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jpg

왕립 호주공군(Royal Australian Air Force. RAAF) 사진병으로 복무했던 버트 윈터(Bert Winter)씨가 태평양전쟁 당시 뉴기니(New Guinea) 주둔 일본군의 항복 순간을 담은 전쟁 이미지를 포함, 30만여 장의 사진자료를 고향인 타스마니아 버니(Burnie, Tasmania)의 지역 박물관에 기증했다. 사진은 1945년 9월 13일, 북부호주 웨와크(Wewak, Northern Territory) 인근의 비행장에서 가진 뉴기니 일본군의 항복 순간. 뉴기니에 주둔하던 일본 제18군 사령관이었던 하타조 아다치(Hatazo Adachi)가 항복의 의미로 차고 있던 검을 호주 육군 호레이스 로버트슨(Horace Robertson) 소장에게 넘기고 있다. 사진 : Burnie Regional Museum / Bert Winter Collection

 

왕립공군에 복무했던 버트 윈터씨, 타스마니아 지역박물관에 관련 사진 기증

‘억울한 표정’ 담긴 일본군 장군 하타오 아다시의 항복 순간 등 1천200여 장

 

1945년 9월 13일, 제2차 세계대전의 태평양 지역 전장이었던 뉴기니(New Guinea) 주둔 일본군의 항복 순간은 어떠했을까.

왕립 호주공군(Royal Australian Air Force. RAAF) 사진병으로 복무했던 버트 윈터(Bert Winter)씨가 포착한 당시의 모습에는 일본군 고위 장교의 복잡한 심경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뉴기니에서 일본군이 마지막으로 항복을 선언한 이날(1945년 9월 13일), RAAF 소속의 사진병 버트 윈터는 1만3천여 명의 호주군 병사들과 함께 북부호주 다윈(Darwin, Northern Territory) 남쪽 웨와크(Wewak) 인근의 비행장에 대기하고 있었다. 뉴기니에 주둔하던 일본군의 항복 순간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서였다.

그는 호주 장교들과 함께 군용차를 타고 비행장 한쪽에 마련된 테이블로 이동했고, 일본 제국군 장군 하타조 아다치(Hatazo Adachi)의 모습을 촬영했다.

 

6-2.jpg

일본군 사령관 하타조 아다치(Hatazo Adachi)가 항복의 뜻으로 검을 건네기 위해 호주 육군 군용차량을 타고 이동하고 있다. 아다치의 표정에는 수치와 분함, 체념의 모습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사진 : Burnie Regional Museum / Bert Winter Collection

 

호주 육군 호레이스 로버트슨(Horace Robertson) 소장과 병사들은 이날 하타조에게 그가 차고 있던 검(sword)을 넘기라고 요구했다. 일본 제국군 제18군 사령관이었던 하타조는 뉴기니 전투에서 10만 명의 병사를 잃은 상태였다.

윈터씨가 포착한 사진 속 하타조의 얼굴은 패배에 따른 분함과 고통, 체념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당시의 모습과 함께 뉴기니에서 호주군이 치렀던 전투 장면 등을 포함, 윈터씨는 소장하고 있던 30만여 장의 사진을 고향인 타스미니아 버니(Burnie, Tasmania)의 지역박물관에 기증했다.

타스마니아 북부의 작은 도시 버니의 ‘Burnie Regional Museum’에서 자원봉사로 근무하는 줄리 해리스(Julie Harris)씨는 “아주 훌륭한 사진들”이라고 말했다.

 

6-3.jpg

‘Burnie Regional Museum’에서 자원봉사로 근무하는 줄리 해리스(Julie Harris)씨가 버트 윈터(Bert Winter)씨로부터 기증받은 이미지 가운데 태평양전쟁을 담은 사진을 가려내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뉴기니 전투 장면 담은 1천200여 장 포함

 

버트 윈터씨는 1930년대 ‘Emu Bay Railway Company’(1897년 세워진 타스마니아 철도회사)에 다니다 퇴직을 당하고 우울한 날들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고향인 버니로 돌아와 아버지가 하고 있던 가족사진 일을 시작했다.

