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jpg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해외여행이 금지된 가운데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각 지역 여행자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사진은 WA 주 먼 북부, 브룸(Broome)에 있는 케이블 비치(Cable Beach)의 낙타 여행. 사진 : 호주 관광청(Tourism Australia)

 

해외여행 제한 속, 지역 관광 회복 조짐... 업체들, 올 여름시즌 ‘기대’

 

서부호주 브룸(Broome, Western Australia)에서 여행자 대상 관광 공원을 운영하는 발레리 더글러스(Valerie Douglas)씨는 요즘 ‘행복한 비명’을 내고 있다. 지난여름 산불과 올 들어 확산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서 인적이 끊겼던 그녀의 공원에 근래 여행자들이 몰려들기 시작한 때문이다. 더글러스씨는 “이런 상황을 본 적이 없다”며 여행자 방문을 반겼다.

서부호주(WA) 주도인 퍼스(Perth)에서 북쪽으로 1천700킬로미터 거리, 킴벌리 지역(Kimberley region)의 서쪽 해안 타운인 브룸(Broome)은 WA 북부의 대표적 휴양지이며 호주 진주(pearl) 산업을 이끄는 작은 도시이다. ‘인도양을 바라보는 비밀 휴양지’라는 명성의 브룸은 강한 햇살이 만들어내는 대지와 바다의 짙은 색상으로 여행자를 매혹시키며, 케이블 비치(Cable Beach)의 석양은 브룸을 소개하는 데 있어 빠뜨릴 수 없는 명소이다.

특히 브룸은 은퇴 이후의 삶을 즐기는 호주의 ‘그레이 노마드’(Grey Nomad)들이 캐러밴을 끌고 ‘한 번 정도는’ 지나치는 곳으로, 성수기(6월에서 8월 사이)가 되면 인구 1만4천 명의 이 도시에 월 평균 5만 명 가까운 여행자(절반 이상이 그레이 노마드들)들이 밀려든다.

 

7-2.jpg

브룸에 자리한 ‘Malcolm Douglas Crocodile Park’의 악어들(사진). 악어와 함께 호주의 야생동물을 볼 수 있는 이 공원은 7월 스쿨 홀리데이 기간 동안 방문자들이 크게 늘어났다. 사진 : Malcolm Douglas Crocodile Park

 

브룸에 자리한 ‘Malcolm Douglas Crocodile Park’ 소유자인 더글러스씨는 최근 자신의 악어 공원을 찾은 엄청난 수의 여행자들에 대해 “경이스럽다”고 표현했다.

그녀는 이어 “서부호주의 두 번째 스쿨 홀리데이는 7월로, 이 시기에 부름 방문자가 크게 증가한 데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면서 “발리(Bali)로 떠나는 여행자들이 브룸을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악어공원 방문자들에 대해 설명하느라 자신은 물론 안내원들 모두 목소리가 쉴 정도였다”는 더글러스씨는 “지난 10여일 동안 저녁으로 간단한 토스트만 먹어야 했다”며 여행자들로 인해 바쁘게 보내던 시간을 떠올렸다.

그녀의 말대로 브룸의 숙박업소들도 스콜 홀리데이 기간, 빈 방이 없을 정도였으며 지역 레스토랑 또한 고객들로 북적였다.

 

WA 전역서 여행자 늘어

 

최근 서부호주(WA) 각 지역의 국내 여행자 증가는 비단 브룸에서 뿐만이 아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스스로를 격리시켜야 했던 이들이 ‘아웃백 종족’으로서의 본성(?)을 드러낸 것이다.

여행을 좋아하는 에디 로이드(Eddie Lloyd)씨는 지난 3월 서부호주 전역을 둘러보는 장거리 여행을 마친 뒤 퍼스(Perth) 남쪽의 해안도시 뷔셀턴(Busselton)에서 다시 북쪽으로 향해 브룸 남쪽 필바라 지역(Pilbara region)의 항구도시 카라타(Karratha)에서 캠핑을 하고 있다.

그는 “우리는 필바라 주변 지역을 돌며 이전에 가보지 못했던 곳을 꼼꼼하게 들러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7-3.jpg

최근 브룸(Broome)을 찾는 여행자들이 늘어난 데 대해 관광업 관계자들은 해외여행이 금지되면서 스콜 홀리데이 기간에 발리(Bali)를 찾던 이들이 브룸으로 발길을 돌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저녁 무렵의 케이블 비치. 사진 : Viator

 

‘필바라 관광협회’(Pilbara Tourism Association) 배리 해리슨(Barry Harrison) 회장은 매일 수백 명의 여행자들이 ‘카라타 여행자 정보센터’(Karratha Visitor Center)를 거쳐간다“고 말했다.

