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중범 전과자 100만명 대선 투표 못할 판
 
vote.jpg
▲ 플로리다주에서 벌금 등을 미납한 중범죄 전과자의 투표권을 제한한 주법이 논란이 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대선때 플로리다주 중부 세미놀 카운티 투표소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에서 벌금 등을 미납한 중범죄 전과자의 투표권을 제한한 주법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의 투표권이 11월 대선 판세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플로리다는 공화당과 민주당의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6개 경합주 중 하나로, 경합주 중에서도 가장 많은 대통령 선거인단(29명)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100만명 안팎에 달하는 전과자들의 투표권 회복은 선거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일 수 밖에 없다.

2018년 선거에서 살인이나 성범죄를 제외한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전과자들이 형기를 마친 후 투표권을 재취득할 수 있도록 주민발의안(수정헌법) 4조가 통과됐다. 미국에서는 징역 1년 이상의 형을 받으면 중범죄로 분류된다.

그러나 2019년 3월, 공화당이 주도하는 주의회는 중범죄 전과자들이 유권자 등록을 위해 모든 법정 수수료, 벌금, 배상금을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수정헌법 4조를 제한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같은 조치는 경제적 능력이 낮은 이들의 투표권을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 공화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지지를 받는 민주당은 법이 유권자를 탄압한다며 반발했다.

급기야 미국시민자유연합(ACLU) 등 인권 단체들은 법이 헌법에 위배된다며 저지 소송을 냈고, 2020년 5월 플로리다 연방 판사는 주법이 부분적으로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판사는 당시 판결문에서 "주법은 (생활이 곤란해) 벌금 등을 납부할 수 없는 자를 차별한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공화당 소속인 론 드샌티스 주지사를 주축으로 한 주정부는 제11 연방 순회 항소법원에 항소했고, 법원은 본안 선고에 앞서 일단 1심 판결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원고측은 대법원에 2심 결정을 무효로 해 달라고 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난달 16일 연방 대법원은 하급심(2심) 결정을 수용, 법원이 투표권 행사를 가로막는 가처분 형식의 명령을 내린 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소니아 소토마요르, 루스 베이더 긴스버그, 엘레나 케이건 등 진보 성향 대법관 3명은 서면으로 반대의견을 제시하며, "(상급 법원 명령은) 자격이 있는 수천 명의 유권자들이 가난하다는 이유만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고 썼다.

이같은 우여곡절 끝에 애틀랜타에 있는 제11 미국 순회 항소법원은 예비선거가 있는 8월 18일 당일에야 주정부가 제기한 항소 심리에 들어갈 태세이다.

허다한 법적 논쟁은 투표권을 재취득하려는 이들에게 극복할 수 없는 장벽들을 만들어 왔다. 지난 1년간 이들을 도우려는 소수의 전문가들은 물론 변호사들조차도 엄청난 혼란을 겪었다고 지적한다.

플로리다주 권리회복연합체(The Florida Rights Restoration Coalition)는 중범죄 전과자들의 빚 청산을 돕기 위해 200만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모금해 왔다. 또 마이클 조던, 르브론 제임스, 존 레전드 등 유명 운동 선수들도 100만 달러를 추가로 모금했다.

주 전역의 수십 명의 변호사들도 전과자들이 미결된 재정적 의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들이 유권자 등록을 할 수 있도록 빚을 청산하는 것을 돕기 위해 FRRC, 안전과 정의를 위한 연합, 플로리다 여성 유권자 연맹과 같은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한편, 대선 유권자 등록 마감일은 10월 5일이다. 중범죄 전과자들이 올해 대선에 참여하려면 유권자 등록 마감일 전에 어떤식으로든 결론이 나야 한다.

  • |
  1. vote.jpg (File Size:29.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77 캐나다 나나이모 보선 NDP 압도적 승리-주정부 당분간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2.
5676 캐나다 웨스트젯, 문제 일으킨 승객에 $65,000 요구 CN드림 19.02.05.
5675 캐나다 에드먼튼 국제공항, 지난 해 사상 최다 이용객 기록 CN드림 19.02.05.
5674 캐나다 캐나다 마리화나 판매점, 앨버타에 가장 많아 CN드림 19.02.05.
5673 캐나다 편지 사연 채택되면 집 생길 수도 CN드림 19.02.05.
5672 캐나다 [신년특별인터뷰] 한류열기 일시적이지 않기 위해 보다 장기적인 투자 필요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5.
5671 캐나다 대다수 캐나다인 중국에 강경 대응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5.
5670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올 겨울 첫눈으로 기록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5.
5669 캐나다 경찰 총격범 자택서 검거 밴쿠버중앙일.. 19.02.06.
5668 캐나다 한인타운을 찾은 자그밋 싱 NDP 당 대표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6.
5667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사상 최초 객차 양쪽문 이용 승하차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6.
5666 미국 “미국의 베네수엘라정권 전복 중단하라” file 뉴스로_USA 19.02.07.
5665 캐나다 연방EE이민 초청자 1월에만 11,150명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8.
5664 캐나다 밴쿠버KOTRA 무역관 3월 14일 잡페어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8.
5663 캐나다 캐나다 영향력 브랜드 TOP 10, 삼성 아웃 file 밴쿠버중앙일.. 19.02.08.
5662 미국 탬파 전력회사들, 스마트 계량기 구축 코리아위클리.. 19.02.08.
5661 미국 온라인 주택 거래 시장 부쩍 증가 코리아위클리.. 19.02.08.
5660 미국 올랜도, ‘보행자에게 가장 위험한 도시’ 오명 언제 벗나 코리아위클리.. 19.02.08.
5659 미국 경기 좋은데 대량 해고? 올랜도 8년 만에 최고 수준 코리아위클리.. 19.02.08.
5658 미국 롯데플라자 마켓, 올랜도에서 테이프 끊었다 코리아위클리.. 1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