점차 사진촬영에 매력을 느낀 그는 항공촬영 기술을 배우고자 RAAF에서 훈련을 받기도 했다.

‘Burnie Regional Museum’의 해리스씨는 “버니의 겨울 시즌에 촬영된 버니 사람들의 가족사진은 우리 지역 역사에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라며 “박물관에 기증된 30만여 장의 사진 가운데 특히 겨울 풍경을 배경으로 한 가족사진이 많다”고 말했다.

 

6-4.jpg

왕립 호주공군으로 뉴기니에서 복무하던 당시의 버트 윈터(Bert Winter. 가운데)씨. 현지인 가이드와 함께 오른 뉴기니 산 정상에서 촬영된 것이다. 사진 : Burnie Regional Museum / Bert Winter Collection

 

6-5.jpg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뉴기니에서 호주 공군으로 복무하던 버트 윈터씨는 호주군의 중요한 시건, 인물을 사진으로 남겼다. 사진은 뉴기니의 호주군을 위해 위문공연차 방문한 영국 배우이자 코미디언 그레이시 필즈(Gracie Fields)씨. 사진 : Burnie Regional Museum / Bert Winter Collection

 

그녀는 이어 “제 부친이 2차 세계대전 후 뉴기니에서 토목기사로 일했기에 그곳을 여행하고 싶었다”며 “윈터씨의 사진은 뉴기니의 옛 풍경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윈터씨의 사진에 감명을 받은 해리스씨는 지역 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뉴기니의 일본군이 항복을 선언했던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Burnie Regional Museum’,

태평양전쟁 종전 75년 전시회 마련

 

지난해 윈터씨로부터 사진을 기증받은 ‘Burnie Regional Museum’은 1천200장의 전쟁 사진 가운데 일부를 선정, 태평양전쟁 종전 75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를 준비하고 있다. 이중에는 일본군 사령관 하타조의 모습 등 귀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6-6.jpg

‘Burnie Regional Museum’ 큐레이터 조지아 웨이드(Georgia Wade. 사진)씨. “버트 윈터씨가 박물관에 기증한 30만여 장의 사진은 버니 지역 역사에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말했다. 사진 : ABC 방송

 

이를 준비하는 박물관의 큐레이터 조지아 웨이드(Georgia Wade)씨는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박물관이 임시 폐쇄 상태이기에 다음달(9월) ‘버니 공공도서관’(Burnie Library)에서 일부를 선보일 것”이라며 “이 전시에는 윈터씨가 사용했던 카메라도 포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웨이드씨는 이어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부대 병사들의 일상생활, 윈터씨가 임시로 사용하던 초가지붕(thatched roof)의 스튜디오 등 흥미로운 이미지가 많다”고 소개했다.

 

6-7.jpg

윈터씨의 태평양전쟁 관련 사진 중에는 당시 뉴기니의 전선 후방에서 생활했던 병사들의 모습들도 많다. 사진은 마치 물에 빠진 모의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듯한 모습으로, 나체로 찍힌 것이 흥미롭다. 윈터씨의 기증된 사진들에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다. 사진 : Burnie Regional Museum / Bert Winter Collection

 

