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 타깃 기업 ‘홍콩 시장 확장 엿 봐’

 

6.png

(사진=Hong Kong Business)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회사인 존스랑라살르(JLL)가 지난 10일(월)에 발표한 최신 부동산 시장 모니터(Property Market Monitor) 보고서에 따르면, 6월 전체 상업 부동산 임대 거래 중 센트럴 이외 지역이 약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사상 최고를 기록했던 2019년 6월의 73.7%를 크게 상회했다.

 

경제 침체 이유로 대부분 임차인은 비용 절감을 위해 세계에서 가장 비싼 상업지구인 센트럴 지역을 벗어나 더 저렴한 지역을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시로, 글로벌 공유오피스 회사 IWG가 경쟁회사인 위워크(Wework)가 임대했던 코즈웨이베이 하이산플레이스 사무실을 계약한 것으로 전해졌다. IWG는 총 2만2천9백 평방 피트에 달하는 사무실 두 개 층을 계약했다. 세계적 주얼리 브랜드 스와로브스키(Swarovski)는 기존 홍콩섬에서 벗어나 쿤통에 위치한 원 베이 이스트 시티타워(One Bay East Citi Tower) 한 개 층을 임대해 사무실을 이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A급 사무실 공실률은 지난 5월 7.4%에서 6월 7.6%로 0.2% 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홍콩 대표 상업 지구인 센트럴과 침사추이의 A급 사무실 공실률이 전월 대비 각각 0.5% 포인트와 1% 포인트 증가하면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그동안 홍콩 노른자 땅으로 여겨져 왔던 센트럴의 사무실 임대 수요가 감소하면서 6월 센트럴 사무실 공실률이 5.6%로 증가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알렉스 반스(Alex Barnes) JLL 홍콩 시장 책임자는 “6월 전체 상업 부동산 임대료가 전월 대비 2.4% 하락했다. 전체적으로 임대료 가격이 하향세를 보이면서 센트럴 지역과 그 외 지역 간의 임대료 가격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침사추이와 카우룽 이스트 지역의 상업 부동산 임대 계약 건수가 전월 대비 각각 2.6%와 2.7% 줄어들면서 해당 지역 임대 수요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리테일 점포 부동산의 경우, 탑샵(Topshop), 갭(GAP), 아디다스(Adidas) 등 수많은 다국적 리테일 브랜드들이 센트럴에 위치한 플래그십 매장 폐쇄를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JLL은 홍콩 국내 소비를 타깃하는 리테일 기업들은 여전히 홍콩 시장 사업 확장에 적극적이라고 말했다.

 

최근 라이프스타일 리테일 업체 무지(MUJI)가 카우룽베이 텔포드 플라자(Telford Plaza) 점포를 계약하면서 홍콩에서 가장 큰 플래그십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Outback Steakhouse)는 센트럴 엔터테인먼트 빌딩(Entertainment Building) 1층 3천 평방피트에 달하는 점포를 월 임대료 30만 홍콩달러에 임대했으며 현지 소비자를 겨냥해 이곳에서 새로운 패스트푸드 컨셉의 식당을 운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닐슨 웡(Nelson Wong) JLL 중화권 소매 부문 책임자는 “홍콩 점포 임대료가 저렴해지면서 현지 소비자들을 겨냥하는 다국적 소매 기업들은 오히려 홍콩 사업 확장에 기회를 엿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소매 시장 환경 다양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616.5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6 홍콩 반정부 시위 격화로 식당들 줄줄이 폐업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5 홍콩 中 선전, 홍콩 글로벌 금융 허브 지위 탈환 못해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4 홍콩 홍콩 거주 中 본토 출신, 반중 정서에 공포의 나날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3 홍콩 홍콩 시위와 '가짜 뉴스’ file 위클리홍콩 19.10.15.
992 중국 시진핑 "中 분열세력" 향한 강력한 경고 위클리홍콩 19.10.15.
991 홍콩 올해 시정연설 키워드 ‘주택난’·‘현금 보조’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90 홍콩 통화국-은행, 중소기업 지원 사격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9 홍콩 3분기 헤지펀드 US$ 10억 자금 이탈, 10년래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8 홍콩 미중 무역전쟁 불똥에 중국 ‘탈출’하는 공장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7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올해로 36주년 맞아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6 홍콩 소비자협회 ‘온라인 쇼핑몰 반품 서비스 열악’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5 홍콩 홍콩대기오염, 심각한 수준 위클리홍콩 19.10.22.
984 홍콩 홍콩정부,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보조금 정책 file 위클리홍콩 19.10.22.
983 홍콩 홍콩정부, 경제 위기에 HK$ 20억 상당 3번째 구제책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82 홍콩 사무실 평균 임대료 내년까지 10%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81 홍콩 관광산업 HK$ 1억 현금 보조 구제책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80 홍콩 시위‘덕’에 온라인 쇼핑몰 흥행… 약 40% 매출 성장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79 홍콩 해외 이민 신청 건수 4배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78 홍콩 튠문 최대 신도시 개발…타이쿠 10배 크기 file 위클리홍콩 19.10.30.
977 홍콩 최신연구결과, 홍콩 내 대학교 졸업생들 국경 넘어 그레이터 베이 지역에서의 취업 원하지 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