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19 백신).jpg

현재 전 세계 바이러스 연구진들은 COVID-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동물실험을 마친 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첫 실험인 제1상 임상실험에 착수한 곳도 있다. 하지만 설령 백신 개발 연구가 성공한다 해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생산능력까지 확보하려면 적어도 1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말이다. 사진은 호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전념하고 있는 퀸즐랜드대학교 연구원들. 사진 : University of Queensland

 

‘도허티 감연-면역연구소’, 인체 면역계 반응 과정 확인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공포가 확산되는 가운데 전 세계 연구진의 치료방법 및 백신 연구가 한창이다. 현재 미국에서 처음으로 사람들 대상으로 한 치료법 시험이 시작된 상태이며 호주,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70개 이상 의학 연구진이 치료법 개발 및 백신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가 새로운 균주에 의해 발생된다고 말한다. 이는 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러스 출현과 진화를 연구하는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University of Otago) 진화 생물학자 젬마 게이건(Jemma Geoghegan) 박사는 “독감은 모두 유사한 유형의 바이러스에서 파생되는 반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혀 새로운 유형”이라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방법에 관한 한, 과학자들이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 알려진 것의 의지하지만, 여러 측면에서 새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비록 항바이러스제가 일부 감염에 이용될 수는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은 항생제로 대처할 수 없기에 세균 감염보다 치료가 더 어렵다.

결국 현재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는 인체 면역체계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동안 감염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백신은 애초부터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차단한다. 백신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처럼 하여 인체의 면역체계가 특정 바이러스에 대항하게 하고, 이후에도 감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 인체의 면역 시스템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어떻게 작용하나= 현재 호주 연구진들은 인체 면역체계가 인플루엔자와 같은 방식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환자가 회복되기 전 혈액에서 나오는 면역세포는 독감에 걸렸다가 낫기 전 보이는 세포와 동일했다.

멜번 기반의 감염 및 면역 연구소인 ‘Peter Doherty Institute of Infection and Immunity’(이하 ‘도허티연구소’) 연구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진단된 호주의 초기 환자들로부터 혈액 샘플을 조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의학저널 ‘Nature Medicine’에 게재된 이 연구에 대해 ‘도허티연구소’의 캐롤라인 반 드 샌트(Carolien van de Sandt) 연구원은 “인체가 면역력을 제공하고 바이러스에 대항해 싸우며 회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또한 인프루엔자 환자를 연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도허티연구소 연구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될 경우, 재감염을 막는 면역력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단정하는 것은 아직 이른 상황이다.

다만 도허티연구소의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개발 및 여러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 기존 약물이 COVID-19를 치료할 수 있나= 이달 셋째 주, 호주 연구원들은 기존의 두 가지 약물을 사용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재적 치료제 임상실험 준비가 되어 있음을 발표했다. 이 실험은 뚜렷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존 약물은 오래된 HIV 약물과 클로로퀸(chloroquine)이라는 말라리아 예방약으로, 이 약물은 말라리아 병원체가 내성이 되어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임상연구센터’(Centre for Clinical Research) 책임자인 데이빗 패터슨(David Paterson) 교수는 “HIV 약물과 말라리아 예방약은 COVID-19에 실제 효과가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가 있다”고 말했다.

패터슨 교수는 “시험관 연구와 지금까지 연구된 환자들이 회복됐으며 우리의 연구 시스템에 더 이상 바이러스 증거가 없음을 알았다”고 설명했다.

