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jpg

기침이나 재채기에서 나오는 액체 기포들로 인한 전파에 대해서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물체의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감염될 위험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진 : Unsplash

 

“물체 표면 접촉을 통한 감염 가능성, 명확한 증거 없지만 위험은 있다”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를 통해? 아니면 사람들이 자주 접촉하는 물체의 표면을 통해? 어느 쪽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을까?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한 지 7개월 이상이 지났음에도 이에 대한 방역 문제는 여전히 큰 숙제로 남아 있다. 전염병 발생 초기, 봉쇄를 통해 어느 정도 감염을 차단했던 다수 국가들에서 새로운 감염 확진 사례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COVID-19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관련 학자들의 연구 또한 계속되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내용 또한 마찬가지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과 관련된 조언을 강화했다.

그렇다면 물체의 표면을 통한 전염은 어떨까. 최근 전 세계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서 새로운 감염자가 속출하는 2차 전염사태가 발생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간다. 보건당국 또는 의료진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물체 표면과의 접촉이 일부 지역의 무더기 감염 원인인가, △감염자 속출 지역에서 나오는 물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 △냉장-냉동고에서 바이러스는 얼마나 오래 생존할 수 있는가 등으로 압축된다.

이와 관련, 전염병 전문가들은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한 전염과 관련해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초기에 비해 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지만 표면 접촉을 통한 전파 관련 정보는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말한다.

 

▲ 코로나 바이러스가 물체의 표면에서 생존하는 시간은= 전염병 학자이자 WHO의 전문가 패널 위원인 NSW대학교 매리-루이스 맥로우스(Mary-Louise McLaws) 교수는 독감, SARS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 또한 사람들의 기침 또는 말을 하면서 튀어나오는 호흡기 속의 침방울을 통해 직접 전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WHO는 물체의 표면 접촉을 통한 전파에 대해 ‘덜 일반적인 감염자 확산 모드’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된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른 유형의 물체 표면에서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의 연구진들은 실험을 통해 △72시간 후에도 스테인리스 스틸 및 플라스틱 표면에서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탐지되며, △마분지(cardboard) 표면의 바이러스는 24시간 이상 생존하지 못하고, △구리 표면의 바이러스는 4시간 이후 탐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 한편 바이러스가 있는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COVID-19에 감염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 물체 표면 접촉을 통해 감염될 위험은=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호흡기 질환에 대해 이미 제시되어 있는 사실을 근거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있는 표면이나 물체를 만진 후 본인의 입, 코 또는 눈을 비비는 경우 감염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다만 CDC는 “그러나 이것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주요 요인은 아니다”는 의견이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 전염병 예방-통제 전문가인 수지 호타(Susy Hota) 교수는 이번 전염병 사태가 지속되면서 표면을 통한 전파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2-2.jpg

전염병 학자들은 현재까지 물체의 표면을 통해 감염된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그 위험이 결코 ‘0’이 아니며 한 가정 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보면 표면 접촉이 바이러스 전파의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사진 : Federal Group

 

호타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이 바이러스가 최대 6일간 물체의 표면에서 생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위험하지는 않은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녀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COVID-19 연구에서 누군가 표면 접촉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퀸즐랜드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바이러스 전문가 이안 맥케이(Ian Mackay) 박사는 “공기 중의 침방울을 통해 전염된다는 증거가 늘어나면서 물체 표면에서의 전파 위험이 낮은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면서 “문제는, 종종 누군가 어떻게 하여 감염이 되었는지를 명확하게 말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맥케이 박사를 비롯해 전염병 학자들은 물체의 표면을 통해 감염될 위험이 결코 ‘0’이 아니며 한 가정 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보면 표면 접촉이 바이러스 전파의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전염병 학자인 캐서린 베넷(Catherine Bennett) 교수는 “사람들이 공유된 환경에서 감염되었을 경우 서로가 똑 같은 표면을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런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어떤 물체를 만지기 전에 손을 씻는 것은 필수이며, 또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게 베넷 교수의 조언이다.

중요한 궁금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물체의 표면에 어느 정도의 바이러스가 있을 때 COVID-19에 실제로 감염이 될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를 대상으로 호흡기 중의 물방울 실험(droplet experiments)을 하기 전에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맥케이 박사는 “누군가 이에 대한 기발한 연구를 하기 전까지 100% 확실한 답변은 없다”고 말했다.

사실 이에 대한 직접적인 실험이 없는 상태에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복제하지 않은 실험실 기반의 시나리오이다.

과거에는 자원봉사자들이 연구 목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했다. 하지만 베넷 교수는 “COVID-19에 대해 아직 알려지지 않는 것들을 감안할 때, 이는 윤리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우리는 아직 코로나 바이러스가 앞으로 6개월 또는 10년 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위험을 줄이는 길은= COVID-19 감염자와 같은 물체의 표면을 접촉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실제적 가능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있다.

