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지난 2011년과 2016년의 호주 인구조사(census)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정책 싱크탱크인 ‘Regional Australia Institute’가 밀레니엘 세대의 이주 동향을 분석한 결과 젊은층의 지방 지역 이주욕구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시드니 서부에 거주하던 하이스쿨 교사 톰 페넬(Tom Fennell)씨. 그는 4년 전, 보다 편리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해 시드니 북부 내륙 도시 오렌지(Orange)로 이주했고, 지금은 이전보다 행복감을 갖고 있다.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분석... 출퇴근 편의도 한 요인

 

대도시를 벗어나 규모가 작은 지방도시나 한적한 타운으로 이주하려는 젊은이들이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호주의 인구 동향을 분석한 이 보고서는 호주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s)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지역정책 싱크탱크인 비영리 연구기관 ‘Regional Australia Institute’(RAI)는 지난 6월 23일(화) ‘Big Movers: Population Mobility in Australia’라는 제목으로 내놓은 보고서에서 지난 2011년에서 2016년 실시된 인구조사(census) 자료를 기반으로 5년 사이의 인구이동 상황을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이 기간(2011-2016년), 지방 지역에 기반을 둔 20세에서 35세 사이 젊은층의 경우 이주를 하더라도 각 주 대도시(capital cities)보다는 다른 지방 지역을 선택하는 이들이 많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호주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시드니의 경우 같은 기간, 밀레니얼 세대를 받아들인 것보다 더 많은 젊은이들을 잃었다. 시드니를 벗어나 지방 지역으로 이주한 이들이 더 많았던 것이다.

물론 다른 대도시들이 시드니와 같은 추세를 보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RAI 지역 이코노미스트이자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킴 호튼(Kim Houghton) 선임 연구원은 “밀레니엄 세대(그는 이들을 ‘황금세대’-golden demographic-라 칭했다)는 지방지역 커뮤니티가 제공할 수 있는 혜택을 더 많이 의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이스쿨 교사인 톰 페넬(Tom Fennell, 33)씨는 바로 이런 밀레니얼 세대 중 한 사람이다. 4년 전, 페넬씨는 시드니 서부지역에 거주하다 시드니 북서부의 중소도시 오렌지(Orange)로 이주했다.

시드니 서부에서 부모 집에 거주했던 그는 “재직하는 학교까지 출퇴근 하는 데 2시간이 소요됐었다”며 “지금은 자동차로 8분 거리에 직장이 있다”고 말했다.

직장이 가까운 것 이상으로 좋은 점은, 약혼녀인 줄리엣 호손(Juliet Hawthorn)과 함께 시드니와 달리 큰 재정적 부담 없이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올해 초 오렌지에 ‘내집 마련’을 이루었다.

“퇴근 후 집에 와서도 ‘이 집이 내 소유’라는 것을 온전하게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그는 “내게 있어 이는 아직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시드니에서의 내집 장만 고민이 아주 수월하게 해결된 것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5-2.jpg

톰 페넬씨와 약혼녀 줄리엣 호손(Juliet Hawthorn)씨. 톰은 오렌지로 이주한 뒤 줄리엣을 만났고, 시드니에 거주할 때보다 재정적, 정신적 여유를 만끽하고 있다.

 

게다가 더 많은 재정적 여유도 생겼다. 그는 “시드니에 거주할 때보다 국내 및 해외여행을 더 많이 다녔다”면서 “지금 매우 행복하고, 이곳에서 계속 거주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톰의 친구이자 약사인 애니카 룩야드(Annika Rookyard)씨는 2년 전 캔버라(Canberra)에서 오렌지로 거주지를 옮겼다. 그녀는 “작은 도시이지만 젊은이들이 많고, 늘 흥미로운 일도 있다”고 말했다.

 

보다 깊이 뿌리내리기

 

인구 약 4만 명의 오렌지는 농장과 와이너리, 고풍스런 타운들로 둘러싸인 도시이며 시드니에서 자동차로 약 3시간 거리에 있다.

