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jpg

‘Coronavirus shutdown’ 상황에서 특히 35-44 연령층의 여성 음주량이 두드러지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조사한 ANU 연구팀은 스테르스와 불안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사진 : Flickr / Flood 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조사... 20%가량, 평소보다 음주 늘어

 

갑작스럽게 닥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는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감염자 차단을 위한 ‘셧다운’은 한순간 수십 만 명의 실업자를 만들어냈으며, 재택근무와 홈 스쿨링(home-schooling), 지방이주 증가, 심리적 압박과 우울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여러 변화들 가운데 또 한 가지 두르러진 것이 있다. 세계적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 제한조치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알코올에 의지한 이들이 늘었다는 것이다.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 가운데 거의 20%가 ‘Coronavirus shutdown’ 상황에서 평소에 비해 더 많은 알코올을 섭취했다.

ANU의 조사대상 가운데 3분의 1은 한 주에 3~4잔정도 음주량이 늘었으며, 26.4%는 한 주에 5잔 이상 마셨다는 답변이었다. 일반적으로 음주량을 과소 보고하는 경향을 있음을 감안할 때 실제 마신 양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는 제한조치 속에서 추가로 가족을 간병해야 하는 여성의 경우 음주량이 더 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사를 진행한 ANU의 선임연구원 니콜라스 비들(Nicholas Biddle) 교수는 “유급 업무를 지속한 여성의 경우 추가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진 가운데 이들의 ‘비급여 업무’(가사, 가족 돌봄 등) 또한 증가했다”며 여성들의 음주량 증가를 설명했다.

호주 보건당국의 음주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한 주에 10잔 이하의 음주량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음주의 안전 수준이나 건강상의 이점은 없다.

ANU의 연구팀은 지난 달(5월) 한 달 동안, 호주 전역 3,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제한 조치 상황에서의 음주량을 조사한 뒤 이를 지난 2년간의 음주습관과 비교했다.

 

음주, 스트레스 완화 수단으로...

 

조사 결과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음주 가능성이 1.3배 높았다. 특히 음주량이 늘어난 여성은 대학을 졸업한 35-44세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다.

평소 한 주에 3일 이상 음주를 했던 이들은 COVID-19에 의한 추가적인 압박감으로 술을 마시는 경향이 더 컸다.

남성과 여성 모두 음주량이 늘어난 주된 이유는 ‘Coronavirus shutdown’ 상황에서 집에 갇혀(?) 있어야 하며, 술을 마시지 않는 장소(직장)로 나가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가운데 여성의 경우 음주량 증가 요인이 스트레스와 불안감에 기인한 반면 남성은 지루함과 실직, 업무시간 감소가 알코올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 건강이 좋지 않았던 남성 및 보다 나은 지역에 거주하는 남성들 또한 제한조치 속에서 더 많은 알코올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병과 음주 사이의 연결고리

 

연구원들은 ‘Coronavirus shutdown’ 상황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음주량이 증가한 것에 대해 돌봄의 불균형(imbalances in caregiving)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족구성원을 돌보아야 하는 여성의 수는 올해 초반, 더 증가(18.6%에서 20.9%)했으며 이들 가운데 3분의 1은 이전에 비해 음주량이 더 많아졌다는 답변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가족 구성원 중 누군가에 대한) 돌봄의 책임을 가진 남성은 이전 4.1에서 5.9% 증가했을 뿐이다.

비들 교수는 “비교적 짧은 기간(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제한 조치 기간) 동안 여성들의 음주 패턴에 큰 변화가 있었다”며 “정부 정책에 이것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들에게 있어 스트레스와 시간적 압박감, 그들 스스로의 복지, 가족 구성원에 대한 걱정 등이 음주량 증가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부 정책을 통해 여성들이 갖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2.jpg

뉴카슬대학교(University of Newcastle) 심리학자인 샐리 헌트(Sally Hunt. 사진) 교수는 사람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고자 음주를 하는 경우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할 확률이 높다고 우려했다. 사진 : University Of Newcastle 제공

 

‘음주’라는 새로운 습관, 고착되나

 

뉴카슬대학교(University of Newcastle) 심리학자인 샐리 헌트(Sally Hunt) 교수는 35-44세 연령층의 여성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같은 시기에 술을 더 많이 마시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는 반응이다.

헌트 교수는 “물론 44-55세 사이 여성의 경우, 높은 음주 위험 계층”임을 전제하면서 “35세에서 55세 사이 여성은 대개 자녀를 두고 있고 풀타임 직종에서 일하며, 업무 후에는 자녀를 돌보는 역할을 한다”며 “이는 꽤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염병 학자이자 알코올 문제 전문가이기도 한 플린더스대학교(Flinders University) 엠마 밀러(Emma Miller) 박사는 “행복과 불행의 시기에 알코올은 여성들의 삶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보이곤 한다”고 설명했다.

