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 협의회 (회장: 우영무) 주최로 열린 6.25 전쟁 70주년 맞이 참전용사께 감사편지 쓰기 공모전 시상식이6월 20일 오클랜드한인회관에서 교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특히 89, 90, 92세의 6.25 참전용사 세분 (Walter Wyatt, Colin Stanbridge, Neil Butt)이 직접 참석하여 공모전에 참여한 이들을 격려하고 수상자들을 축하해 주어 더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581_9869.gif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이하여 뉴질랜드에 계신 참전 용사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교민사회에는 우리의 아픈 역사를 통하여 평화의 중요성과 희생의 숭고함을 후세들에게 교육할 기회를 만들고자 시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뉴질랜드 전국에서 5월 한달 간 초중등부 56편, 고등부 41편, 대학성인부 38편 등 총 135편의 감사 편지가 접수되어 그 의의를 한층 높여 주었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635_4962.gif
 

우영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 협의회장은 이날 시상식의 축사를 통해 “70년 전 알지도 못하는 조그만 나라의 평화를 위해 참전한 3,794명의 뉴질랜드 참전 용사들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의 표현을 담은 편지 쓰기 공모전을 열었다”고 이번 공모전의 의의를 설명하고, 뉴질랜드가 6.25전쟁 발발 직후 제일 먼저 참전을 결정한 국가였을 뿐만 아니라 전쟁 직후이던 1953년 67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국민총소득이 67년의 시간을 통해 500배 이상 증가한 대한민국의 놀라운 경제 발전이 뉴질랜드 참전 용사를 포함한 수 많은 이들의 숭고한 희생 위에서 이루어 졌음을 상기시켰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687_5329.gif 

멜리사 리 국민당 국회의원은 이번 공모전을 계기로 뉴질랜드의 참전 용사들을 더 많은 한인들이 기억해 줄 것과 함께 뉴질랜드의 참전 용사들 중 유일하게 아직 돌아오지 못한 로버트 마키오니 해병을 언급하며 언젠가는 그의 유해가 발견되어 뉴질랜드로 돌아오기를 기대한다는 메세지를 전하였고, 홍배관 총영사와 변경숙 오클랜드한인회장은 이번 공모전의 의의를 되새기며 더 많은 교민들이 뉴질랜드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의 국경일 행사 들에도 참여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그리고 뉴질랜드한국전참전용사회 NZKVA 오클랜드 지회를 대표하여 인사말을 전한 Neil Butt씨는 “우리의 참전을 잊지 않고 이처럼 훌륭한 행사를 열어 감사하다”는 소감을 말했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753_3727.gif
 

현지 역사학자와 교수, 한인 원로와 전문인 등을 포함한 총 6명(한인, 현지인 각 3명) 으로 이루어진 심사위원들을 대표하여 심사평을 나눈 한뉴우정협회 회장 리차드 로렌스 교수는 대부분의 공모전에 제출된 편지들이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에 평가가 쉽지 않았음을 토로하였고, 진정성과 깊은 사려가 느껴진 작품들과 6.25에 참전한 뉴질랜드 참전 용사들이 겪은 역사적 사건들, 그리고 이와 함께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으로서 개인이나 부모나 조부모의 이야기들을 엮어 교차점을 찾는 노력 등에 좀 더 후한 점수를 주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801_1158.gif
 

이번 공모전의 총 34명의 수상자에는 8세의 박현지 학생부터 79세이신 이영임 어르신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수상자들이 포함 되었고 대상은 대학성인부로 참가한 천면환 씨의 편지가 선정되었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845_2325.gif
 

오클랜드, 뉴 플리머스, 파머스톤 노스 한글학교 대표로 상을 받은 오클랜드 한국학교 유치부 3살 정고은 양은 직접 그린 그림을 참전용사께 전달하였는데 아흔이 넘은 고령에도 고은양을 번쩍 들어올려 반갑게 안아주는 참전 용사의 모습은 많은 이들의 가슴을 훈훈하게 하였고 대상을 받은 천면환씨는 수상 후 거수경례로 참석한 참전용사들께 경의를 표하며 서로를 향한 감사의 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해밀턴에 거주하며 응모한 송다은, 송하은 자매는 고등부 교육원장상과 참전용사상을 각각 받았는데 함께 수상하러 온 두 자매의 어머니는 자녀들의 작품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수상작으로 선정 되었다는 뒷 소식에 깜짝 놀라 두배의 기쁨을 누렸다고 한다. 비록 학생들의 아버지가 락다운으로 서울에 발이 묶여 있어 함께 축하하러 못온 점은 아쉬웠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참전용사들께 더 큰 감사를 느낄 수 있었다며 이 행사를 주관한 뉴질랜드 민주평통에 감사한다고 전해왔다.

 

 

29f4e0799101b4a88e38e6890472490f_1592892895_1971.gif
 

이번 공모전의 34편의 수상작 외에도 엄선된 수작들을 포함 총 61편의 감사 편지들은 책자로 만들어질 예정이며, 제작된 책자는 6월25일 참전 용사들과 가족들에게 전달 될 예정이다.

 

 

 

=== 수상자 명단 ===

 

 

 

대상 - 천면환 (대학성인부)

 

 

 

<초중등부>
최우수상 – 이도현
국회의원상 – 박현성

 

우수상 – 이효주, 서지아
교육원장상 – 박하은

 

참전용사상 – 정요셉, 최민서, 박지후, 손희서, 김채아, 박현지

 

 

 

<고등부>
최우수상 – 홍지연
대사상 – 박한비

 

국회의원상 – 박범수

 

우수상 – 임하은, 홍지선

 

교육원장상 – 송다은

 

참전용사상 – 박시후, 권비송, 권윤영, 이채운, 송하은

 

 

 

<대학성인부>
최우수상 – 김전우

 

국회의원상 – 유하정

 

우수상 – 구아영, 이지은

 

교육원장상 – 이영임

 

참전용사상 – 이혜민, 임다솜, 김공래, 김연수, 김소엽, 권민경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23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3222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3221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3220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3219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3218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3217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3216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3215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3214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3213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3212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3211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3210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9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8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7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6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5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3204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