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jpg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관현, 호주와 중국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호주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 중 하나로 중국인의 호주 관광 및 유학을 제한함에 따라 수십 억 달러에 이르는 중국시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골드코스트(Gold Coast) 해변의 중국 관광객들. 사진 : Tourism and Events Queensland

 

지나친 중국 의존도 개선 필요, ‘청정 여행지’ 마케팅의 새로운 기회이기도

 

멜번을 기반으로 벌룬 관광회사를 운영하는 키프 손더스(Kiff Saunders)씨는 그의 벌룬을 채운 뜨거운 열기만큼 중국인 여행자로 그의 사업이 번성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실제로 지난 1999년 중국 공산당 정부가 서구 국가 가운데는 처음으로 호주를 ‘승인된 여행 목적지’로 지정한 이후 중국 관광객들이 호주를 찾기 시작했고, 그의 사업도 이들에 힘입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이어온 인바운드 여행사로의 성공은 현재 악몽이 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관련, 중국 공산당 정부가 자국민의 호주 관광을 금지시킨 때문이었다. 이는 호주가 코로나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유럽 국가들과 한 배를 타면서 중국의 경제 보복 중 하나로, 중국은 맨 먼저 소고기와 와인수입을 금지한 데 이어 호주산 보리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어 관광 및 유학생까지 금지시킨 상황이다. 관광 및 유학을 금지시킨 중국 공산당 정부의 명분은 ‘호주 내 인종차별 행위로 인한 안전 우려’였다.

중국의 이 같은 조치 이전까지 손더스씨의 벌룬 관광객 중 절반은 중국 관광객이었고, 이로 인해 그의 직원은 42명까지 늘어났다.

빅토리아 관광산업협의회(Victorian Tourism Industry Council)의 펠리시아 마리아니(Felicia Mariani) 회장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호주는 가장 큰 단일 국제여행객을 잃게 됐으며 호주 관광의 황금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손더스씨는 중국인 관곽 시장의 회복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지금 상황을 정치적이며 ‘백색소음’(white noise.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주파수가 맞지 않을 때 나는 것과 같은 소음)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은 여전히 호주의 최대 관광객 시장”이라고 말했다.

호주의 국제관광 산업은 연간 440억 달러 규모이며, 이중 중국 관광객에 의한 수입은 121억 달러에 이른다. 중국이 자국민의 호주 여행을 금지시킨 이유가 ‘인종차별’을 근거로 했다는 점에서 손더스 대표의 낙관과 달리 시장회복은 쉽지 않아 보인다.

20년 전 중국 당국이 호주를 ‘승인된 여행 목적지’로 지정한 후 현재 중국민들이 갈 수 있는 여행 국가는 140개에 달한다. 이는 중국인들의 해외관광이 얼마나 빠르게 확대되었는지를 말해준다.

중국의 빠른 국제여행 시장 성장과 함께 호주 관광산업의 호주 의존도도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상황 위축에 다른 호주 관광산업 취약성 및 중국과의 외교관계에서도 점차 힘을 잃게 했다는 지적으로 이어졌다.

손더스씨는 중국 대상의 관광시장 성장이 경이롭다고 말했다. “일본 대상의 국제여행 시장은 30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그는 “우리 정부가 더 이상 긴장관계를 멈추고 다른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호주정부 관광청(Tourism Australia)에서 근무했던 고위 간부 A씨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종식되고 국제여행이 다시 시작될 경우 호주 관광 마케팅 담당자들은 호주에서 휴가를 보내려 하는 다른 국가 여행자들에게로 시선을 돌릴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과 달리 중국 공산당 정부는 자국민의 해외여행을 제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를 지속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며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씨는 “하지만 시장 규모를 감안할 때 호주로 입국하는 중국인 관광객의 20%만 감소되어도 큰 타격이 될 것”임을 인정했다. 호주 관광산업은 중국시장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다른 국가에 대한 보복조치로, ‘관광’을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능력을 보여준 바 있다. 지난 2017년 한국이 중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요청에 따라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를 배치하자 중국은 그해 3월 한국에 대한 중국인 관광을 전면 금지시켰다. 이에 중국은 관광금지를 비롯해 수출제한의 보복조치를 취했고, 이로써 한국이 입은 피해 규모는 70억 달러에 이른다.