윈터씨가 태평양전쟁의 뉴기니 전장을 담은 사진 가운데는 호주의 해변인명구조(surf lifesaving) 문화를 보여주는 듯한 이미지도 있다. 웨이드씨는 “한 사진은 물에 빠진 모의 환자에게 소생술 시범을 보이는 듯한 병사의 모습을 담고 있다”며 “흥미롭게도 이들은 나체로 촬영됐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윈터씨가 기증한 사진들 가운데 상당수는 해당 사진에 대한 설명이 첨부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나체로 심폐소생술을 하는 듯한 이미지도 마찬가지로, 웨이드씨는 “이 사진이 어떤 장면인지는 정확히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6-1.jpg (File Size:95.4KB/Download:33)
  2. 6-2.jpg (File Size:104.4KB/Download:29)
  3. 6-3.jpg (File Size:95.5KB/Download:24)
  4. 6-4.jpg (File Size:85.2KB/Download:33)
  5. 6-5.jpg (File Size:106.9KB/Download:25)
  6. 6-6.jpg (File Size:54.5KB/Download:20)
  7. 6-7.jpg (File Size:74.8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01 호주 모건스탠리 선정 ‘10개 유망 호주 기업’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20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199 호주 “기후 비상사태 직면” file 한호일보 16.03.15.
6198 호주 신차 매입자 60% 5년래 하자 경험 file 한호일보 16.03.15.
61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가격 ‘고공’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6 호주 각 주 주요 도시 주택 중간가격, 3년 만에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5 호주 NDIS 시행으로 장애인 서비스 증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4 호주 뱅스타운-리버풀 노선 확장, 새 기차역 협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3 호주 시드니-멜번 알코올 폭력, 밤거리가 무섭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2 호주 노동당 당원, ‘바턴 지역구’ 후보 경선 요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1 호주 지난 2년 사이 당뇨환자 25%, 절단 수술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0 호주 호주도 청년실업 심각, NSW 실업률 12.2%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9 호주 호주 유권자들, 세금인상 우려해 연립 여당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8 호주 시드니 지역 ‘피크아워’ 교통정체, 갈수록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7 호주 Top 10 best coffees around the world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6 뉴질랜드 노동당 “이민자 수 제한하고 소수민족기술 국내 자체 보급해야” 굿데이뉴질랜.. 16.03.17.
6185 뉴질랜드 “아시안에 대한 뉴질랜드인 태도 다소 냉각” 설문조사 굿데이뉴질랜.. 16.03.23.
6184 뉴질랜드 뉴질랜드 웰링턴-포리루아 통합 문제 2017년 주민투표 가능성 굿데이뉴질랜.. 16.03.23.
6183 호주 시드니 최대 주말 경매... 911채 등록, 활황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2 호주 크라운 그룹, 그린스퀘어 ‘인피니티’ 기공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1 호주 스마트폰 상의 데이트 상대 매력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0 호주 보건 전문가들, 호주인 설탕 섭취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9 호주 로즈(Rhodes)서 3개 그룹 청소년 집단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8 호주 “STEM 학부 입학생들, 중급 수학 이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7 호주 현 경제상황, 여성이 남성보다 더 ‘비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6 호주 지난 달 호주 실업률 5.8%로 다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5 호주 향후 10년 사이 호주인 수백만 명, 대장암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4 호주 UN의 전 세계 행복지수, 호주는 아홉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3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상원 의회 개혁 강행 처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2 호주 캔버라 정가의 핫이슈, ‘더블 디솔루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1 호주 How to find the best discounts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0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 안 바뀐다… 56.6%가 기존 국기 지지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5.
6169 뉴질랜드 오타고 치과대학, 세계 치과대학 중 12위로 선정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6.
6168 호주 비상장 대기업 30% ‘법인세 안냈다’ file 한호일보 16.03.30.
6167 호주 백만달러 이상 소득자 54명 ‘세금은 제로 file 한호일보 16.03.30.
6166 호주 호주 올림픽 선수단 유니폼 공개 file 한호일보 16.03.30.
6165 호주 느려터진 호주 인터넷속도 '세계 60위' file 한호일보 16.03.30.
6164 호주 첫 아시아태평양판 유로비전 열린다 file 한호일보 16.03.30.
6163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162 호주 이스터 기간의 시드니 주말 경매, ‘화제의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61 호주 혼스비 바비큐 식당서 살인사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6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구입, 실제로 어렵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9 호주 ‘파라마타 스퀘어’ 카운슬 건축물 디자인 공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8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가격 가장 저렴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7 호주 NSW 주 주택 부족, “전례 없는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6 호주 연방 정부, 고등교육 학자금 대출 상환 고삐 당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5 호주 NSW 정부, 카운슬 합병 계획 ‘마무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4 호주 치명적인 여름 대재앙, 4건의 자연재해 보험료 5억5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3 뉴질랜드 헬렌 클락 UN 사무총장 후보로, 존 키 “아낌없는 응원” 굿데이뉴질랜.. 16.04.07.
6152 뉴질랜드 제 20대 총선 재외선거 전체 실제 투표율 3.2%, 뉴질랜드 32% 기록 굿데이뉴질랜.. 1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