브룸의 더글러스씨처럼 해리슨씨 또한 근래 들어 여행자들이 크게 증가했음을 실감하고 있다. 그는 “아마도 내가 파악한 것보다 더 많은 여행자들이 다른 지역으로 향했을 것”이라며 “한 여행자로부터 ‘코랄 베이(Coral Bay)의 캐러밴 파크가 2시간 만에 100여 대의 캐러밴으로 가득 차는 것을 보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덧붙였다.

 

서부호주 관광업체들,

예년의 7월에 비해 바쁜 시기 보내

 

겨울시즌이지만 여행자들은 호주의 남부 지역 여행을 마다하지 않고 있다. 퍼스에 거주하는 미키 워커(Miki Walker)씨는 최근 남부호주 해안가의 작은 타운 월풀(Walpole)에서 휴가를 보냈다. 그녀는 “주 경계 봉쇄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여서 서부호주 주 내에서 시간을 보내게 됐다”고 말했다.

 

7-4.jpg

‘필바라 관광협회’(Pilbara Tourism Association)에 따르면 올 두 번째 스쿨 홀리데이 기간, 필바라 지역 방문자는 두드러진 증가를 보였다. 사진은 필바라 지역, 붉은 황토 사막에 핀 야생화. 사진 : Australia Northwest 관광국

 

월풀에서 여행자 숙박시설을 운영하는 제이슨 칼레야(Jason Calleja)씨는 주 경계가 봉쇄된 이후 여행자들이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월풀은 인근에 ‘Valley of the Giant Tree Top Walk’가 있는 서부호주의 관광 명소 중 하나로, 칼레야씨에 따르면 이번 겨울 시즌 방문자는 다른 해의 같은 시기에 비해 10배 가까이 늘었다.

월풀에서 멀지 않은 해안도시 알바니(Albany)의 여행자 정보센터(Albany Visitor Centre)는 이번 스쿨 홀리데이 기간, 숙박업소 예약이 284%나 증가했다.

 

지역 관광관련 업체들,

운영상의 어려움 지속돼

 

올 두 번째 스쿨 홀리데이 기간 동안, 서부호주 각 지역은 많은 여행자의 방문을 받았지만 먼 북부 지역은 여전히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7-5.jpg

WA 주 남부 해안, 월풀(Walpole) 인근의 관광명소인 Valley of the Giant Tree Top Walk. 인구 400여 명의 작은 타운 월풀은 7월 스쿨 홀리데이 기간 동안 평소의 10배 많은 여행자들이 방문했다. 사진 : WA Parks and Wildlife Service

 

WA 최북단,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와 경계 지점에 위치한 이스트 킴벌리(East Kimberley)는 NT 주 여행자들의 방문이 많은 곳이며, 다른 주에서 온 방문자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남부 지역이 서서히 증가하는 여행자들로 힘을 받고 있지만 이스트 킴벌리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관광업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브룸의 악어 공원 운영자 더글러스씨는 최근 몇 주 동안 상당수의 관광객을 맞았지만 그녀의 사업은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녀는 “우리는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면서 “모든 것이 정상화되면 내년 하반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지역 관광업 전망은

 

WA 남부 지역 관광지 숙박업소들은 올 여름시즌을 앞두고 여행자들의 예약이 늘고 있다.

월풀의 사업자 칼레야씨는 올 하반기 성수기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서서히 증가하는 여행자,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서의 정신적 위축을 이겨낸 사람들의 태도를 보면, 올해 하반기부터는 여행자 증가를 보다 분명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7-6.jpg

