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jpg

1960년대 후반, 앨리스 스프링(Alics Springs)를 여행했던 한 미국인이 소장하고 있던 호주 원주민 예술가들의 다수 소장품이 반세기 만에 공개됐다. 이 소장품들은 최근 시드니에서 경매가 진행됐으며, 일부를 남부호주 박물관(South Australian Museum)이 구입했다. 사진은 남부호주 박물관의 구매 작품 중 하나인 에노스 나마찌라(Enos Namatjira)의 수채화. 사진 : Aboriginal Artists Agency Ltd

 

한 미국인의 소장품, 최근 남부호주(SA) 박물관이 17점 사들여

 

1900년대 중반, 호주 내륙 앨리스 스프링(Alice Springs)은 호주 현대미술에 큰 이름을 남긴 다수 원주민 화가들의 활동 중심이었다. 이곳에서 약 120킬로미터 거리, 맥도넬 산맥(MacDonnell Ranges) 지대에 있는 허먼스버그(Hermannsburg)는 원주민 가운데 최초로 현대미술을 선보인 작가이자 호주 역사는 물론 미술사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는 알버트 나마찌라(Albert Namatjira)의 고향이며, 그의 아들 에노스 나마찌라(Enos Namatjira)가 아버지와 함께 작품을 만들어내던 곳이었다. 또한 알버트의 명성에 버금가는 가브리엘 나마찌라(Gabriel Namatjira)도 이 지역 출신이다. 원주민 말로 은타리아(Ntaria)로 불리던 이곳은 1877년 독일 루터파 선교사가 원주민 공동체를 설립하면서 허먼스버그라는 지명으로 불려 왔다.

 

3-2.jpg

앨리스 스프링 호텔 앞에서의 루시 프레드릭슨(Lucy Fredrickson)씨와 가브리엘 나마짜라(Gabriel Namatjira)씨. 그녀는 이 호텔의 바(Bar)에서 일하며 인근 지역 다수의 원주민 예술가들과 친구가 됐고, 이들의 작품들을 소장하게 됐다. 사진 : Oscar Fredrickson Junior 제공

 

원주민 예술가의 작품이

미국으로 건너가게 된 사연은...

 

1966년, 미국의 한 작은 도시 출신인 루시 프레드릭슨(Lucy Fredrickson)씨가 중년의 나이로 세계여행을 하던 중 앨리스 스프링(Alice Springs)에 도착했을 당시, 이 지역 분위기는 다소 어수선하고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당시 호주 연방 총리는 해롤드 홀트(Harold Holt)였고, 노던 테러토리는 자치정부가 된 지 12년째였으며, NT의 원주민들이 합법적으로 주류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 지 2년이 되던 해였다.

 

3-3.jpg

앨리스 스피링 호텔의 동료와 함께 한 프레드릭슨씨. 1966년 촬영된 것이다. 사진 : Oscar Fredrickson Junior 제공

 

또한 이 지역 구린지(Gurindji) 부족 출신의 원주민 권리운동가 빈센트 링기아리(Vincent Lingiari)가 웨이브힐 목장(Wave Hill Cattle Station)에 고용된 구린지 부족민들에 대한 차별대우, 열악한 근로조건, 낮은 임금에 항의해 목장에서 이들을 데리고 나옴으로써 사회적 시선이 집중된 해이기도 했다.

어린 시절부터 모험심이 강했던 프레드릭슨씨는 미 국무부에서 일했던 남편 오스카 프레드릭슨 시니어(Oscar Fredrickson Senior)와 함께 세계여행을 즐겼다.

그녀의 아들인 오스카 프레드릭슨 주니어(Oscar Fredrickson Junior)는 최근 호주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어머니가 “1965년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해 아시아 지역을 여행하다 시드니로 간 뒤, 앨리스 스프링의 아웃백 마을에서 개척자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많은 이야기를 들었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어머니는 그곳에서 좋은 사람들을 만났고 일자리까지 얻었다”고 말했다.

