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몰 임대인과 임차 소매업체 윈윈 전략

 

10.png

 

홍콩 경제과 소비 판매가 크게 위축한 가운데 홍콩 주민들의 소비를 이끌어내기 위해 홍콩 쇼핑몰 운영업체들이 다양한 프로모션들을 진행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다소 완화되고 홍콩 주민들의 외부활동이 조금씩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발길을 붙잡기 위해 쇼핑몰 운영업체들이 전자제품 할인부터 각종 상품권 지급까지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코비드19 사태로 관광객들이 감소하면서 소매업계가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에 현지 소비자들의 소비를 늘려 내수 경제 활성화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는 “쇼핑몰들의 할인과 프로모션들이 단기적으로 소매 산업이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쇼핑몰 행사를 활용한 소비 진작은 쇼핑몰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윈윈 전략이기 때문에 오히려 임대료를 인하해주는 구제책보다 도움이 된다. 단순히 임대료를 낮추는 것은 소비자들의 소비 자극에 효과가 없다”고 말하며 “소비자들이 돈이 없어서 지출하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할인과 프로모션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계법인 PwC의 발데마르 잽(Waldemar Jap) 소비자 시장 거래의 수석 파트너는 “쇼핑몰 운영업체의 이런 대규모 행사는 이례적이다. 그러나 그동안 관광객들의 소비로 매출을 올리던 럭셔리 산업과 미용 케어 산업의 경우 현지 소비자의 지출만으로는 줄어든 매출을 극복하기 어렵다. 코로나 이후 뉴노멀 시대 속에서 쇼핑객이 줄어든 현실을 받아야 들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관오 이스트 포인트 시티(East Point City) 쇼핑몰은 지난 10일(수)까지 쇼핑몰 내에서 5만 홍콩달러 이상 지출한 고객들에게 1 홍콩달러에 아이패드를 구매할 수 행사를 진행했다.

 

도시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선헝카이 프로퍼티스(Sun Hung Kai Properties)는 현재 쇼핑몰 21곳에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산포콩(San Po Kong) 미키키(Mikiki) 쇼핑몰에서 매 50 홍콩달러 이상 지출할 때마다 50 홍콩달러 식품 상품권을 지급하고 있다. 쿤통(Kwun Tong) APM 쇼핑몰에서는 500 홍콩달러 이상 소비한 고객에게 스포츠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300 홍콩달러 상품권을 지급하고 있다.

 

선헝카이 프로퍼티스는 “몇몇 쇼핑몰에서 고객 수와 소매 매출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쇼핑몰 입주 상점들의 운영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6월 말까지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스와이어 부동산(Swire Properties)의 퉁충 시티게이트 아웃렛(CityGate Outlet)에서도 현재 의류 및 생활용품을 최대 90% 할인을 진행하고 있다.

 

홍콩 시위와 코비드19 사태로 홍콩 소매 판매가 큰 타격을 입었다. 정부가 지난 1일(월)에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소매 판매가 15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4월 소매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6% 하락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566.4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6 홍콩 홍콩 상장사, 2021년부터 기업평가(ESG) 공시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20.01.07.
915 홍콩 홍콩 금융권 ‘좋은 시절 다 갔나?’ file 위클리홍콩 20.01.07.
914 홍콩 홍콩 주민, 광저우 대중교통 모바일 결제 가능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01.07.
913 홍콩 새해 첫 아파트 분양, 1:20 경쟁률 ‘기분 좋은 시작’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12 홍콩 홍콩 달러 가치, 통화 간 수익률 3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11 홍콩 노년층·편부모·실업자 특히 빈곤 위험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10 홍콩 중국우한지역 폐렴증상 환자, 타지역으로의 확산은 안돼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09 홍콩 대학, 개강 앞두고 출입 통제·교내 보안 강화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08 홍콩 오션파크, 홍콩 정부에 HK$ 100억 긴급수혈 요청 file 위클리홍콩 20.01.14.
907 홍콩 소외계층을 위한 HK$100억 지원책 추가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6 홍콩 징수 못한 공공장소 사용료 수백만에 달해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5 홍콩 첫번째 가상은행 출범 ‘6% 예금이자로 공격적 홍보’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4 홍콩 정부, 오션파크 HK$106억 긴급 수혈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3 홍콩 홍콩 부모 안전한 곳 찾아 탈(脫)홍콩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2 중국 中 지하철 안면인식, 찬반 논쟁 여전해 file 위클리홍콩 20.01.21.
901 홍콩 홍콩 신종 코로나 전세계로 확산 file 위클리홍콩 20.02.03.
900 홍콩 마스크 품귀현상에 사기 피해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20.02.03.
899 홍콩 우한 폐렴에 中 1분기 GDP 4%까지 감소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0.02.03.
898 홍콩 작년 홍콩 수출 –4.1%, 10년래 최대 하락폭 file 위클리홍콩 20.02.03.
897 홍콩 코로나 확산 우려에 대부분 관광명소 임시 폐쇄 file 위클리홍콩 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