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식당들이 문을 열었다. 그렇다면 식당에 얼마나 가고 싶은가?
물리적 거리두기, 개인 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와 더 많은 부스 등 이제 외식하면 떠오르는 그림이 달라졌다. 일회용 종이 메뉴로 전환하고, 보도, 거리 또는 주차장으로 파티오를 확장하고, 직원들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캐나다 전역의 식당들이 점차적으로 다시 문을 열고 있다. 그런데 손님들은 돌아올 준비가 되었을까?
앵거스 레이드(Angus Reid)가 3개월간의 봉쇄생활 후 캐나다인들은 다시 외식을 기대하고 있지만, 18%만이 가능한 빨리 식당에 앉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38%는 여름 어느 시점에 처음으로 식당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33%는 COVID-19의 두 번째 웨이브가 지나간 후에 외식을 하려고 한다고 대답했다.
이번 보고서의 수석 저자이자 달하우지 대학(Dalhousie University)의 식품 유통 및 정책학 교수인 실베인 샬레보(Sylvain Charlebois)는 “우리는 사회적 동물로 결국 외출을 하게 될 것이며,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다시 사회적으로 관여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 위해 기다릴 수 없는 응답자들 중 퀘벡이 외식을 원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26%), 온타리오와 앨버타에서는 두 번째 웨이브에 대한 우려가 각각 43%와 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샬레보는 “지역적 차이는 주로 COVID-19 미디어 범위 때문이며, 사스캐치완 주에서는 온타리오와 같은 다른 주보다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캐나다인의 절반 이상인 52%가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외식을 미루고 있지만, 지역 식당에 투자를 해야한다는 결론을 제안했다. 응답자의 83%는 팬데믹 중 가장 좋아하는 식당에 주문을 했으며, 64%는 첫 번째 외출 때 독립 식당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대답했다.
달하우지 대학의 사회학 교수이자 보고서의 공동 연구자 중 한 명인 하워드 라모스(Howard Ramos)는 “대부분의 캐나다인들이 식당에 가고 싶다고 말해 좋은 소식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바로 가고 싶어하지 않아 나쁜 소식이기도 하다. 이는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에게는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들은 외식을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해 조심스러워 할지 모르지만, 설문조사에 따르면 그들은 독립 레스토랑을 가장 그리워하고 있다. 라모스는 중소기업들은 운영 재개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침에 맞추기 위해 추가 비용이 들어감으로써 재정적으로 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응답자의 26%는 일부 식당은 배치 때문에 회피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라모스는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은 더 넓게 펼쳐 놓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인들은 더 많은 플렉시 유리(Plexiglas, 60%)와 보호장비를 착용한 직원(78%)을 기대하고 있다. 이 또한 중소기업에게는 비용이 발생해 재정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샬레보는 “캐나다인들은 다시 외출하기를 원하지만, 밖으로 나가는 것을 조심스러워 하고 있다. 가장 그리운 식당으로 독립 식당을 열거하고 있지만, 방문해야 할 곳도 바로 이들 독립 식당들이다. 또는 상품권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이들 식당들이 재개를 늦추지 않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잘 알려진 체인이 전부가 아니다. 사람들은 소유권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으며, 이들이 실제로 지역 사회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팬데믹 다음 단계에서 외식은 다른 경험이 될 것이며, 설문 조사 결과 캐나다인들은 변화에 준비가 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더 적은 메뉴 옵션(29%)과 느린 서비스(36%)를 기대하고 있다. (박미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캐나다 캐나다는 과연 확진자수가 10만 명을 넘길까? 밴쿠버중앙일.. 20.06.11.
4096 캐나다 강경화 장관, "백신개발 후 공평·안정보급 국제사회 공조" 강조 밴쿠버중앙일.. 20.06.11.
4095 캐나다 시민권자/영주권자 직계가족 캐나다 입국 허용 밴쿠버중앙일.. 20.06.11.
4094 캐나다 뉴비스타 한인요양원 마침내 9월 12일 개원 예정 밴쿠버중앙일.. 20.06.12.
4093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연장...6월 23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6.12.
4092 캐나다 활동규제 완화 후 대중교통 이용자 큰 폭 증가 밴쿠버중앙일.. 20.06.12.
4091 캐나다 코로나19로 오히려 살만 쪘나? 밴쿠버중앙일.. 20.06.13.
4090 캐나다 BC 코로나19보다 마약과용 사망자 더 많아 밴쿠버중앙일.. 20.06.13.
4089 캐나다 4월 누계 한인 새 영주권자 1245명 밴쿠버중앙일.. 20.06.13.
4088 캐나다 주택화재 3명 사망, 한 명 살인사건, 나머지 두 명은? 밴쿠버중앙일.. 20.06.16.
4087 캐나다 해외서도 6·25전쟁 70주년 문화행사 이어진다. 밴쿠버중앙일.. 20.06.16.
4086 캐나다 BC주 연방보수당의원 인종차별 반대 영상 메시지 공개 밴쿠버중앙일.. 20.06.16.
4085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시 마스크 씁시다" 밴쿠버중앙일.. 20.06.17.
4084 캐나다 한국 캐나다 손잡고 코로나19 극복에 선도적 역할 밴쿠버중앙일.. 20.06.17.
4083 캐나다 (속보) 트뤼도, 캐나다응급지원금 8주 연장 선언 밴쿠버중앙일.. 20.06.17.
4082 캐나다 캐나다 캘거리 우박, 홍수로 심각한 피해 발생 - 2013년 대홍수때 보다 더 많은 주택 피해 file CN드림 20.06.17.
4081 캐나다 넨시 캘거리 시장, “인종 차별 반대 시위 자랑스러워” - 공중 보건과 인권 보호 사이 균형 이룰 수 있을 것 file CN드림 20.06.17.
4080 미국 장례/결혼식 허용 인원 50명까지 늘어 - 장례 가족들에게 도움돼 CN드림 20.06.17.
» 미국 캐나다 시민들, “외식 아직 조심스러워” - 응답자 18%만이 의사 밝혀 CN드림 20.06.17.
4078 미국 캐나다 재스퍼 국립공원 끔찍한 경기 둔화 - 여행객 끊기며 텅 빈 시내, 희망 있을까? file CN드림 2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