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달러 강세에 4월부터 16회 외환시장 개입

저금리 정책에 홍콩 경기 회복 기대돼

 
10.png

(사진=scmp)

 

11일(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2년까지 기준금리를 0~0.25%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직후 홍콩 통화국도 같은 날 미 연준의 금리 정책에 따라 기존 0.5% 기준금리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에버브라이트 선헝카이(Everbright Sun Hung Kai)의 브루스 얌(Bruce Yma) 환율 전략가는 “홍콩 통화정책인 페그제에 따라 홍콩은 미국의 금리 정책을 추종한다. 즉 홍콩도 미국과 동일하게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국가안보법 제정, 코비드19 사태 등으로 홍콩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저금리 전략은 해외 자본 유치를 위한 좋은 전략이다”고 말했다.

 

에릭 초(Eric Tso) 엠레퍼럴 코퍼레이션(MReferral Corporation) 부회장은 “자본 유입과 저금리 기조가 홍콩 부동산 시장을 계속 뒷받침할 것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저금리 기조로 개인 및 기업들의 대출 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에 홍콩 경제 활성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하이보 연관 대출 금리가 지난 4월 이후 1 퍼센트 포인트 하락하면서 대출 이자가 줄어들었다. 30년 상환 5백만 홍콩달러 주택 담보 대출을 받았을 때 월 이자가 1,984 홍콩달러 감소한다.

 

미국의 저금리 정책에 따라 홍콩도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홍콩으로 이른바 핫머니(단기성 투기성 자금)가 대량 유입되고 있다. 현재 홍콩과 미국 간 금리가 50 베이시스 포인트 차이를 보이면서 금리 차이를 이용한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홍콩은 4월부터 418억 홍콩달러의 자본이 유입되면서 홍콩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저금리 기조와 해외 자본 유입으로 홍콩달러가 계속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달러가 계속 강세를 보이면서 통화국이 4월 21일부터 6월 11일까지 총 16차례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글로벌 금융 위기 극복을 위해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저금리 정책을 채택했던 홍콩은 7년 동안 1,300억 미국달러 자본이 홍콩으로 유입되었다. 당시에도 홍콩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환율밴드 하한선 끝단에 계속 도달하자 통화국이 수차례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이 7.75~7.85 밴드 사이를 유지시켰다.

 

홍콩 통화 체제를 악용한 홍콩달러 투기 세력의 공매도 공격도 작년부터 여러 차례 이어졌다. 지난해 홍콩 시위, 올해 코비드19와 국가보안법 제정 등 정치·경제적 불안이 높아지면서 일부 투자자들이 홍콩 증시 하락 및 페그제 붕괴를 예상하고 홍콩달러에 대한 공매도 공격을 가했다.

 

그러나 아서 위엔 (Arthur Yuen) 통화국 부국장은 “지난 1년 동안 홍콩달러 하락을 예상한 공매도 세력들이 ‘뜨거운 맛’을 보면서 페그제의 건재함을 증명했다. 향후 수개월 동안 유망 대형 IPO가 예정된 만큼 홍콩으로 핫머니가 대량 유입되면 홍콩달러가 계속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미중 긴장 고조와 중국계 기업에 대한 미국의 규제가 엄격해지면서 미국 증시에 상장했던 바이두, 넷이즈, JD닷컴, 씨트립 등 중국계 IT 기업들이 홍콩 증시 2차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673.0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6 중국 중국서 흑사병(페스트) 확진자 발생 file 위클리홍콩 19.11.19.
955 홍콩 홍콩 지방의회 선거, 압도적인 범민주 진영 승리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54 홍콩 지연되는 소득세 고지서, 곧 발부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53 홍콩 투자 심리 위축, 3분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약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52 홍콩 초소형 아파트 붐 사실상 ‘끝물’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51 홍콩 병원 당국, 독감철 대비 개선된 비말감염 검사 도입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50 홍콩 대학 교내에서 사라진 화학물질, 공공안전 위협 우려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49 홍콩 홍콩 사회불안으로 홍콩인들 '영국 거주권' 얻기 원해 위클리홍콩 19.11.26.
948 홍콩 CEPA 한층 더 개방해, 홍콩 기업의 중국 진출 용이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11.26.
947 중국 중러 한반도문제 해결 계속 추진 뉴스로_USA 19.11.29.
946 홍콩 10월 HK$ 예금 증가, 반면 외환보유고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5 홍콩 10월 홍콩 수출 9.2% 하락, 약 10년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4 홍콩 신계 브라운필드 재개발, 이주·보상 등 문제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3 홍콩 美, 中 반발에도 홍콩 인권법 서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2 홍콩 시민들 최루가스 장기 노출 두려움에 떨어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1 홍콩 지난 5년간, 야생동물 불만신고 75%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40 중국 중국, 휴대전화 ‘안면인식’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19.12.03.
939 홍콩 '세계 인권의 날' 기념집회, 홍콩시민 80만 명 다시 거리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2.10.
938 홍콩 세금 징수 지연으로 정부 세수 수십억 HK$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10.
937 홍콩 홍콩 정부, HK$ 40억 상당 4번째 구제책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