RAI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오렌지는 밀레니얼 세대들이 이주하고자 하는 전형적인 중소도시 중 하나로 대형 종합병원, 공항, 대학이 들어서 있으며 다양한 직종의 일자리, 도시와 농촌지역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호튼 연구원은 지방 커뮤니티 지도자들은 밀레니얼 세대를 인구통계학에서 ‘황금세대’로 인식하고 있기에 이들에 맞는 정책 개발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말한다. 지방 도시들이 젊은층의 이주를 적극 유치하고 또 이들의 이탈을 막고자 주력한다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16년 사이, 전체적으로 약 17만9천 명의 밀레니얼 세대가 지방 지역에서 각 주 대도시로 이주했다. 이는 각 주도(capital cities)에서 지방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이들에 비해 3만2천 명가량 더 많은 수이다.

반면 같은 기간, 거주지를 옮긴 20만8천 명의 밀레니얼 세대는 지방 지역에서 대도시가 아닌, 다른 지방으로 이주했다.

이들이 선택한 주요 지방도시는 골드코스트(Gold Coast, Queensland), 뉴카슬(Newcastle, NSW), 선샤인코스트(Sunshine Coast, Queensland)였다. 또한 질롱(Geelong, Victoria), 케언즈(Cairns, Queensland), 발라랏(Ballarat, Victoria), 메이틀랜드(Maitland, NSW), 벤디고(Bendigo, Victoria), 레이크 매콰리(Lake Macquarie, NSW)도 인기 있는 이주 도시들이다. 아울러 대도시를 떠난 이들의 경우 대부분은 같은 주(State)의 지방도시를 선택했다.

그런 한편 보고서는 고소득 직종으로 알려진 광업 분야 일자리가 있는 지방 지역은 밀레이얼 세대들이 선호하는 지방도시이지만 특히 대도시에서 거주지를 옮기려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설명했다.

 

5-3.jpg

퀸즐랜드(Queensland) 주 북부, 타운스빌(Townsville)에 거주하며 내륙 오지의 광산에서 일하던 알란 만(Alan Mann. 오른쪽)씨는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하는 불편을 벗고자 오렌지의 광산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제는 매일 출퇴근할 수 있어 가족들이 더 좋아한다고 말했다.

 

2019년 11월, 퀸즐랜더(Queenslanders. 퀸즐랜드 주 거주자들을 일컫는 말)인 알란과 케이틀린 만(Alan and Kaitlin Mann)씨 부부는 세 명의 어린 자녀를 데리고 오렌지로 이주했다.

퀸즐랜드 북부, 타운스빌(Townsville)에 거주하던 알란은 이 지역의 한 광업회사에서 FIFO(Fly-in fly-out. 집에서 출퇴근하지 않고 작업장에 근무하며 일정 기간 한 번씩 집으로 가는 근무방식. 먼 내륙 오지에 있는 광산회사에는 이런 방식으로 근무할 수밖에 없다)로 일하던 디젤 기계공이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했던 그는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꾸기로 마음먹었고, 오렌지 도심에서 30분 거리에 있는 금광회사 ‘Cadia’로 이직했다.

케이틀린은 오렌지로 옮긴 뒤 “이제 아빠가 매일 집에 오기 때문에 아이들이 더 좋아하며 앨란 또한 저녁마다 아이들과 놀아주는 것을 행복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알란이 집에 왔다가 다시 회사로 돌아갈 때, 그를 타운스빌 공항에 내려주면 아이들은 차량에 앉아 울곤 했다”고 덧붙였다.

만씨 부부는 현재 오렌지의 한 주택을 임대해 살고 있지만 조만간 도시 외곽의 토지를 매입, 직접 주택을 지을 계획이다.

호튼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호주 지방 지역의 활기는 식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모든 연령대에 거쳐 2011년에서 2-016년 사이 각 대도시로 이주한 젊은층보다 지방도시를 선택해 거주지를 옮긴이들이 6만5천 명 더 많았다.

