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대한 신뢰성 회복 시급

 

6.png

(사진=scmp)

 

최근 한 설문조사에서 저소득·저학력층보다 고소득·고학력층이 홍콩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불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문대 커뮤니케이션 및 여론조사 센터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보호용품 조달 및 국경 통제 조치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조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고소득자일수록 불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 및 보호 용품 확보에 대한 정부 노력에 관한 질문에 응답자 중 68%가 ‘불만족’이라고 답변했다. 고등 교육 이상을 받은 응답자 중 80.7%가 불만족하다고 답변한 반면 중졸 이하의 교육 수준을 받은 자 중 53.9%가 불만족하다고 답변했다. 월 소득 40,000 ~ 59,999 홍콩 달러 그룹층과 월 소득 60,000 홍콩 달러 이상 그룹층 중 불만족하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각각 79.1%와 78.1%로 나타난 반면 월 소득 15,000 홍콩 달러 이하 그룹층 중 단 48.2%만이 불만족하다고 답변했다.

 

정부의 국경 통제 조치에 대한 만족도 질문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 고등 교육 이상을 받은 응답자 중 71.6%가 불만족하다고 답변한 반면 중졸 이하의 교육을 받은 자 중 44%가 불만족하다고 답변했다. 월 소득 60,000 홍콩 달러 이상 응답자 중 69.5%가 불만족하다고 답변한 반면 월 소득 15,000 홍콩 달러 이하 중 단 37.8%만이 불만족하다고 답변했다.

 

이번 설문조사를 실시한 클레멘트 소(Clement So) 교수는 고소득자일수록 해외 여행, 자녀의 해외 유학 등 여행 제한에 더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중산층과 상류층들은 저소득층보다 대체로 해외 여행과 외식을 즐기며 가족간의 유대감이 더 높고 주택 담보 대출을 받고 있는 경우가 높아 코로나19 영향을 더 받는다. 반면 저소득층은 대체로 공공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정부로부터 사회적 보조 수당을 받고 있는 자들이 많기 때문에 정부에 대한 불만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로나19 발발로 도시를 떠나고 싶은 열망이 커졌는지에 대한 질문에 월 소득 15,000 홍콩 달러 이하 소득자 중 20.3%가 ‘그렇다’고 답변한 반면 월 소득 60,000 홍콩 달러 이상 소득자는 26%로 더 높았다. 클레멘트 소 교수는 “고소득자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고 해외로 이주할 재정적 능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조셉 웡(Joseph Wong) 정치평론가는 고학력자일수록 홍콩과 인근 국가와의 정부 통치 수준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홍콩은 마스크 공급, 국경 폐쇄, 의무 검역 조치 등 바이러스 확산을 위한 대응이 마카오, 대만, 싱가포르보다 계속 뒤쳐져 있다. 게다가 캐리 람 행정장관이 홍콩의 일선 의료진들이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 폐쇄 촉구 파업을 한 사태를 비난한 것에 대하여 수많은 전문가와 공무원들을 실망시켰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성을 약화시켰다고 덧붙였다.

 

에드먼드 쳉(Edmund Cheng) 시티대 공공 정책 부교수는 코로나19 확산하면서 정부에 대한 지지층이 저소득층과 저학력자로 좁혀진 것에 대하여 우려했다. 그는 “수개월 동안 지속된 반정부 시위와 미흡한 코로나19 대응으로 추락한 정부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구조적 개혁을 즉시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향후 정부 통치 및 선거에서 계속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638.0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96 홍콩 여객 노선 축소로 수입 식자재 가격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3.31.
795 홍콩 비즈니스 환경 악화로 줄줄이 사무실 임대 계약 해지 file 위클리홍콩 20.03.31.
794 홍콩 홍콩, 세계 금융센터지수 3위에서 6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3.31.
793 홍콩 홍콩 투자자, HK$ 강세에 해외 부동산 ‘눈독’ file 위클리홍콩 20.03.31.
792 홍콩 코로나19 기세에 밀린 올해 겨울철 독감 file 위클리홍콩 20.03.31.
791 홍콩 4월 둘째주 주간 요약 뉴스 위클리홍콩 20.04.07.
790 홍콩 홍콩, ‘해외 주재원 평균 임대료’ 3년 연속 1위 file 위클리홍콩 20.04.07.
789 홍콩 작년 구의회 선거, 젊은층 투표율 가장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04.07.
788 홍콩 옥토퍼스 ‘감염 경로 연구 위해 데이터 제공 약속’ file 위클리홍콩 20.04.07.
787 홍콩 NGO ‘나비 개체수 변화와 기후 변화에 밀접한 연관성 있어’ file 위클리홍콩 20.04.07.
» 홍콩 고소득·고학력일수록 정부의 바이러스 대응에 불만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04.07.
785 홍콩 코로나19 퇴원 환자 중 젊을수록 양성 재진단 가능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04.07.
784 중국 코로나19 퇴치에 드론 이용 뉴스로_USA 20.04.10.
783 홍콩 홍콩정부, 제 2차 전염병확산 방지기금 HKD1,375억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82 홍콩 코로나19에 올해 부동산 가격 20%까지 하락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81 홍콩 코로나19에 직격탄 맞은 해운업계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80 홍콩 코로나19, 사스보다 복제력 3배 이상 강해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79 홍콩 보안 논란 ‘줌’, 교육부 사용 금지 논의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78 홍콩 국제학교 절반, 외국인 재학생 비율 70% 규정 준수 못해 file 위클리홍콩 20.04.14.
777 홍콩 집에 있는 시간 늘어나면서 가정폭력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