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뉴욕 제임스 김 기자>

 

▲ 미국의 개인용 항공기 업체인 '플라이엘리트제트'에 따르면 일주일에 30건 정도였던 항공기 이용 문의는 최근 3∼4일간 300건으로 급증했다. Fly Elite Jets 홈페이지 캡처© 호주브레이크뉴스

 

코로나 19의 세계에도 불평등은 존재하는듯 하다. 미국에서 코로나 19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사회적 논란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모양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지난 27일(현지시간) 전세계 수반 가운데 처음으로 코로나에 감염됐다. 엘리자베스2세 여왕의 장남이자 후계 서열 1위인 찰스 황태자도 양성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계층과 빈부를 가리지 않고 인류를 공격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코로나19가 빈부간 격차와 계층 문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7일 '화이트칼라 코로나 격리가 계층 불평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부자와 가난한 자의 격차가 코로나로 인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갑부들은 인구밀도가 높은 뉴욕 등 대도시의 아파트를 '버리고' 휴양지의 별장으로 숨어들고 있다. 텍사스에서는 부자들이 수십만달러를 들여 안전한 대피소를 설치하거나 벙커를 만들고 있다.

 

CNBC 방송 역시 27일 미국의 부유층들이 수영장이 딸린 호화 지하 대피소를 사들이고 외딴 섬으로 피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벙커 제조업체인 '서바이벌 콘도'는 코로나19 때문에 벙커 구매 문의와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가 제조하는 호화 벙커는 수영장과 체육관, 암벽 등반 시설까지 갖추고 있으며 가격은 50만달러(6억1000만원)에서 240만달러(29억3000만원)에 달한다.

 

의사와 엔지니어 등 전문직 종사자를 포함한 고객들은 벙커 실물을 보지도 않고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플로리다 마이애미에서 와인 컴퍼니를 경영하고 있는 하워드 바바넬 대표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것은 화이트칼라만을 위한 격리"라며 "생산직 평균 노동자들은 제품을 배송하고 트럭을 운전하며 지방 정부를 위해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신(新) 카스트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로 인한 계층간 삶의 모습은 극명하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억만장자들은 전세기를 타고 휴양지로 가 한가롭게 자연을 즐기는 반면, 중산층이나 평범한 가정들은 쉴새 없이 떠드는 아이들과 집에 갇혀 옴짝달짝 못하고, 저소득층은 경제의 최전방에서 생사를 걸고 일과 양육의 한계에 치닫고 있다.

 

개인용 섬 판매·대여 업체인 '프라이빗 아일랜드'에 따르면 카리브해 연안 국가 벨리즈 인근의 외딴 섬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특수를 누리고 있다. 이 섬의 하루 숙박 비용은 2950달러(360만원)인데 수요가 폭증했다는 것이다. 개인용 항공기와 호화 요트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개인용 항공기 업체인 '플라이엘리트제트'에 따르면 일주일에 30건 정도였던 항공기 이용 문의는 최근 3∼4일간 300건으로 급증했다

 

반면 미국내 휴교령이 길어지면서 저소득층 아이들이 극한의 상황으로 몰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에서 점심 저녁 등 끼니를 공짜로 해결하거나 특히 학교 의료 시스템을 이용했던 아이들이 휴교령이 연장되면서 집에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뜩이나 불평등했던 미국 사회가 코로나로 인해 더욱 계층 문제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7 캐나다 버나비 한 초등학교 불법무기소지 3인 검거 밴쿠버중앙일.. 19.06.20.
5156 캐나다 1분기, 캐나다 인구증가의 80%는 이민자가 담당 밴쿠버중앙일.. 19.06.20.
5155 캐나다 대마 카트리지 한국 반입시 형사처벌 밴쿠버중앙일.. 19.06.21.
5154 캐나다 반복되는 한국청년 안전문제 근본예방 시스템 필요 밴쿠버중앙일.. 19.06.21.
5153 캐나다 캐나다국민 65% "트럼프, 캐나다에 부정 영향" 밴쿠버중앙일.. 19.06.21.
5152 캐나다 지명수배자 한인 김병섭(41세)을 찾습니다. 밴쿠버중앙일.. 19.06.22.
5151 캐나다 캐나다 찾는 한국인만 감소, 특별한 이유 있나? 밴쿠버중앙일.. 19.06.22.
5150 캐나다 한국전통 무용, 진부하지도 지루하지도 않은 변화무쌍한 예술의 극치 밴쿠버중앙일.. 19.06.22.
5149 캐나다 캐나다 한국전 정전 66주년 기념행사 열려 밴쿠버중앙일.. 19.06.25.
5148 캐나다 트랜스마운틴파이프라인 찬성이 많은데... 밴쿠버중앙일.. 19.06.25.
5147 캐나다 숙련기술 한인이민 온주보다 BC주 선호 밴쿠버중앙일.. 19.06.25.
5146 캐나다 프레이저 연구소, 앨버타 학교 순위 발표 CN드림 19.06.25.
5145 캐나다 앨버타 최초 ‘쓰레기 최소화’ 페스티벌 열린다 CN드림 19.06.25.
5144 캐나다 "버나비마운틴에 무서운 곰이 나타났다" 경고 밴쿠버중앙일.. 19.06.26.
5143 캐나다 조프리레이크 보다 편안하게 즐기세요 밴쿠버중앙일.. 19.06.26.
5142 캐나다 밴쿠버 전국 신축아파트 가격 견인 밴쿠버중앙일.. 19.06.26.
5141 캐나다 밴쿠버 5번째 살인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9.06.27.
5140 캐나다 버나비마운틴에 나타났던 곰 사살 밴쿠버중앙일.. 19.06.27.
5139 캐나다 영어 안 쓰는가정 BC 이민 2세 임금 최악 밴쿠버중앙일.. 19.06.27.
5138 미국 온라인 부동산업체 질로우, 올랜도서 주택구입 서비스 시작 코리아위클리..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