 

1-2.jpg

일각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호주는 청정자연과 안전한 여행지라는 이미지로 중국 외 다른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남부호주 캥거루 아일랜드(Kangaroo Island, South Australia)를 방문한 여행자들. 사진 : Tourism Australia

 

전체주의 국가인 중국 정부가 이 같은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중국의 여행유통 체계가 매우 규제적이어서 중국의 해외여행 산업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단체관광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연방 관광부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장관은 호주와 중국간 긴장관계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관광산업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장다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호주정부 관광청’(Tourism Australia)은 호주의 최대 관광시장인 중국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멜번 ‘Global Ballooning’의 손더스씨는 그 동안 중국시장에 대한 그의 투자를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호주정부 관광청과 협력해 중국관광객 유치에 성공했던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그는 호주 관관상업에서 중국을 대체할 시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어쩌면 인도가 대안일 수 있지만 이직은 중국시장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현실이다. 중국 관광객은 호주의 관광시장 전 부문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는 것이 우려되는 이유이다.

시드니 서부, 둔사이드(Doonside)에 자리한 ‘Featherdale Sydney Wildlife Park’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까지면 해도 전체 방문객의 20%가 중국인 관광객이었다. 이 동물원의 마케팅 매니저인 사라 앙(Sara Ang)씨는 중국 당국의 자국민 호주여행 금지 조치에도 낙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해외여행자 감소 부분을 국내여행자로 채울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그 동안 피더데일 동물원은 호주 기반의 중국계 여행사와 협력해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왔다.

서부호주(WA) 에디스 코완대학교(Edith Cowan University)의 관광경영학 대학원의 김상균 부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의 여파로 호주를 ‘청정 녹색국가이며 안전한 여행지’로 마케팅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신의 모국인 한국을 포함해 중국 외 다른 국가 여행자들에게도 매력적으로 비춰질 것이라는 얘기다.

김 부교수는 “호주는 여전히 중국 이외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게 있어 긍정적으로 인식된 인기 여행자”라며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여행자들은 더 똑똑하고 철저하며 조심스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기에 그들이 목적지를 선택한다면 호주처럼 안전한 곳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의 예측이다.

