넨시 시장, “시예산 추가 감축은 최악의 선택”
 
news_img1_1584395967.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과 국제 석유 가격 급락으로 캘거리 에너지 부문이 패닉 상태에 접어 들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화요일 세노버스 에너지 등 에너지 기업들의 급락하고 있으며 투자 계획을 대폭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G 에너지 사는 20% 이상의 투자 규모 감축을 밝혔다. MEG에너지 또한 지난 월요일 기준 주가가 56% 이상 하락했다.
에너지 부문은 이번 사태의 충격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지 가늠조차 하지 못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규모 투자 축소와 함께 오일 생산 증가를 위해 체결한 철도 수송계약까지 중단하고 있는 모습이다.
캘거리는 경기 침체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여기에 더해 국제 원유가격 급락으로 인한 삼중고에 직면하게 되었다.
넨시 시장은 “현 상황은 경제적 공포를 넘어 선 공동체 사회를 위협하는 새로운 위기이다. 주정부에 위기 대응 공동 노력을 제안했다. 케니 주수상이 모든 대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힌 것인 바람직하다”라고 밝혔다.
캘거리 시의회도 긴급 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시의회 재무위원회에 참석한 캘거리 시 CFO 칼라 메일 씨는 “국제 원유 가격 급락은 캘거리 시에 충격과 더 큰 고민을 안겨 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의원들은 캘거리 시와 주정부 차원에서 전략적인 투자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제로미 파카스 시의원은 “신속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캘거리 시민들의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캘거리 시민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과 같은 위기를 느끼고 있다”라고 밝혔다.
넨시 시장은“현 상황에서 시 예산의 추가 감축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 경기 침체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책은 이미 마련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17 미국 트럼프 재선 무난할까? “우리는 이기고, 이기고, 이길 것이다” file 코리아위클리.. 19.07.04.
5116 미국 NYT 한국음악 국악기 대서특필 file 뉴스로_USA 19.07.05.
5115 캐나다 온주 중국 이민자 새 농부로, BC주는? 밴쿠버중앙일.. 19.07.05.
5114 캐나다 3일 밤 밴쿠버북서해안 진도 5.8 지진 발생 밴쿠버중앙일.. 19.07.05.
5113 캐나다 7월 5일 정부 돈 더 들어왔는지 통장 확인 필수 밴쿠버중앙일.. 19.07.05.
5112 캐나다 EE이민자 절반 캐나다 내에서 초청 받아 밴쿠버중앙일.. 19.07.06.
5111 캐나다 밴쿠버 신 실크로드를 달리는 한국 전통도자기 밴쿠버중앙일.. 19.07.06.
5110 캐나다 밴쿠버 6월 주택시장 다시 약세로 반전 밴쿠버중앙일.. 19.07.06.
5109 미국 마이애미-올랜도 고속철 공사, 디즈니 연결 동시 개통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8 미국 "공유지 십자가 추모비 문제없다" 연방 대법 판결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7 미국 갈수록 고령화 되는 미국, 중간 연령 38.2세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6 미국 연방 대법원, 미시시피 흑인 사형수 평결 뒤집어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5 미국 플로리다주 공립대 장학금 기준 까다로워진다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4 미국 다양한 치즈, 도대체 뭐가 다르지?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3 미국 플로리다주 의료용 마리화나 처방 카드 30만명 소지 코리아위클리.. 19.07.06.
5102 캐나다 자녀들과 서커스도 보고 어린이 병원도 돕고 밴쿠버중앙일.. 19.07.09.
5101 캐나다 정택운 한인회장, 새 한인센터 건립 쪽 가닥 밴쿠버중앙일.. 19.07.09.
5100 캐나다 6월 전국 실업률 0.1%P 상승 밴쿠버중앙일.. 19.07.09.
5099 캐나다 UCP, 상원의원 투표 부활 법안 제출 file CN드림 19.07.09.
5098 캐나다 연방총선을 앞두고 기업이 정치권에 주는 메시지: "더 많은 이민자가 필요하다." file CN드림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