공원을 방문한 어린이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Malcolm Douglas Crocodile Park’ 소유자 발레리 더글러스(Valerie Douglas)씨. 그녀는 지난여름 산불과 이어진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6개월 이상 문을 닫다시피 했다며 올 하반기부터는 지역 관광이 늘어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브룸의 더글러스씨도 스쿨 홀리데이 이후에는 ‘그레이 노마드’(grey nomad. 은퇴 이후 캐러밴, 캠퍼밴을 끌고 전국을 여행하는 사람들)들이 브룸을 찾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9월 스쿨 홀리데이 시기에 또 한 번 많은 방문자가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지난여름 산불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6개월 이상 ‘조용한 시간’을 보냈다”는 그녀는 “예비 재정이 있어 버텼지만 이제는 준비된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더글러스씨는 이어 “내년 겨울시즌, 우리와 같은 관광업체들 가운데 얼마나 많은 이들이 비즈니스를 계속하게 될런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7-1.jpg (File Size:60.2KB/Download:28)
  2. 7-2.jpg (File Size:150.6KB/Download:23)
  3. 7-3.jpg (File Size:69.8KB/Download:25)
  4. 7-4.jpg (File Size:81.9KB/Download:24)
  5. 7-5.jpg (File Size:123.7KB/Download:22)
  6. 7-6.jpg (File Size:102.3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01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900 호주 호주 국경 개방 이후 출입국 증가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9 호주 호주 아동기 암 환자 생존율, 지난 수십 년 사이 ‘지속적 향상’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8 호주 “호주의 스포츠 산업, 향후 10년간 일자리 창출 ‘황금기’ 맞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7 호주 5월 NSW 주의 노동시장 참여율, 66.2%로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6 호주 Wollongong Art Gallery 후원자 Bob Sredersas, “나치 정보원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5 호주 호주 각 도시-지방 지역 주택, 광역시드니 중간 가격으로 구매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4 호주 광역시드니 5월 주택경매 낙찰률, 지난 1년 평균 비해 크게 낮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5893 호주 센터링크 구직자 지원 프로그램, 다음달부터 ‘Workforce Australia’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2 호주 올해 전 세계의 '높은 생활비' 조사 결과 호주 도시들, 낮은 순위에 랭크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1 호주 NSW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 부동산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90 호주 법률센터-고용 관련 단체들, 이주노동자 대상의 보다 나은 보호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9 호주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호주의 ‘2022 카타르’ 본선 토너먼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8 호주 호주 사커루, 대륙간 플레이오프서 페루에 신승... 카타르 본선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7 호주 시드니-고스포드 고속철도 계획, 2시간 소요→25분으로 단축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6 호주 NSW 주, 갱년기 건강 서비스 제공 위한 4천만 달러 기금 지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5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4 호주 파라마타 경전철 1단계 12km 구간, 16개 트램 역 명칭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3 호주 RBA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금 상환-저축예금 금리는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2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5881 호주 올 겨울 독감환자 지속 증가... 안면 마스크는 이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80 호주 ‘가장 지루한 직업’ 그리고 취미를 찾기 위한 연구, 놀라운 결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9 호주 노동당 정부, 공정근로위원회에 최소 5.1% 최저임금 인상안 공식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결정... 0.8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7 호주 ‘사커루’의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페루와의 마지막 일전만 남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6 호주 간질 환자의 ‘발작’에 ‘사전 경고’ 제공하는 모바일 앱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5 호주 NT 관광청, 우기 시즌의 감소하는 다윈 지역 여행객 유치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4 호주 NSW 주 정부, “응급서비스 부문 2천 명 이상 직원 추가 배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3 호주 호주 납세자 30%만이 청구하는 세금 공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2 호주 에너지 사용료 증가... 태양광 패널 설치는 투자 가치가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5871 호주 노동당 정부 내각 구성... 10명의 여성-젊은 의원들, 장관직 발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70 호주 연방선거 패배 자유당, 새 지도자로 보수 성향의 피터 더튼 전 국방장관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9 호주 Best bars & restaurants for Vivid Sydney 20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8 호주 NSW 주, 민간 불임클리닉 이용 여성들에게 최대 2천 달러 리베이트 지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7 호주 운전자 주의 산만하게 하는 ‘스마트 워치’, 호주에서의 관련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6 호주 NSW 주 정부,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요금 지원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5 호주 정부 백신자문그룹, 적격 인구에 COVID-19 백신 4차 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4 호주 NSW 주 정부, 신원도용 피해자 지원하는 새 서비스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3 호주 광역시드니 단독주택과 유닛의 가격 격차, 기록적 수준으로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2 호주 첫 주택구입자에게 권장되는 ‘affordable and liveable’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1 호주 ‘3D 프린팅 주택’, 호주 주택 위기에 대한 해결책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5860 호주 노동당 승리로 끝난 올해 연방선거, Who are the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9 호주 퍼스트레이디가 되는 새 총리의 파트너 조디 헤이든, 그녀의 행보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8 호주 제47대 연방 의회에 등장한 다양한 얼굴들, ‘정치적 대표성’의 새 전환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제31대 호주 총리에... 9년 만에 노동당 정부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6 호주 Just embarrassing... 호주 젊은이들, “정치인들? 결코 신뢰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5 호주 서던 하일랜드의 오랜 역사유적 ‘Berrima Gaol’, 700만 달러에 매각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4 호주 “어린이를 위한 온라인 스토리타임, 이중언어로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3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호주 구세군 연례 모금 행사 협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5852 호주 어린이 축제조직위원회, 각 미디어 통해 올해 이벤트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