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의 대변 의원 선출 어려워"

뉴욕 등 재외선거 투표소 축소운영 

 

 

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코로나19사태로 제21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투표율이 역대 최저치에 이를 것으로 우려(憂慮)되고 있다.

 

총선은 4월 15일이지만 재외선거는 4월 1~6일로 코앞에 닥친 상황이다. 그러나 전 세계에 퍼진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동제한 조치가 이뤄지고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를 기피하고 있어 정상적인 투표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공 사정도 악화일로여서 투표함을 정해진 기한내에 본국으로 잘 이동할지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19가 창궐하고 있는 유럽과 미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주요 도시마다 엄격한 이동제한령이 내려졌고 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여러 나라에서는 잇따라 국경 봉쇄와 통행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 재외국민 유권자는 119개국 17만1천959명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4만562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 2만1천957명, 중국 2만549명 등이다.

투표소는 한국과 달리 재외공관 등 한인들이 많은 대도시에 제한적으로 설치돼 이동이 제한되면 많은 유권자들의 투표가 사실상 봉쇄되는 상황이다.

 

뉴욕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현보영)는 27일 뉴욕총영사관 8층 회의실에 설치되는 공관투표소는 운영기간을 당초 6일간(4월1일~6일)에서 3일간(4월3일~5일)로 변경하고, 당초 예정했던 추가투표소 2곳(뉴저지재외투표소 필라델피아재외투표소)는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투표편의를 위해 마련한 셔틀버스 운행도 역시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운영하지 않을 방침이다. 뉴욕총영사관 투표소는 맨하탄 한복판에 위치해 평소에도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플러싱과 롱아일랜드, 뉴저지 포트리, 팰팍 등에서 접근하기 어려워 투표율이 저조했다.

 

뉴욕총영사관은 이와 함께 ▲ 투표소 내 최소 적정인원 유지 ▲ 사람간 최소 2m이상 간격 유지 ▲ 투표관리인력 대상 전원 마스크·의료용장갑 배부·착용 ▲ 투표소 내·외 손소독제 비치 ▲ 선거인에 대한 전원 의료용장갑 배부·착용 ▲ 체온계 비치 및 선거인 전원 체온측정 ▲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선거인에 대한 별도 투표절차 마련 등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한편, 선거인도 투표소를 방문할 때 마스크 등 개인 방역물품을 소지·착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LA총영사관에서는 예정대로 4월 1일~6일까지 진행하지만 OC(오렌지카운티) 한인회관 샌디에고(SD)한인회관에서는 각각 4월 3일~5일까지 진행한다. 그러나 총영사관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변경내지 취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선거 전날 전화로 확인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 지역과 이탈리아(5∼6일)와 인도네시아(4∼6일) 지역 재외선관위로 일정을 축소했다.

 

베트남 호치민에서는 총영사관·한국국제학교·한인상공인연합회 등 3곳에 설치하려던 투표소를 총영사관 1곳에만 두기로 했다.

 

투표를 실시하더라도 항공기 출·입국을 막은 나라에서는 투표함을 국내로 이송할 수 없어 '사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편 선관위는 투표함 이송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공관에 설치된 재외선거관리위원회가 개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뉴욕 플러싱에 거주하는 박재현씨는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비상인데 투표를 하러 일부러 나갈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냐. 역대 최악의 투표율로 민의를 대변해야 할 국회의원들을 제대로 뽑지 못하는 선거가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지난 20대 총선의 경우 재외선거 투표율이 19대보다 13% 증가한 41.4%의 투표율을 기록한 바 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0 미국 [속보] 미국 지역 재외선거 투표 전면 취소 [3] file 코리아위클리.. 20.03.28.
» 미국 총선 해외투표 역대 최저 우려 뉴스로_USA 20.03.29.
268 미국 3월 19일부터 한국입국 특별절차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3.30.
267 미국 재외유권자 8만명 투표불발 file 뉴스로_USA 20.03.31.
266 미국 민주평통 마이애미-덴버협의회, 대구에 ‘코로나 성금’ 전달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265 미국 美마이클윤 시의원 코로나19 타계 충격 file 뉴스로_USA 20.04.08.
264 미국 제22회 재외동포문학상 작품 공모 코리아위클리.. 20.04.12.
263 미국 잭슨빌 동포, 잭슨빌시에 마스크 9천개 기증 코리아위클리.. 20.04.12.
262 미국 집에서 즐기는‘온라인 한국문화’ file 뉴스로_USA 20.04.16.
261 미국 2020 AHL-T&W 현대미술공모전 file 뉴스로_USA 20.04.17.
260 캐나다 식당들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 이어가 file CN드림 20.04.20.
259 캐나다 외국 국적 한인들, 모국 방문시 단기비자 필요 file CN드림 20.04.20.
258 미국 ‘제재강화’ 美의원들에 항의편지 file 뉴스로_USA 20.04.21.
257 캐나다 COVID -19 환자를 대상으로 한/캐나다 임상시험계획 file 밴쿠버코리안.. 20.04.24.
256 미국 美한인회 경찰-학생들에 마스크 기증 file 뉴스로_USA 20.04.29.
255 캐나다 고대 요법, 현대 과학을 만나다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1.
254 미국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프다” file 뉴스로_USA 20.05.02.
253 미국 수요힐링 국악콘서트 뉴욕한국문화원 file 뉴스로_USA 20.05.06.
252 캐나다 부모가 집에서 공부하는 자녀를 위해 분위기를 “만화화”하는 방법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
251 캐나다 BC 회사, 한국에서 COVID-19 임상시험 시작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