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델라웨어 자택에서... 트럼프 백악관 수락 연설은 '위법'
 
redem.jp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민주당 전당대회지로 가지 않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에서 민주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을 하기로 했다.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을 연설 장소로 정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히면서 신종 코로나 정국의 신풍속도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직 대통령이 정당 행사에 백악관을 활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공식 지명될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은 이달 17일부터 나흘 동안 전당대회가 예정된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가지 않기로 했다. 대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에서 후보 수락 연설을 할 것이라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 측이 지난 5일 발표했다. 다른 주요 관계자들도 현장에 갈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전당대회의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대통령 후보 지명 예정자가 현장에 가지 않는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때문이다. 후보 지명 예정자와 수행원, 그리고 당 관계자들의 여행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민주당은 전당대회 전체를 대의원 소집 없이 치르는, 가상(virtual) 행사 방침을 일찌감치 정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과 당 주요 지도부만 밀워키에 가는 것으로 당초 정했는데, 그마저 계획을 접은 것이다.

민주당이 계획한 가상 행사는 온라인을 활용한 생중계와 전산 집계 등으로 일정이 진행된다. 대의원들은 각자 출신 지역에 머물면서 호명 투표 등에 참가하고, 바이든 전 부통령이 델라웨어에서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하는 장면은 전국에 생중계 된다. 동시에 미국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소규모 연계 행사(anchor events)를 열어 전당대회 열기를 살린다는 계획이다.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될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백악관에서 수락 연설을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대통령이 한 번 움직이려면 경호 인력 이동을 비롯해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백악관이 가장 "쉽고 아름다운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구상이 적절치 않다는 논란이 내부에서부터 일고 있다. 백악관을 정당 행사에 활용할 수 없다는 지적 때문이다. 공화당 소속 존 툰 상원의원은 "그런 구상이 과연 합법적이기는 하냐"면서 "연방 시설에서 어떤 (정당) 활동을 하더라도 문제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론 존슨 상원의원도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정당 활동을 하는 것은 '해치법(Hatch Act)'에 대한 위배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해치법은 공무원이 근무 시간에 정부 재산을 정치적 활동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규로, 야당에서도 비판이 일고 있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강행할 경우 또 한 번 "백악관의 격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지난 5일 MSNBC 인터뷰에서 주장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법규 적용 대상에 대통령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설명하면서 백악관 수락연설을 합법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로이터 통신은 연설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정부 관계자들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고, AP통신은 백악관 연설 계획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공화당은 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24일부터 나흘 동안 전당대회를 치를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연설 생중계 등을 포함한 '가상' 행사가 될 것이라고 5일 폭스뉴스에 밝혔다. 후보 수락 연설을 하는 날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취재진을 초청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수락 연설 일정을 비공개로 한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를 부인한 것이다.

한편, 민주당의 바이든 전 부통령과 공화당의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판세를 보면,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지난 6월 말 이후 각종 여론조사 지지율에서 계속 앞서고 있다. 후원금도 바이든 전 부통령 쪽으로 몰렸으나 최근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 7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전국위원회(RNC) 모금액이 1억6500만 달러에 이른 반면, 바이든 전 부통령과 민주당전국위원회(DNC) 모금액은 1억4천만 달러에 머물렀다.
  • |
  1. redem.jpg (File Size:41.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57 캐나다 작년 BC주 불법약물 과용 사망 1489명 밴쿠버중앙일.. 19.02.09.
5656 캐나다 독신 캐나다인, 주택구입 망설여져 밴쿠버중앙일.. 19.02.09.
5655 캐나다 밴쿠버 주택시장 취약성 전국 최고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9.
5654 캐나다 캘거리 공항, 1,700만 명이 방문하는 기록 세워 CN드림 19.02.12.
5653 캐나다 앨버타 BC주 경계에서 화물열차 탈선 CN드림 19.02.12.
5652 캐나다 온라인 스폰서 이민 신청 10분만에 마감해 심각한 차별 논란 CN드림 19.02.12.
5651 캐나다 팀 홀튼 공동 창업자 론 조이스 (Ron Joyce) 세상 떠나 CN드림 19.02.12.
5650 캐나다 극한의 추위가 앨버타를 덮쳤다 CN드림 19.02.12.
5649 캐나다 영하 기온·폭설에 혼난 메트로밴쿠버 file 밴쿠버중앙일.. 19.02.14.
5648 캐나다 전철 7세 여아 성추행 용의자 공개 수배 file 밴쿠버중앙일.. 19.02.14.
5647 캐나다 밴쿠버국제공항 운항 차질 없도록 만반의 조치 file 밴쿠버중앙일.. 19.02.14.
5646 캐나다 경기도, 독립운동 재외동포를 위한 사업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19.02.15.
5645 캐나다 1300만 관객 돌파한 <극한직업>! 밴쿠버중앙일.. 19.02.15.
5644 캐나다 (속보) 기상청, 14일 오후 폭설주의보 발령 file 밴쿠버중앙일.. 19.02.15.
5643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3위 코리아위클리.. 19.02.15.
5642 미국 플로리다 주 의원들, "성형외과 처벌 법안 제정해야" 코리아위클리.. 19.02.15.
5641 미국 플로리다 4개 도시, 미국 ‘최악의 도시 50위’에 포함 코리아위클리.. 19.02.15.
5640 미국 미국 성인 절반은 고혈압 등 혈관 질환자 코리아위클리.. 19.02.15.
5639 미국 초콜릿도 코코아 성분 높으면 좋은 식품 코리아위클리.. 19.02.15.
5638 미국 ‘트럼프의 코리안 빅 매치’ file 뉴스로_USA 19.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