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선거] 미국 정부 재외선거 관련 우려 공식 표명

 

vote2.jpg
▲ 지난 20대 총선 재외선거시 4월 1일부터 3일까지 열린 올랜도 투표소에서 한 재외동포가 투표용지에 사인을 하고 있다. ⓒ 김명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2신: 30일 오후 10시35분]

결국 미국 지역 한국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위한 재외 투표소 운명이 전면 취소 되었다. 미국 정부가 재외선거와 관련하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우려하는 공식 입장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주 애틀랜타총영사관 조선희 선거영사는 지난 23일 '주 정부들이 자택 대기 및 통행금지를 실시하고 있어 인적 물적 자원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선관위 관계자들과 협의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0일 오후 총영사관을 통해 보내온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우려 입장을 밝힌데다, 재외국민의 안전 또한 우려된다며 외교부 및 재외공관들과 신중한 논의 끝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1신: 27일 오후 8시51분]

주 애틀랜타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현경, 이하 선관위)는 제21대 국회의원 재외선거에서 미 동남부 6개주에 설치되는 3곳의 재외투표소 중 플로리다 올랜도 재외투표소를 운영하지 않기로 27일 결정했다.

선관위는 우선 플로리다 올랜도 재외투표소의 경우 미국 연방 및 지방정부 조치사항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고, 투표관리인력 이동 및 선거장비·물품 반입 등을 올랜도로 이동하는데 제약이 있는데다, 선거인의 투표소로의 이동도 제한되어 재외투표소 운영이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선관위 측은 “재외선거 실시여부와 관련하여 해당 지역 한인회 및 여타 한인단체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신중히 검토한 끝에 불가피하게 올랜도 추가투표소 미설치 결정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올랜도 투표소의 운영이 불가함에 따라 플로리다 지역 거주 재외선거인은 다른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애틀랜타 재외투표소(애틀랜타한인회관)는 4월 1일부터 6일까지, 앨라배마 몽고메리 재외투표소(몽고메리한인회관)는 4월 3일부터 5일까지 각각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선관위는 재외투표소 내에 선거인 간격 유지, 소독용품 비치, 감염 예방물품 제공 등 코로나19 감염예방 활동을 강화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재외국민의 참정권 행사에 불편함이 없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한편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이 만연한 지역(뉴욕·뉴저지·코네티컷 등 포함)으로부터 플로리다주를 방문하는 자는 14일간 의무 격리하며, 위반시 60일 이하의 구금형 또는 500불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지난 24일 발표했다.

특히 플로리다 올랜도 지역이 속한 오렌지 카운티 당국은 3월 26일(목)부터 4월 9일(목)까지 필수적인 활동 외에 거주지에서 나가서는 안 되며, 위반시 60일 이하의 구금형 또는 500불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긴급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 |
  1. vote2.jpg (File Size:255.2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뉴스로_USA 2020.04.02. 01:50

이해할 수 없네요..코로나사태로 떠든게 어제오늘 일도 아니고 일찌감치 투표함 등 장비를 보내면 되는데 코앞에서 취소하다니요..선거인 이동도 어려운데 먼 타주로 어떻게 가겠습니까.. 중앙선관위가 재외국민 투표를 못하게 방해하는것 같네요..뉴욕 캘리포니아 한인들도 지금 항의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Profile image 코리아위클리-플로리다 2020.04.02. 09:33

네, 미주지역 재외국민들이 너무 쉽게 투표권을 잃어버렸습니다. 가능한대로 몇 곳은 할 수 있었을 것을... 재외국민들은 역시 '제외국민'인 듯합니다.

뉴스로_USA 2020.04.02. 10:09

재외국민 제외국민..정말 맞습니다 맞구요..ㅠㅠ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 미국 [속보] 미국 지역 재외선거 투표 전면 취소 [3] file 코리아위클리.. 20.03.28.
269 미국 총선 해외투표 역대 최저 우려 뉴스로_USA 20.03.29.
268 미국 3월 19일부터 한국입국 특별절차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3.30.
267 미국 재외유권자 8만명 투표불발 file 뉴스로_USA 20.03.31.
266 미국 민주평통 마이애미-덴버협의회, 대구에 ‘코로나 성금’ 전달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265 미국 美마이클윤 시의원 코로나19 타계 충격 file 뉴스로_USA 20.04.08.
264 미국 제22회 재외동포문학상 작품 공모 코리아위클리.. 20.04.12.
263 미국 잭슨빌 동포, 잭슨빌시에 마스크 9천개 기증 코리아위클리.. 20.04.12.
262 미국 집에서 즐기는‘온라인 한국문화’ file 뉴스로_USA 20.04.16.
261 미국 2020 AHL-T&W 현대미술공모전 file 뉴스로_USA 20.04.17.
260 캐나다 식당들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 이어가 file CN드림 20.04.20.
259 캐나다 외국 국적 한인들, 모국 방문시 단기비자 필요 file CN드림 20.04.20.
258 미국 ‘제재강화’ 美의원들에 항의편지 file 뉴스로_USA 20.04.21.
257 캐나다 COVID -19 환자를 대상으로 한/캐나다 임상시험계획 file 밴쿠버코리안.. 20.04.24.
256 미국 美한인회 경찰-학생들에 마스크 기증 file 뉴스로_USA 20.04.29.
255 캐나다 고대 요법, 현대 과학을 만나다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1.
254 미국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프다” file 뉴스로_USA 20.05.02.
253 미국 수요힐링 국악콘서트 뉴욕한국문화원 file 뉴스로_USA 20.05.06.
252 캐나다 부모가 집에서 공부하는 자녀를 위해 분위기를 “만화화”하는 방법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
251 캐나다 BC 회사, 한국에서 COVID-19 임상시험 시작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