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틀랜드, 오스틴, 루이빌, 리치몬드 등... 텍사스에서 총격 사망자 나와
 
demo.jpg
▲ 조지 플로이드 사망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항의시위가 7월말 현재까지도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격화 양상을 보이면서 미 연방병력 투입이 확대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올랜도다운타운에서 인종차별 상의 시위를 벌이고 있는 시위대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조지 플로이드 사망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항의시위가 7월말 현재까지도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격화 양상을 보이면서 미 연방병력 투입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 24일과 25일 주말 동안 인종차별 항의 시위가 미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열려 진압 병력과 충돌했다. 현장에서 총격 사망자가 나왔고, 기물 파손이나 부상자를 비롯한 물적ㆍ인적 피해가 속출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가장 큰 시위가 벌어진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연방 진압 병력을 투입하면서 반발이 격화하고 있다. 특히 이날 시위에는 다른 연령층의 사람들까지 참가하면서 열기가 더해졌다.

24일 밤 포틀랜드의 연방법원 인근에서 열린 '조직적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을 규탄하는 시위에는 '엄마들의 모임(Wall of Moms)' 여성들과 재향군인 노년층까지 참가했다.

주요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자정이 가까워진 오후 11시경 일부 참가자가 법원 주변에 설치된 보호망을 흔들고 난입을 시도했고 폭죽을 터뜨린 사람도 있었다. 당국은 이를 폭동으로 규정하고 연방 요원들이 최루가스와 섬광탄 등을 사용해 해산에 나서면서 부상자가 속출했다. 부상자들 가운데는 국토안보부 소속 요원 6명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채드 울프 국토안부부 장관 대행은 사제 폭발물로 보이는 물건의 사진을 함께 트위터에 올리고 "범죄자들이 연방 소유지에서 요원들을 공격한 사건임을 명확히 한다"고 강조하고 "(이런 상황에서) 포틀랜드시 당국은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다른 지역에서도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오리건과 접한 워싱턴주 시애틀에도 대규모 시위가 열려 수십 명이 체포됐다. 26일 시애틀 경찰당국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포틀랜드에 이어 연방 요원이 파견된 시애틀에서는 시위대가 돌과 유리병, 폭죽, 그 밖의 폭발물 등을 사용하면서 진압 병력 59명이 다쳤다.이 밖에 방화를 비롯한 폭력행위가 이어졌다.

텍사스에서는 사망자가 나오기까지 했다. 25일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시위에서는 경찰이 차량에서 시위대를 향해 쏜 총으로 28세 청년이 사망했다. 경찰은 차량에서 총을 쏘기 전 그 청년이 먼저 총기를 들고 해당 차량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했다. 콜로라도주 오로라에서도 고속도로 점거 시위 에서 총격 부상자가 나왔다.

켄터키주 루이빌에서는 25일에만 시위 현장에서 76명이 체포됐고, 버지니아 주도인 리치먼드에서는 '포틀랜드와 연대하는 리치먼드'라는 주제로 집회가 열렸다. 하지만 현지 경찰은 불법집회로 규정하고 진압에 나섰다. 버지니아 주립대학 건물에 10만 달러 상당 재산 손괴가 발생했다고 당국은 밝혔다.

이렇게 곳곳에서 시위가 줄어들지 않고 격화되면서 정치권의 주요 지도자들이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집권 공화당에서는 시위대의 폭력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은 반면, 민주당에서는 연방 요원들이 시민들의 민권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민주당의 바버라 박서 전 상원의원은 25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지난 2002년 관련 정부 조직 개편안에 찬성 투표한 것을 후회한다"면서 "국토안보부를 설립한 것은 실수였다"고 밝혔다.
  • |
  1. demo.jpg (File Size:88.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37 캐나다 내달부터 캘거리·에드먼튼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밴쿠버중앙일.. 20.07.25.
3936 캐나다 산사태, 설상차량 전복사고 원인에서 배제 - RCMP, “사고원인 조사에 수 개월 걸릴 듯” CN드림 20.07.27.
3935 캐나다 캘거리, 에드먼튼, 실내및 트랜짓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 8월부터 시행, 벌금 개인 100불 사업체 200불 file CN드림 20.07.27.
3934 캐나다 BC주 3월 중순부터 비정상 사망자 증가 밴쿠버중앙일.. 20.07.28.
3933 캐나다 남의 싸움 말리려다 사람 죽일 뻔 밴쿠버중앙일.. 20.07.28.
3932 캐나다 트뤼도 총리, 호건 수상 한국전참전용사의 날 성명 밴쿠버중앙일.. 20.07.28.
3931 캐나다 화이트 파인 비치 노스지역 수영 금지 밴쿠버중앙일.. 20.07.29.
3930 캐나다 박스오피스 1위 '반도' 8월 7일 캐나다 대개봉 밴쿠버중앙일.. 20.07.29.
3929 캐나다 아보츠포드 블루베리 포장 노동자 15명 집단 감염 밴쿠버중앙일.. 20.07.29.
3928 캐나다 한국 온라인 여권 재발급신청 서비스 시범 시행 밴쿠버중앙일.. 20.07.30.
3927 캐나다 캐나다인 한국과 일본 중 어느 나라를 좋아할까? 밴쿠버중앙일.. 20.07.30.
3926 캐나다 한인이민자 위한 밴쿠버문화가이드 에세이 북 'Everyday Vancouver' 밴쿠버중앙일.. 20.07.30.
3925 캐나다 버나비 사우스 지역 차 안에서 사체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7.31.
3924 캐나다 코로나19 대유행 속 주택가격 지수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7.31.
3923 캐나다 전국 노동자 평균 주급 여전히 상승세 밴쿠버중앙일.. 20.07.31.
3922 캐나다 BC주 정부 2040년까지 100% 전기차 판매 구체화 밴쿠버중앙일.. 20.08.01.
3921 캐나다 알래스카 저주에 빠진 캐나다 서부 주들 밴쿠버중앙일.. 20.08.01.
3920 캐나다 해외문화홍보원 제12기 대한민국 바로알림단 모집 밴쿠버중앙일.. 20.08.01.
» 미국 격화하는 인종차별 항의 시위... 폭력사태로 '얼룩' file 코리아위클리.. 20.08.02.
3918 미국 '인종차별' 과거사 청산 대세에 콜럼버스 동상도 철거 코리아위클리.. 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