 

5-4.jpg

‘Regional Australia Institute’의 선임 연구원인 킴 호튼(Kim Houghton) 박사. 그는 젊은층의 지방 지역 이주 움직임을 감안할 때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호주 지방도시의 활기는 식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RAI는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지방 이주자들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호튼 연구원은 “호주의 전반적인 인구 동향은 대도시로의 집중보다 지방 도시로의 흐름이 더 많았다”면서 “이는 유럽 국가들과 비교할 때 호주 지방 지역이 갖고 있는 경제적 요인, 낮은 교통혼잡도, 도시 생활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때문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 RAI의 조사결과 요약

-2011년에서 16년 사이, 지방 지역으로의 인구 순유입 6만5,204명

-같은 기간, 대도시(capital cities)에서의 지방 지역 이주는 50만1,643명, 지방 지역에서 대도시로의 이주는 43만6,439명

-대도시 인구 감소는 시드니, 멜번(Melbourne), 애들레이드(Adelaide) 순으로 많았음

-5년 사이(2011년-16년), 총 120만 명 이상이 각 주 도시에서 지방 지역으로 이주했거나, 지방도시에서 다른 지방 도시로 이주

-20세에서 35세 사이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지방 지역에서 대도시로 이주한 이들이 더 많았지만(3만1,999명) 지방 지역에서 다른 지방 지역으로 이주한 젊은층은 20만7,510명에 달함

-학업 때문에 대도시로 거주지를 옮긴 젊은층의 30%가 학업 후 지방 지역으로 돌아옴

Source: ‘The Big Movers: Understanding Population Mobility in Regional Australia’ /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 밀레니얼 세대의 이주 현황

(2011-2016년 사이. 도시 : City to regional / Regional to city / Difference)

-Sydney : 36,973 / 32,535 / -4,438

-Melbourne : 32,309 / 43,982 / 11,673

-Brisbane : 35,278 / 49,362 / 14,084

-Adelaide : 11,552 / 13,728 / 2,176

-Perth : 17,690 / 20,833 / 3,143

-Hobart : 2,829 / 3,578 / 749

-Darwin : 3,603 / 5,316 / 1,713

-Canberra : 6,728 / 9,627 / 2,899

Source: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 모든 연령층의 이주 현황

(2011-2016년 사이. 도시 : City to regional / Regional to city / Difference)