맥케이 박사는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물체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다며 “해당 물체를 만지게 되는 경우 (본인) 얼굴에 손을 대기 전, 먼저 깨끗이 손을 씻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걱정이 된다면, 해당 물체를 24시간 또는 48시간 그대로 놓아둘 경우, (거기에 있을지도 모르는 바이러스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 외부에서 받는 소포는 햇볕, 바람, 먼지에 노출되므로 바이러스의 생존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베넷 교수는 “우편물이나 식료품 등에 손을 대야 하는 것에 대해 너무 신경 쓰지 말고 문의 손잡이, 리프트의 버튼 등 많은 이들의 손이 닿는 표면을 주의하라”며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2-1.jpg (File Size:44.9KB/Download:18)
  2. 2-2.jpg (File Size:110.4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기후변화와 관련된 극한의 날씨, “세계유산 위협하는 공통의 적...”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6500 호주 시드니 주택 시장의 ‘FOMO’ 심리, 3개월 사이 7만 달러 가격 폭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6499 호주 Year 12 학생들, 대학 입학시 원격 수업보다는 ‘캠퍼스 활기’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6498 호주 ‘주거 스트레스’, 지방 지역으로 확산... 민간단체들, “정부 행동 필요”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6497 호주 연방정부 최초의 ‘Wellbeing budget’, 호주인들 ‘더 부유하고 장수’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6 호주 정부 예산, 200달러 흑자 전망되지만... “올해 ‘생활비 경감’ 추가 조치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5 호주 ‘School zones’ 속도위반 적발 가장 많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4 호주 12년 만에 가장 무더웠던 북반구의 7월, 올 여름 호주의 예상되는 기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3 호주 스리랑카와 호주의 국가정체성 탐구 소설,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2 호주 Auction theory... 경매 통한 거래방식이 부동산 시장에 암시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1 호주 ‘파워풀 여권’ 순위... 호주 186개국-한국 189개국 무비자 방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90 호주 심화되는 이상기후... 시드니 다수 교외지역, 더 많은 ‘tree canopy’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89 호주 시드니 지역에서의 ‘은밀한’ 코카인 사용량,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88 호주 호주와 뉴질랜드 모두 인플레이션 수치 하락 중... 일부 주요 국가들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87 호주 호주 실업률 다시 하락... RBA, 8월 통화정책 회의서 금리인상 가능성 ↑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7.
6486 호주 대다수 호주인들, “이민자 유입 너무 많다”... ‘적다’는 이들은 극히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5 호주 중앙은행 미셸 블록 부총재, 차기 총재 선임... 금리 인하 시작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4 호주 세금신고 정보- 새 회계연도의 세무 관련 변화... 환급액, 더 낮아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3 호주 FIFA 주관의 첫 여자축구 국제대회, 그리고 1세대 ‘Matidas’의 도전과 투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2 호주 Mind the price gap... 기차라인 상의 각 교외지역 주택가격, 큰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1 호주 치솟은 기준금리와 높은 인플레이션... 호주인 절반, ‘재정적 위기’ 봉착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80 호주 ‘재택근무’는 ‘획기적’이지만 CBD 지역 스몰비즈니스에는 ‘death knell’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79 호주 NSW 정부, 주택계획 ‘Pilot program’으로 5개 교외지역 ‘신속 처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78 호주 “아직은 모기지 고통 적지만 젊은 임차인들, 높은 임대료로 가장 큰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77 호주 HSC 시험 스트레스 가중... 불안-집중력 문제로 도움 받는 학생들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76 호주 NSW 보건부, 급성 vaping 질병 경고... 일단의 젊은이들, 병원 입원 사례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475 뉴질랜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3번째 키위사망자 발생 보고 일요시사 23.07.19.
6474 호주 2022-23년도 세금 신고... 업무 관련 비용처리가 가능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73 호주 잘못 알고 있는 도로교통 규정으로 NSW 운전자들, 수억 달러 ‘범칙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72 호주 차일드케어 비용, 임금-인플레이션 증가 수치보다 높은 수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71 호주 2023 FIFA 여자 월드컵... 축구는 전 세계 여성의 지위를 어떻게 변모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70 호주 시드니 주택임대료, 캔버라 ‘추월’... 임대인 요구 가격,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9 호주 입사지원시 기업 측의 관심을 받으려면... “영어권 이름 명시하는 게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8 호주 세계 최초 AI 기자회견... “인간의 일자리를 훔치거나 반항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7 호주 개인소득세 의존 높은 정부 예산... 고령 인구 위한 젊은층 부담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6 호주 일선 교육자, “계산기 없는 아이들의 산술 능력, 가정에서부터 시작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5 호주 SA 주 8개 하이스쿨서 ChatGPT 스타일 AI 앱, 시범적 사용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4 호주 NSW, ‘세입자 임대료 고통’ 해결 위해 Rental Commissioner 임명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3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Dodgeball Sydney’와 함께 ‘피구’ 리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2 호주 CB 카운슬, 어린이-고령층 위한 대화형 게임 ‘Tovertafel’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61 호주 Millennials-Gen Z에 의한 정치지형 재편, 보수정당 의석 손실 커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60 호주 고령연금 수혜 연령 상승-최저임금 인상... 7월 1일부터 달라지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9 호주 다릴 매과이어 전 MP의 부패, NSW 전 주 총리와의 비밀관계보다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8 호주 호주 대학생들, ‘취업 과정’ 우선한 전공 선택... 인문학 기피 경향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7 호주 보다 편리한 여행에 비용절감까지... 15 must-have travel apps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6 호주 각 대도시 주택시장 ‘회복세’, “내년 6월까지 사상 최고가 도달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5 호주 주 4일 근무 ‘시험’ 실시한 기업들, 압도적 성과... “후회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4 호주 연방 노동당, QLD에서 입지 잃었지만 전국적으로는 확고한 우위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3 호주 호주 RBA, 7월 기준금리 ‘유지’했지만... 향후 더 많은 상승 배제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2 호주 NSW 정부, 각 지방의회 ‘구역’ 설정 개입 검토... 각 카운슬과 ‘충돌’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