버밍엄 장관은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을 관리한 호주의 성공과 역량은 중국을 포함해 다른 국가 사람들에게 호주를 안전한 국가로 인식하게 만들었다”며 연방정부는 이를 전 세계에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호주와 뉴질랜드는 그 동안 막혀 있던 국가간 여행을 시작하려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여행으로 침체된 관광산업을 위해 호주는 국내관광 진흥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관광업계는 정부가 한해 150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 관광객을 다시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1-1.jpg (File Size:83.0KB/Download:35)
  2. 1-2.jpg (File Size:89.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51 호주 시민단체-일부 의원들, “직업 없는 홀부모 자녀양육 보조금, 확대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50 호주 팬데믹 당시의 인구감소 지역, 해외 인력 재유입으로 주택수요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9 호주 NSW 자유당의 온건파 중심 인사 마크 스피크먼 법무장관, 새 지도자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8 호주 베스트셀러 작가 핍 윌리엄스, 새 소설 ‘The Bookbinder of Jericho’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7 호주 ABS 세부 노동시장 데이터... 광역시드니 고용률, rest of NSW에 뒤처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6 호주 Rental crisis... 시드니 지역 유닛 임대료, 1년 만에 주 120달러 급등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5 호주 “메이저 은행들, 금융사기 방지 및 피해 보상 위한 더 많은 조치 취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4 호주 인플루엔자 우려 증가... NSW 보건부, 지역사회에 ‘독감백신’ 접종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3 호주 Cancer Council, 상당수 호주인 건강에 영향 미치는 희귀암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
6342 호주 멜번, ‘세부기술 측면에서’ 시드니 제치고 호주 최대인구 도시로 발돋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41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 ‘Time’ 지의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40 호주 자유당 지지자들, 당 지도부 ‘반대’ 불구, ‘Voice’ 관련 ‘Yes 캠페인’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9 호주 상위 10% 계층이 전체 경제성장 이익의 93% 차지... 호주, 경제 불평등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8 호주 시드니의 불평등 심화... NSW 거주민 100만 명 ‘빈곤’ 상태서 생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7 호주 호주인들, 지난 한해 갖가지 사기 행각 피해로 총 31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6 호주 호주 일자리 호황 속 ‘안정적 실업률’ 이어져... RBA의 이자율 인상 ‘압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5 호주 Class warfare... NSW 각 학교에서의 폭력 행위, 지난 10년 사이 5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4 호주 농업 체험 여행자 증가... TAS 농장-식품업체들, 방문객 유치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3 호주 연방정부,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 감안해 최저 소득계층 임금인상 ‘지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32 호주 ‘Science of pokies’, 도박자를 유혹하는 포커머신의 설계와 작동방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31 호주 생활비 위기 속 ‘빠질 수밖에 없는 함정’... BNPL 이용자 ‘고군분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30 호주 “생산성 낮은 기업들, 대개는 이주 노동자에 의존... 생활수준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9 호주 ‘Work from Home’ 협상... ‘호주 사무실 문화의 미래’, 새로운 도전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8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용객, ‘COVID 제한 해제’ 이후 1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7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상황... 11개월 만에 주택가격 상승... 임대료 고공 행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6 호주 아웃백 캠핑 여행 증가... SA 주 당국, COVID로 중단했던 내륙 여행 허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5 호주 “현 기준금리 유지, 추후 이자율 인상 없으리라는 것 보장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4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역의 성적 우수 학교들, 등록 학생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3 호주 시드니 주택소유자들, 20년 전 비해 보유 기간 길어... ‘코어로직’ 데이터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2 호주 멜번 교외지역 거리에서 맹견 공격으로 60대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6321 호주 Female firsts... NSW 크리스 민스 정부 내각 확정... 절반이 여성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20 호주 100인 이상 고용 기업, 내년 초부터 성별 임금격차 공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9 호주 연방 자유당 피터 더튼 대표, ‘아스턴’ 보궐선거 패배 책임 ‘인정’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8 호주 시드니 일부 유명 사립학교, 허용된 학생 정원보다 수백 명 이상 추가 수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7 호주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헌법 명시 위한 국민투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6 호주 “호주 여자 축구팀 성원과 우리 사회의 다양성에 동참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5 호주 정부, 의약품 보조 계획의 COVID-19 항바이러스 치료제 ‘자격 기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4 호주 금 탐사자, VIC주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서 2.6kg 금덩어리 ‘횡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3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하락하는 물가 수치 지켜보겠다”... 이달 금리 인상 ‘보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2 호주 지난해의 부동산 시장 침체기, 가격 하락폭 컸던 시드니 주택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1 호주 “독감 심각”, “예측 불가능”... 겨울시즌 앞두고 독감 백신 접종률 저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10 호주 올해 Term 4부터 NSW 주 공립 하이스쿨서 휴대전화 사용 ‘금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9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주택가격 상승했지만... “향후 상황, 확신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8 호주 뱅스타운 ‘브라이언 브라운 극장’, 각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7 호주 “QLD 거주민, 지난해 최소 한 차례는 COVID-19에 감염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6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새로운 내용의 ‘Strathfield Festival’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5 호주 “RBA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건축 및 주택대출 승인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4 호주 Under God... 크리스 민스 47대 주 총리 취임, “충성-직무 충실” 선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3 호주 NSW 주 선거- 공공부문 근로자들의 정부 불신, NSW 주 선거 승패 갈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2 호주 NSW 주 선거- 12년 만의 노동당의 승리 이끈 Chris Minns 대표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