“술은 좋은 행동, 열심히 일한 것에 대한 하나의 보상 측면에서 강한 의미를 갖는다”는 밀러 박사는 “반면 자신에게 닥친 좋지 않은 일에 대해서는 일종의 구원과도 같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헌트 교수는 ‘Coronavirus shutdown’이 완화되면서 늘어난 음주 습관이 계속될런지 아닌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 같은 상황을 겪어본 바 없기 때문”이라는 그녀는 “앞으로 연구원들이 이를 이해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헌트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 제한조치에 따른 스트레스 가중을 알코올에 의지했다면 우선 본인의 높은 불안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알코올 연구-교육재단(Foundation for Alcohol Research and Education. FARE)은 제한조치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험 요인들에 대처하는 정부의 즉각적 정책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FARE의 카테리나 지오르지(Caterina Giorgi) 위원장은 여성들의 음주량 증가를 우려하면서 “각 주 정부들이 주류 업계의 공격적 마케팅에 대처하고 심야 음주장소 및 온라인을 통한 주류 배달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2-1.jpg (File Size:58.5KB/Download:36)
  2. 2-2.jpg (File Size:59.0KB/Download:3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351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부 한 바, 경찰관도 함께 노래 실력 보여 file NZ코리아포.. 20.11.30.
5350 뉴질랜드 밀포드 트랙 전 구간, 다시 문 열어 file NZ코리아포.. 20.11.30.
5349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무역흑자 “28년 만에 최대 기록” file NZ코리아포.. 20.11.29.
5348 뉴질랜드 NZ, 자유 무역 협의 FTA에 서명 file NZ코리아포.. 20.11.16.
5347 뉴질랜드 ‘코로나19’ 백신 “내년 초에 국내에도 공급될 듯” file NZ코리아포.. 20.11.10.
5346 뉴질랜드 해외 거주 키위 50만 명, 뉴질랜드로 귀국 예정 file NZ코리아포.. 20.11.09.
5345 뉴질랜드 2020 총선 공식 결과 발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 file NZ코리아포.. 20.11.09.
5344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가장 아름다운 도시, '해밀턴과 황가누이' NZ코리아포.. 20.11.02.
5343 뉴질랜드 금년 NZ 최고 소시지는 “조카와 숙모가 만든 스웨덴식 소시지” NZ코리아포.. 20.10.31.
5342 호주 COVID-19 회복 환자들, ‘바이러스 후 피로증후군’ 겪을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41 호주 파트너 비자 신청자들, ‘기능 수준’의 영어구사 능력 필요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40 호주 Travel and COVID-19... 2000년대 행복했던 여행의 기억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9 호주 시진핑 체제에서 중국은 대만을 침공할 수 있을까...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8 호주 타스마니아-Kangaroo Island, 태평양 지역 ‘최고의 섬’ 여행지 꼽혀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7 호주 TAS, 10월 19일 NSW 주 대상 경계 해제여부 결정키로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6 호주 주 4일 근무... 일과 삶의 균형 찾기는 요원한가...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5 호주 COVID-19 사망자 100만 명, 지금까지 밝혀진 5가지 사항은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4 호주 Federal Budget 2020-21 ; Winners and Losers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3 호주 Federal Budget 2020-21 ; 급격한 경제침체 속, 경기부양에 ‘초점’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2 호주 시드니 여행, ‘꼭 방문할 곳’을 꼽는다면...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1 호주 호주 내 ‘불법’ 농장 노동자들, ‘사면’ 받을 수 있을까...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0 호주 항공경제학자, “국경폐쇄 지속되면 항공사 직원 95% 실직...”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9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파킨슨병 등 신경질환 속출 불러올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노숙자 증가 위험’ 경고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7 호주 시드니-멜번 주택가격, 9월에도 하락 이어져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6 호주 COVID-19 사망자 100만 명... 10가지 차트로 본 전염병 사태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5 호주 ‘전염병’은 보통 언제 소멸되나, 또 COVID-19는 언제 끝날까...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3 호주 COVID-19 백신이 일반에게 접종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2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2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1 호주 올해 ‘Archibald Prize’, 원주민 예술가들 ‘강세’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0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해외 입국자 ‘의무적 호텔 검역’ 변경 계획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19 호주 센트럴코스트의 데일리스 포인트, 여름 휴가지로 급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18 호주 벌크선 Patricia Oldendorff 코로나 확진자 수 17명으로 늘어, 보건당국 "통제 자신 있어"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7 호주 Kalgoorlie 지역 북부 숲길 통해 몰래 서호주로 들어온 남성, 전자발찌 착용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6 호주 서호주 철광석 가격 상승에 기인한 세수 흑자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5 호주 COVID-19 백신이 배포된다면, 우선 접종대상은 누가 되어야 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4 호주 삽화를 통해 본 시드니... 식민지 이후 250년 사이의 변모 과정은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3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1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2 호주 호주, 백신 공동구매-배분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 합류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1 호주 ‘Pyrocene fire age’... “호주의 대처가 해결방법 제시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0 호주 국제학생 관련 업계, “시장 회복까지는 수년이 소요될 것...”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9 호주 빅토리아-남부호주 주 정부의 ‘경계 봉쇄’, 집단소송으로 이어질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8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수요 감소로 내년 이후 가격하락 예상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7 호주 COVID-19로 인한 호주의 ‘해외여행 금지’ 조치, ‘합법적’인 것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6 호주 농장 일을 하면서 비키니를 입으라고?... 백패커 인권침해 심각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5 호주 중국의 ‘하이브리드 전쟁’... 3만5천여 명의 호주 주요 인사 감시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4 호주 죄수 수용으로 시작된 역사도시 ‘프리맨틀’, 이렇게 즐긴다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3 호주 멜번-시드니 등 주요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상승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2 호주 옥스퍼드대학교-아스트라제네카, ‘백신시험 재개’ 발표 file 헬로시드니 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