 

3-4.jpg

원주민 현대미술 작가로 명성을 쌓은 알버트 나마찌라(Albert Namatjira)의 장남 에노스(Enos Namitjira)의 스케치. 스케치 한 날짜를 보면 그가 14살 때 그린 것이다. 사진 : South Australian Museum

 

호텔 바에서 일하며

나마찌라 고향의 예술가들과 교분

 

오스카 프레드릭슨 주니어의 말처럼 프레드릭슨씨는 앨리스 스프링 호텔의 바에서 일했다. 그곳에서 그녀는, 알버트 나마찌라의 장남을 비롯해 허먼스버그 출신의 원주민 예술가들과 친구가 되었고, 이들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게 됐다.

2년 뒤,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프레드릭슨씨는 이들의 수채화 작품을 갖고 갔으며, 이 작품들은 반세기 동안 남부 캘리포니아, 롱비치(Long Beach)에 있는 그녀의 집 침실에 보관되어 있었다.

 

3-5.jpg

아버지 알버트 나마찌라(Albert Namatjira. 오른쪽)와 함께 한 에노스(왼쪽). 이들 부자는 종종 작품 여행을 함께 했다. 사진 : South Australian Museum

 

1998년, 87세를 일기로 프레드릭슨씨가 사망하자 가족들은 어머니가 모아놓은 미술품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했다.

프레드릭슨 주니어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극성을 떨치기 직전인 3월 초, 이 작품들을 갖고 호주로 왔다. 어머니가 모아 놓았던 이 소장품은 갤러리에서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시드니의 한 미술품 거래회사를 통해 경매가 실시됐다.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 미술품 경매회사 ‘Theodore Bruce Auctioneers and Valuers’ 관계자에 따르면 프레드릭슨 주니어가 내놓은 소장품들은 높은 관심을 끌어 3만4,500달러에 낙찰됐다.

 

침실 보관에서 박물관으로

 

프레드릭슨 주니어가 경매에 올린 작품들 중 17점은 ‘남부호주 박물관’(South Australian Museum)에서 구입했다.

동 박물관 인문학 책임자인 존 카티(John Carty) 교수는 “박물관이 구매한 작품들 가운데는 나마찌라 후손의 완성작만 있는 게 아니다”며 “가브리엘 나마찌라, 안타나시우스 티투스 렌카랑카(Athanasius Titus Renkaranka)의 정말 아름다운 그림은 물론 오일 페인팅의 실험적 작품도 있다”고 말했다. 이들 모두 알버트 나마찌라와 비슷한 시대의 화가였다.

 

3-6.jpg

앨리스 스프링 소재 ‘Iltja Ntjarra Many Hands Art Centre’ 원주민 작가 허버트 파에룰짜(Hubert Pareroultja)씨. 그는 1960년대 허먼스버그를 기반으로 활동했단 원주민 작가들을 기억하고 있다. 프레드릭슨씨의 소장품 가운데는 그의 형 헬무트 파에룰짜(Helmut Pareroultja)의 작품도 있다. 사진 : 사진 : Japingka Aboriginal Art

 

알버트의 장남 에노스 나마찌라(Enos Namatjira)의 작품 또한 프레드릭슨 주니어의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남부호주 박물관이 구매했다.

카티 교수는 “우리는 에노스 나마찌라에 대해 조사했고, 우리 박물관 기록에서 그의 알려지지 않은 그림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최근 경매에서 동 박물관이 구매한 수채화가 그것이다.

카티 교수는 “에노스 나마찌라는 1934년 처음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며 “14살의 소년이 아버지(알버트)와 함께 허먼스버그 주변 지역을 여행하면서 스케치한 그림들은 정말 아름답다”고 말했다.

