 호주 NSW주 카운슬 선거 9월 9일 톱뉴스 17.09.01.
5015 호주 "내 옆자리에는 앉지 마!" 톱뉴스 17.09.01.
5014 호주 연방법원, 아다니 탄광개발 무효 소송 항소심 기각 톱뉴스 17.09.01.
5013 호주 주택문제 전문 정당 창당…급진적 주택난 해소 대책 발표 톱뉴스 17.09.01.
5012 호주 "출산 전후 우울증 챙기자" 호주, 정신건강 검진비 무료로 톱뉴스 17.09.01.
5011 호주 호주 콴타스항공, 시드니-런던 1만7천km 무착륙 비행편 추진 톱뉴스 17.09.01.
5010 호주 호주 부모 10명 중 7명 "스마트폰 때문에 '차'에서도 대화 단절" 톱뉴스 17.09.01.
5009 호주 자동차 번호판이245만 달러….호주 번호판 경매 최고가 톱뉴스 17.09.01.
5008 호주 “주택난, 최소 40년 지속된다” 톱뉴스 17.09.01.
5007 뉴질랜드 해안 절벽 아래서 난파된 후 11시간 만에 구조된 남녀 NZ코리아포.. 17.09.02.
5006 뉴질랜드 5년 이래 주택 가격 상승 속도 가장 느려 NZ코리아포.. 17.09.02.
5005 뉴질랜드 라이벌 갱단 간의 장례식장 싸움에서 총까지 발사했던 갱 단원 NZ코리아포.. 17.09.02.
5004 뉴질랜드 경고!!페이스북 메신저로 받은 비디오 링크 클릭하지 말것 NZ코리아포.. 17.09.02.
5003 호주 호주, “북한의 무모한 도발행위, 강력 규탄”…가능한 모든 조치 촉구 톱뉴스 17.09.04.
5002 호주 북한 수소탄 실험 성공 주장 톱뉴스 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