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qi7nsVk8_0a66fdd3f853f473

플로이드 마지막 추도식 1만 명

한인사회도 소수계 차별에 울분

 

경찰 공권력 남용에 의해 비참하게 숨진 조지 플로이드의 마지막 추도식이 열렸다. 추도객 약 1만 명은 플로이드의 영면을 기원했다. 남가주 LA다운타운, 롱비치, 레세다, 샌타애나에서도 추도식이 진행됐다.

 

정오 무렵 LA다운타운 1가와 브로드웨이에서는 시민들이 모여 평화행진을 하고 플로이드를 추모했다. LA 등 한인사회는 '남의 일'이 아니라며 연대와 인종차별 철폐를 강조했다.

 

눈물의 추도식

 

8일 정오(중부 표준시) 텍사스 휴스턴 ‘파운틴 오브 프레이즈(Fountain of Praise)’ 교회에서는 백인 경찰의 무릎 목 누르기로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의 마지막 추도식이 열렸다. 휴스턴은 플로이드의 고향이다.

 

 

이날 추도객은 두 줄로 나뉘어 입장해 플로이드가 잠든 금빛 관을 바라보며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시민들은 눈물을 흘리며 영전에 꽃다발을 바쳤다. 일부는 경찰 폭력과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의미로 관 앞에서 불끈 쥔 주먹을 들어 올렸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주 주지사와 현지 경찰관들도 추도식장을 찾아 플로이드의 관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

 

추도식장 앞에는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M·Black Lives Matter)는 문구가 들어간 화환이 시민들을 맞았다.

 

추도식장에는 구름 인파가 몰렸다. 유족을 대리해 장례 절차를 주관하는 포트벤드 메모리얼 플래닝 센터는 “조문객이 1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플로이드 장례식은 유족과 일부 초청객만 참석해 오늘(9일) 휴스턴에서 비공개로 거행된다. 그의 유해는 어머니가 묻힌 휴스턴 외곽 메모리얼 가든 묘지에 안장된다.

 

한인들 ‘인간 존엄’ 강조

 

LA 등 한인사회는 흑인 조지 플로이드 목을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백인 데릭 쇼빈에게 ‘인간의 존엄’을 물었다.

 

특히 한인들은 미국 사회가 소수계 이민자 또는 피부색을 이유로 차별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플로이드의 억울한 죽음이 한인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컸다. 이들은 플로이드 사망 관련 항의시위를 남의 일로 바라보지 말고, 한인사회도 적극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에나파크 거주 로버트 오(35)씨는 “경찰이 내 옆집 사람을 비참하게 줄일 수 있다면, 그 잘못된 공권력으로 나도 죽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면서 “인종이 다르다고 이번 사태를 무시하고 방관하면 우리는 계속 소수계로 살아간다. 모두가 관심을 두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가디나에 사는 이혜민(27)씨는 “같은 소수계로서 플로이드 죽음이 슬프고 화가 났다. 사람이 사람으로 존중받지 못한 모습을 보면서 미국의 ‘가식’도 느껴진다. 이번 일은 씁쓸한 미국의 단면”이라고 안타까워했다.

 

한인사회가 플로이드 사망 관련 항의시위를 숨죽인 듯 지켜본 모습을 반성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LA한인타운 로데오 갤러리아 한 화장품점 직원은 “지난주 시위 과정에서 약탈 피해가 있었지만 ‘폭동’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한인타운 등) 우리가 과민반응한 모습도 있지 않나. 소수계가 당한 차별을 같이 억울해하자"고 말했다.

 

경찰 공권력 남용 및 인종차별 철폐 항의시위를 지지하고 동참하는 움직임도 눈에 띈다. 최근 카카오톡 프로필로 검은색 우산 아래 ‘블랙시위’라고 써진 사진을 올린 한인도 늘었다.

 

김해원 변호사는 “플로이드 사망은 유색인종이라면 누구나 상관있다. 경찰을 싸잡아 비난하지 않는 수준에서 다같이 추모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주 LA다운타운 항의시위 현장에서 흑인 커뮤니티 관계자를 만난 그레이스 유 LA시 10지구 시의원 후보는 “한인사회가 차별받은 사람은 보호해야 한다는 마음과 연대하는 모습을 보이자”고 강조했다.

 

미주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57 캐나다 캐나다, 불어권 노동자를 위한 새로운 이민 정책 개발 file Hancatimes 23.05.13.
8856 캐나다 퀘벡주, 장기 기증 관련 법안 변경 예정 file Hancatimes 23.05.13.
8855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불법 택시 문제로 인한 안전 우려 file Hancatimes 23.05.13.
8854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19일부터 파업 시작 file Hancatimes 23.05.13.
8853 캐나다 퀘벡주 의료 개혁 법안, 의료 전문가들의 불만 쏟아져 file Hancatimes 23.05.13.
8852 캐나다 일부 지자체 및 자치구, 정전 피해 주민을 위한 전자기기 충전 서비스 및 대피처 오픈 file Hancatimes 23.05.13.
8851 캐나다 하이드로 퀘벡, 24시간 안에 1/3이상 가구 다시 복구 예상 file Hancatimes 23.05.13.
8850 캐나다 퀘벡 주, 16세 이하 청소년은 일주일에 최대 17시간까지 일 할 수 도록 제한 file Hancatimes 23.05.13.
8849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퀘벡 주 예산안에 실망 file Hancatimes 23.05.13.
8848 캐나다 BC주 삶의 만족도 상대적으로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2.
8847 캐나다 세계적 플루리스트 최나경 밴쿠버서 VMO와 협연 밴쿠버중앙일.. 23.05.12.
8846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한 마약 밀매 조직 대규모 소탕 밴쿠버중앙일.. 23.05.12.
8845 미국 플로리다 사형 선고, '배심원 만장일치' 요건 없애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44 미국 중국 국적 외국인, 플로리다서 부동산 소유 불가능해지나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43 미국 플로리다 새 오미크론 아형 변종 확산, 결막염 야기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42 미국 탬파베이 주택시장, 거래 감소에도 가격은 올라 코리아위클리.. 23.05.11.
8841 미국 플로리다서 반유대주의 부추기는 사례 증가 추세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40 미국 고인과 대화하는 공간, 탬파베이 공원... "바람아 전해다오"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9 미국 올랜도 새 주택단지, 모든 주택에 태양광 시스탬 의무화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8 미국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한국 방문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