 

‘술 한 잔’에 작품 팔기도

 

프레드릭슨씨의 소장품들이 약 50년 만에 공개된 것과 관련, 앨리스 스프링 소재 ‘Iltja Ntjarra Many Hands Art Centre’의 원주민 작가 허버트 파에룰짜(Hubert Pareroultja)씨는 “당시 앨리스 스프링 호텔에 모여들던 원주민 예술가들의 이미지에는 어두운 구석이 있다”고 말했다.

 

3-7.jpg

1966년, 앨리스 스프링 호텔의 바(Bar)에서 일하던 당시, 이 지역 노동자들과 함께 한 프레드릭슨(가운데)씨. 사진 : Oscar Fredrickson Junior 제공

 

프레드릭슨씨가 소장하게 된 그림들 중에는 그의 형 헬무트 파에룰짜(Helmut Pareroultja)의 작품도 있다. 허버트 파에룰짜씨에 따르면 자신의 형을 비롯해 다수의 원주민 예술가들은 술을 마시기 위해 프레드릭슨씨가 일하던 호텔에 가곤 했다. 가진 돈이 없었던 이들은 한 잔의 술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재능을 팔았다. 저렴한 가격에 작품을 넘기거나, 현장에서 그림 하나를 ‘후딱’ 그려주고 술을 얻어 마셨던 것이다.