-Sydney : 139,471 / 74,715 / -64,756

-Melbourne : 112,728 / 91,119 / -21,609

-Adelaide : 38,704 / 37,663 / -1,041

-Brisbane : 109,670 / 125,267 / 15,597

-Perth : 58,197 / 62,495 / 4,298

-Hobart : 8,974 / 10,637 / 1,663

-Darwin : 12,698 / 13,182 / 484

-Canberra : 21,201 / 21,361 / 160

Source: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96.4KB/Download:25)
  2. 5-2.jpg (File Size:74.5KB/Download:28)
  3. 5-3.jpg (File Size:148.1KB/Download:27)
  4. 5-4.jpg (File Size:85.9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351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부 한 바, 경찰관도 함께 노래 실력 보여 file NZ코리아포.. 20.11.30.
5350 뉴질랜드 밀포드 트랙 전 구간, 다시 문 열어 file NZ코리아포.. 20.11.30.
5349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무역흑자 “28년 만에 최대 기록” file NZ코리아포.. 20.11.29.
5348 뉴질랜드 NZ, 자유 무역 협의 FTA에 서명 file NZ코리아포.. 20.11.16.
5347 뉴질랜드 ‘코로나19’ 백신 “내년 초에 국내에도 공급될 듯” file NZ코리아포.. 20.11.10.
5346 뉴질랜드 해외 거주 키위 50만 명, 뉴질랜드로 귀국 예정 file NZ코리아포.. 20.11.09.
5345 뉴질랜드 2020 총선 공식 결과 발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 file NZ코리아포.. 20.11.09.
5344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가장 아름다운 도시, '해밀턴과 황가누이' NZ코리아포.. 20.11.02.
5343 뉴질랜드 금년 NZ 최고 소시지는 “조카와 숙모가 만든 스웨덴식 소시지” NZ코리아포.. 20.10.31.
5342 호주 COVID-19 회복 환자들, ‘바이러스 후 피로증후군’ 겪을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41 호주 파트너 비자 신청자들, ‘기능 수준’의 영어구사 능력 필요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40 호주 Travel and COVID-19... 2000년대 행복했던 여행의 기억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9 호주 시진핑 체제에서 중국은 대만을 침공할 수 있을까...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8 호주 타스마니아-Kangaroo Island, 태평양 지역 ‘최고의 섬’ 여행지 꼽혀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7 호주 TAS, 10월 19일 NSW 주 대상 경계 해제여부 결정키로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6 호주 주 4일 근무... 일과 삶의 균형 찾기는 요원한가... file 헬로시드니 20.10.16.
5335 호주 COVID-19 사망자 100만 명, 지금까지 밝혀진 5가지 사항은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4 호주 Federal Budget 2020-21 ; Winners and Losers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3 호주 Federal Budget 2020-21 ; 급격한 경제침체 속, 경기부양에 ‘초점’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2 호주 시드니 여행, ‘꼭 방문할 곳’을 꼽는다면...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1 호주 호주 내 ‘불법’ 농장 노동자들, ‘사면’ 받을 수 있을까...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30 호주 항공경제학자, “국경폐쇄 지속되면 항공사 직원 95% 실직...”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9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파킨슨병 등 신경질환 속출 불러올 수도...”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노숙자 증가 위험’ 경고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7 호주 시드니-멜번 주택가격, 9월에도 하락 이어져 file 헬로시드니 20.10.09.
5326 호주 COVID-19 사망자 100만 명... 10가지 차트로 본 전염병 사태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5 호주 ‘전염병’은 보통 언제 소멸되나, 또 COVID-19는 언제 끝날까...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3 호주 COVID-19 백신이 일반에게 접종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2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2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1 호주 올해 ‘Archibald Prize’, 원주민 예술가들 ‘강세’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20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해외 입국자 ‘의무적 호텔 검역’ 변경 계획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19 호주 센트럴코스트의 데일리스 포인트, 여름 휴가지로 급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10.01.
5318 호주 벌크선 Patricia Oldendorff 코로나 확진자 수 17명으로 늘어, 보건당국 "통제 자신 있어"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7 호주 Kalgoorlie 지역 북부 숲길 통해 몰래 서호주로 들어온 남성, 전자발찌 착용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6 호주 서호주 철광석 가격 상승에 기인한 세수 흑자 퍼스인사이드 20.09.29.
5315 호주 COVID-19 백신이 배포된다면, 우선 접종대상은 누가 되어야 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4 호주 삽화를 통해 본 시드니... 식민지 이후 250년 사이의 변모 과정은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3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1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2 호주 호주, 백신 공동구매-배분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 합류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1 호주 ‘Pyrocene fire age’... “호주의 대처가 해결방법 제시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10 호주 국제학생 관련 업계, “시장 회복까지는 수년이 소요될 것...”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9 호주 빅토리아-남부호주 주 정부의 ‘경계 봉쇄’, 집단소송으로 이어질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8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수요 감소로 내년 이후 가격하락 예상 file 헬로시드니 20.09.25.
5307 호주 COVID-19로 인한 호주의 ‘해외여행 금지’ 조치, ‘합법적’인 것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6 호주 농장 일을 하면서 비키니를 입으라고?... 백패커 인권침해 심각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5 호주 중국의 ‘하이브리드 전쟁’... 3만5천여 명의 호주 주요 인사 감시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4 호주 죄수 수용으로 시작된 역사도시 ‘프리맨틀’, 이렇게 즐긴다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3 호주 멜번-시드니 등 주요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상승 file 헬로시드니 20.09.18.
5302 호주 옥스퍼드대학교-아스트라제네카, ‘백신시험 재개’ 발표 file 헬로시드니 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