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는 전쟁이 없기를" 

625 전쟁 70주년 행사가 6월 25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클랜드 한식당 자미에서 있었다. 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협의회에서 열린 이 행사에는 29명의 참전용사들과 가족들이 참석해 지난 5월 31일 마감되었던 "참전용사께 감사편지쓰기" 공모전에 제출된 글들을 모은 책자 전달식이 있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1453_0676.png
 

이 자리에는 그동안 한인 사회에서 준비한 참전용사와 함께 하는 행사에 자주 얼굴을 내보인 사람들도 많았지만, 처음 한인 커뮤니티 행사에 참석한 참전용사와 그 가족도 있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1471_9688.png
 

특히 6년전 만났던 참전용사와 한인 1.5세대 고등학생 소녀는 한식당 자미에서 6년만에 만나 반가움을 나누었다.  고등학생 홍지연양은 참전용사께 감사편지 쓰기 공모전에서 고등부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홍지연양은 이날 행사에서 직접 본인이 적은 감사의 편지글을 낭송하기도 했다. 홍지연 학생은 이날 참석한 참전용사에게 쓴 편지글로 최우수상을 받았는데 그 참전용사를 6년 만에 만나서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1492_1609.png 

고등부 대사상을 수상한 박한비 학생도 본인의 편지글을 참전용사들 앞에서 읽었으며, 이 학생은 편지글을 읽으며 깊은 감사의 마음에 울컥 하기도 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1528_0071.png
 

전쟁의 참담함을 겪었던 참전용사들이 또다른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19기 민주평통 뉴질랜드협의회 자문위원들은 참전용사께 감사편지쓰기 공모전에 제출된 책자를 전달하며 뉴질랜드의 참전용사들과 함께 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1542_5612.png  

19기 민주평통 뉴질랜드협의회 우영무 회장은 지난 6월 20일 참전용사께 감사편지쓰기 시상식을 한인회관에서 가졌고, 6월 25일에는 참전용사님들을 한식당 자미에서 따로 모시고 행사를 하게 된 것은 이제는 나이가 들어 거동이 불편한 참전용사들이 많기 때문에 그들을 배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참전용사께 감사편지쓰기 공모전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고, 시상식에서 긴 시간동안 참전용사들이 기다리는 것은 힘들 수 있으므로, 시상식과 별도로 참전용사들을 모시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2191_1578.png
 

이날 참전용사들에게 전달된 감사편지쓰기 공모전 책자 "Veterans, Long live your Brave souls!' 에는 공모전에서 수상한 편지글 이외에도 아쉽게도 수상은 하지 못했으나, 감동을 주는 글들이 담겼다. 

 

a23f8a843c68463ec6d7c7bb8d4c4f64_1593112361_0443.png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625전쟁 70주년 기념사를 통해 참전유공자와 유가족에게 감사를 표했다.  "조국은 단 한 순간도 잊지 않았습니다", 한국전 70주년을 맞아 147명 용사의 유해를 모시고 70년만의 귀환을 환영하는 엄숙한 시간을 통해 "슬프고도 자랑스러운" 전쟁의 역사 속에 희생된 영웅들을 추모했다. 문대통령은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625전쟁을 진정으로 기념할 수 없음을 기념사를 통해 밝혔고, 남북의 화해와 평화가 전 세계 희망으로 전해질 때,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에 진정으로 보답하게 될 것이라는 말로 기념사를 마무리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03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2902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2901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2900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9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8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7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6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5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4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3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2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1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2890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2889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2888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2887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2886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2885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2884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