이는 프레드릭슨씨가 원주민 작가들의 다수 그림을 소장하게 된 배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어머니의 소장품을 다시 호주로 전한 오스카 프레드릭슨 주니어는 “이 작품들을 박물관이 소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3-1.jpg (File Size:82.5KB/Download:27)
  2. 3-2.jpg (File Size:79.0KB/Download:16)
  3. 3-3.jpg (File Size:72.7KB/Download:26)
  4. 3-4.jpg (File Size:71.4KB/Download:16)
  5. 3-5.jpg (File Size:103.5KB/Download:21)
  6. 3-6.jpg (File Size:85.9KB/Download:17)
  7. 3-7.jpg (File Size:75.8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01 호주 호주 한부모 가정 아동빈곤 급증…‘집값은 뛰고, 월급은 제자리’ 사회 양극화 반영 톱뉴스 17.08.04.
1600 호주 전기세 대란 서민층 “강타”…시드니 68,400가구 단전 위기 톱뉴스 17.08.04.
1599 호주 시드니 ‘타운 하우스’ 인기 급상승 톱뉴스 17.08.04.
1598 호주 <현장취재> 무법천지 ‘마틴 플레이스 홈리스 텐트촌’ 톱뉴스 17.08.04.
1597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무인자율주행버스 시험 운행 톱뉴스 17.08.04.
1596 호주 연방정부, 영주권 제도 개정 계획 톱뉴스 17.08.04.
1595 호주 호주 학생 작문 실력 저하…NSW 9학년 70%, 일부 과목 기준점수 미달 톱뉴스 17.08.04.
1594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만나는 골프스타들, MCKAYSON 뉴질랜드 여자 오픈 NZ코리아포.. 17.08.04.
1593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시장, 7년 이래 가장 조용한 7월 NZ코리아포.. 17.08.04.
1592 뉴질랜드 이민부 직원의 직권남용 - 가족과 친구들에게 비자 영주권 발급.. NZ코리아포.. 17.08.04.
1591 뉴질랜드 사람 있는 줄도 모르고 캐러밴 훔쳐 끌고 갔던 도둑 NZ코리아포.. 17.08.04.
1590 호주 2017 ‘HILDA’ 보고서... “젊은이들, 더욱 힘들어져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9 호주 대테러 전담팀, IS 조직과 연계된 테러 용의자 색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8 호주 ‘대학 성폭력 보고서’... LGBTI 피해자 대부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7 호주 광역시드니 전역, 주택소유자 비율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6 호주 NAPLAN 예비결과 공개... “학업성취도 향상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5 호주 2030년 미래 직업... 필요한 기술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4 호주 올해 ‘아치볼드’, ‘아가다 고스-스네이프의 초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3 호주 호주 여아들 ‘사춘기’, 8세로 빨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2 호주 6월 신규주택 판매, 6.9%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호주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80 호주 올 7월까지의 매물주택 수, 지난해 대비 54%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579 뉴질랜드 교차로 자동차 유리 닦기, 벌금 150달러 부과 개정안 NZ코리아포.. 17.08.03.
1578 뉴질랜드 누룩 들어간 베지마이트와 마르미트, 스트레스 더 적게 만들어. NZ코리아포.. 17.08.03.
1577 뉴질랜드 무심한 진통제 남용, 약물 중독 위험 NZ코리아포.. 17.08.03.
1576 뉴질랜드 태평양 지역, 20년만에 등장한 뎅기열 급증으로 초 긴장. NZ코리아포.. 17.08.02.
1575 뉴질랜드 담배없는 나라 빨리 만들기 위해 세금을 ...... NZ코리아포.. 17.08.02.
1574 뉴질랜드 뉴질랜드 실업률, 2008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NZ코리아포.. 17.08.02.
1573 호주 ‘현역 최다승’ 백전노장 카리 웹(42), LPGA 통산 42승 목전서 무산 톱뉴스 17.08.02.
1572 호주 호주 공항, 안면인식기 도입 계획 발표 톱뉴스 17.08.02.
1571 호주 RBA 기준금리 1.5% 12개월째 동결…달러화 가치는 상승 톱뉴스 17.08.01.
1570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1569 호주 호주 캠퍼스 안팎 성추행 심각 수준 톱뉴스 17.08.01.
1568 호주 노동당, 의문의 중국계 담배수입자로부터 거액의 정치자금 수령 톱뉴스 17.08.01.
1567 뉴질랜드 넥타이 모으기 세계기록 수립한 키위 수집광 NZ코리아포.. 17.08.01.
1566 뉴질랜드 영하의 밤 지낸 후 극적으로 구조된 여성 운전자 NZ코리아포.. 17.08.01.
1565 뉴질랜드 3주 동안 3번씩이나 도둑 맞은 주유소 NZ코리아포.. 17.07.31.
1564 뉴질랜드 식어가는 부동산 시장, 에이전트 커미션 할인 경쟁 NZ코리아포.. 17.07.31.
1563 호주 ACCC, 메르세데스-벤츠 대형트럭 '액트로스 963' 리콜 결정 톱뉴스 17.07.30.
1562 호주 셀렉티브 스쿨 논란 재현 톱뉴스 17.07.30.
1561 호주 457 비자 직원에게 임금 환급 강요 한인 여행사 적발 톱뉴스 17.07.30.
1560 호주 NSW 교육당국, 셀렉티브 스쿨 입시제도 개편 예고 톱뉴스 17.07.30.
1559 호주 호주 국내선 항공기 폭파 테러 저지…모의범 4명 체포 톱뉴스 17.07.30.
1558 호주 보복 운전 시비 얼굴 가격 당한 21살 여성 5가지 죄목으로 기소 톱뉴스 17.07.30.
1557 호주 허위 납치극 한국인 부자, 유죄 시인...Ch9 사건 재조명 톱뉴스 17.07.30.
1556 호주 정부주택난 심화…해결책은? 톱뉴스 17.07.30.
1555 호주 캔터베리 경마장 인근 고층 아파트 단지 조성 ‘가시화’ 톱뉴스 17.07.30.
1554 뉴질랜드 밤마다 옷 훔쳐갔던 범인, 알고보니..... NZ코리아포.. 17.07.29.
1553 뉴질랜드 최신형 페라리 몰고 200km이상으로 내달렸던 운전자 NZ코리아포.. 17.07.29.
1552 뉴질랜드 필리핀에서 60대 키위 남성 총격 받아 숨져 NZ코리아포.. 17.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