이를 기반으로 다음 연구는 HIV와 말라리아 예방약 및 이 둘의 조합을 비교해 어떤 것이 더 치료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패터슨 교수는 “이 실험 단계는 3개월 정도 예상되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더라도 지역사회에 공급해 감염환자를 치료하기까지는 더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보도된 바에 의하면 중국 의료진들이 두 가지 HIV 약품인 ‘lopinavir’와 ‘ritonavir’의 조합으로 진행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이 완료 단계에 있다. 이들은 또한 곧 에볼라 바이러스를 위해 개발됐던 ‘remdesivir’ 약물 실험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 COVID-19 백신의 공급 예상 시기는= 현재 전 세계 연구진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퀸즐랜드대학교 미생물학자 이안 핸더슨(Ian Henderson) 교수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mRNA, DNA, 나노 입자, 합성, 변형 바이러스 입자 등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15개의 잠재적 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미 국립보건연구원(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은 최근 시작된 잠재 백신mRNA-1273의 제1상 임상실험(phase 1 clinical trials. 신약 개발 과정에서 동물을 상대로 한 실험을 거친 신약을 사람에서 처음으로 평가하는 과정)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연구원들은 이미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을 유발하는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상황이어서 이번 COVID-19 백신의 임상실험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이들의 첫 실험 결과는 3개월 이내 나오겠지만 효과가 입증되고 백신이 만들어져 일반에 공급되기까지는 1년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호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개발을 선도하는 퀸즐랜드대학교 연구진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잠재 백신의 실험 준비를 마쳤으며 올해 중반에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임상실험이 진행되기까지 이어온 연구진들의 도전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핸더슨 교수는 “다음 도전은 수백 만,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 생산능력을 전 세계에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COVID-19 백신이 널리 공급되기까지 최소 12개월에서 18개월이 소요될 것이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19 백신).jpg (File Size:87.8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5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5250 호주 찰스 스터트대학교, 호주 전국 캠퍼스에서 100여 개 학과 통폐합 file 헬로시드니 20.08.07.
5249 호주 서호주 REIWA에 의한 비상 세입자 보호조치 종료 요청 file 퍼스인사이드 20.08.04.
524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재감염’ 사례 보고... 집단면역 희망 없나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7 호주 금-다이아몬드-오팔에서 송로버섯까지... 호주의 대표적 ‘보석’ 여행지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6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이 꼽은 호주 최고 호텔은 ‘Pinetrees Lodge’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5 호주 지난여름 호주 산불로 야생동물 30억 마리 사망 추정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4 호주 비관적 시각을 가진 이들은 기대수명도 짧아진다?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3 호주 빅토리아 주 ‘록다운’ 불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증가 이유는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2 호주 경기침체 본격화... ‘화이트칼라’ 구직난, 갈수록 심화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1 호주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지방지역 주택가격은 지속 상승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40 호주 타스마니아, SA-WA-NT 대상으로 우선 주 경계 개방 file 헬로시드니 20.07.31.
5239 뉴질랜드 자신다 아던 총리, 문 대통령과 한국 외교관 성추행 의혹건 언급 NZ코리아포.. 20.07.29.
5238 뉴질랜드 CHCH 부부, 미망인 어머니에게서 140만 달러 훔쳐 NZ코리아포.. 20.07.28.
5237 호주 7 best ferry trips in Sydney Harbour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6 호주 원주민 작가 타라 윈치, 올해 ‘Miles Franklin 문학상’ 영예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5 호주 서부호주 각 지역, 여행자들 방문 증가 추세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4 호주 평균 소득 높은 캔버라, 일부 거주민 ‘생활고’ 시달려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3 호주 정부 ‘비자패키지’ 발표 후 홍콩 유학생들, 호주비자 문의 급증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시드니 임대주택 공실률 높아져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1 호주 주류회사들, 모든 알코올 제품에 ‘임산부 경고’ 라벨 부착해야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30 호주 NSW 주 정부, 펍에 이어 레스토랑-카페로 ‘제한조치’ 확대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29 호주 NSW 주 정부, 펍(pub) 영업 관련 규제 다시 강화 file 헬로시드니 20.07.24.
5228 뉴질랜드 리디아 고, 15세 본인에게 쓴 편지 공개 NZ코리아포.. 20.07.22.
5227 뉴질랜드 국경 막혀 두 달째 학교 못 가는 6살 한국 어린이의 사연 NZ코리아포.. 20.07.22.
5226 호주 연방정부 Job Keeper & Job Seeker 기간연장 : 기존보다 강화된 자격요건 및 집행금액감축 file 퍼스인사이드 20.07.21.
5225 호주 6월 서호주의 신축주택 판매량 2배가 증가 file 퍼스인사이드 20.07.20.
5224 호주 노스브릿지 지날 때 "항상 주의하세요" file 퍼스인사이드 20.07.20.
5223 호주 빅토리아주 49세 남성, 서호주 이동 후 격리 기간 어기고 광산 출근 file 퍼스인사이드 20.07.20.
5222 호주 호주의 COVID-19 환자 생존율, 다른 국가에 크게 앞서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21 호주 서부호주 ‘칼바리 국립공원’의 새 명소 ‘Kalbarri Skywalk’ 개장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20 호주 연방정부, 홍콩사태 관련 호주 체류 홍콩인에 비자 연장키로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9 호주 시드니를 즐기는 11가지 투어 프로그램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8 호주 주 경계 봉쇄, COVID-19 차단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확산... 멜번과 시드니의 차이는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6 호주 ‘노던비치 카운슬’, 맨리 중심가 구역 자동차 제한속도 30km로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5 호주 광역시드니, COVID-19 사태로 주택임대료 큰 폭 하락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4 호주 NSW 주 정부, ‘여행자에게 호텔 검역비 청구’ 결정 file 헬로시드니 20.07.17.
5213 호주 VIC 주 ‘록다운’... “1차 폐쇄조치 비해 더 불안하고 도전적”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12 호주 경기침체 상황에서 젊은이들, 군 입대 지원 크게 증가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11 호주 시드니 여행 중 이른 아침을 시간 활용하는 65가지 액티비티-2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10 호주 정부, 입국자 검역 부담으로 귀국 여행자 수 제한할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9 호주 2021 호주 오픈 테니스, “멜번 외 대안 없다”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8 호주 “대다수 호주인들, 이웃 국가 인도네시아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7 호주 50여 년 만에 세상에 나온 원주민 현대 미술가의 작품들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6 호주 호주 학생들 5명 중 1명만이 미디어 정보해독 능력 공부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5 호주 무인 비행자동차, NSW 내륙간 ‘먼 거리’ 문제의 해결책 될까 file 헬로시드니 20.07.10.
5204 뉴질랜드 미국에서 뉴질랜드 이주, 관심 급증 NZ코리아포.. 20.07.09.
5203 호주 퍼스 공항 '활주로 증설 불가피', 남서부 육해 위원회 '원주민 유적 피해' 의견 대립 퍼스인사이드 20.07.07.
5202 호주 토지매매가 이끄는 서부호주 퍼스 부동산 마켓 file 퍼스인사이드 20.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