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퀸즐랜드대학교 연구팀이 분자 클램프(molecular clamp) 기술을 활용해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의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UQ 연구팀이 공개한 전 임상시험(pre-clinical trials) 결과는 이 약물이 원하는 만큼 COVID-19 면역체계를 유발시켰다. 사진 : University Of Queensland 제공

 

전 임상시험(pre-clinical trials) 결과 공개... COVID-19 면역체계 촉발

 

코로나 바이럿 백신은 전 세계 모든 이들이 간절히 바라는 희망이다. 그리고 그것이 보다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각국별로 이 백신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는 가운데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UQ) COVID-19 백신 연구팀의 시험 결과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지난 8월 26일(수) 호주 언론들이 전했다.

UQ 연구팀은 전날인 25일(화) 밤, 전 임상시험(pre-clinical trials) 정보를 공개하면서 “현재 개발을 진행 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면역체계를 촉발시켰다”고 밝혔다.

분자 클램프(molecular clamp) 기술을 활용한 UQ 과학자들의 백신 후보물질은 호주 정부가 지난 8월 19일, 백신 성공시 호주에서도 이를 생산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옥스퍼드대학교-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공동 연구의 침팬지 아데노바이러스 백신과는 다른 종류이다.

UQ의 백신후보 물질은 지난달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해 왔으며, 테스트 과정에서 옥스퍼드대학교 연구팀의 후보물질에 비해서는 다소 미흡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호주에서 개발이 진행 중인 백신 가운데는 가장 유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UQ 연구팀이 공개한 정보는 햄스터 대상의 이전 시험과 관련이 있다. 연구팀은 동물에게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다음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시켜 개발 중인 약물이 원하는 만큼 면역반응을 유발하는지를 시험했다.

연구팀 일원인 UQ 화학대학원의 키이스 샤펠(Keith Chappell) 박사는 “이는 다만 개발과정의 한 단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1회 투여 후 우리는 폐의 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좋은 수준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며 “시험대상 동물의 약 절반은 폐에서 바이러스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절반은 크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햄스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의 심각성이 현저하게 감소했음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이어 전 임상시험 자료를 언급, “(현재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질병의 증상을 보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샤펠 박사는 “1회 투여 후 우리가 본 것은 예상했던 것보다 효과적이었다”면서 “두 번의 투여가 바이러스 복제를 막고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팀 동료인 트렌트 먼로(Trent Munro) 교수도 “두 차례 투여가 ‘효과적인 백신’을 바라는 우리의 기대치와 일치한다”고 진단하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확인한 모든 것은, 우리가 백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자신감을 준다”고 강조했다.

 

사람 대상 시험에

‘안전문제 없음’ 확인

 

샤펠 박사는 UQ 연구팀 백신 후보물질의 1상 임상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이 시험에 참여한 모든 이들의 안전에 아무런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UQ 연구팀은 1상 임상시험에 120명을 모집했으며 이 가운데 마지막 20명은 이달 셋째 주 개발 중인 백신을 투여받았다.

UQ 연구팀은 이번에 공개한 연구에 대해 “1상 임상시험에 있는 백신후보 물질 가운데 햄스터 모델링의 상세한 결과를 발표한 최초의 결과”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나온 주요 자료를 이날(25일) 밤 국제백신협회(International Society of Vaccines)에 발표하고 다른 국가 연구진들과 정보를 공유했다. 전 세계 과학자들이 이의 다양한 효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샤펠 박사는 “지금까지는 백신 후보물질을 비교하기가 매우 어려웠다”며 “우리는 개발 중인 백신 물질의 성능을 공개한 최초의 사례”라고 설명했다.

 

5-2.jpg

 

University Of Queensland 연구팀이 공개한 백신 후보물질의 코로나 바이러스 단백질 스파이크 3D 모델.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여 개의 COVID-19 백신 개발이 진행 중이며 옥스퍼드대학교 연구팀의 후보물질을 비롯해 일부는 대규모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는 3상 시험에 들어간 상태이다.

과학자들은 호주의 글로벌 바이어 제약회사이자 백신제조 업체인 ‘CSL Limited’와 계약을 맺고 있는 UQ 연구팀 후보물질의 대량 생산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먼로 교수는 “우리가 수행한 최적화와 컨셉 검증(proof of concept)을 통해 이 백신 후보물질은 대규모로 생산될 수 있다”며 “한 번에 1천만 회 분량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샤펠 박사 또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많은 인구 비율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양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COVID-19 면역을 위해 연간 어느 정도의 백신이 필요할 것인지를 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이다. 먼로 교수도 “이 수치를 파악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COVID-19 백신 개발의

잠재적 경쟁자

 

연구팀에 따르면, 시험 결과 일부 바이러스가 호흡기에서는 계속 생존해 있지만 대부분 동물의 폐에서는 제거됐다. 샤펠 박사는 “우리는 이 후보물질이 바이러스로부터 최상의 보호를 위해 적절한 유형의 항체와 t-세포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UQ 연구팀이 내놓은 현재까지의 결과에 대해 RMIT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면역학자 막달레나 플레반스키(Magdalena Plebanski) 교수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라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백신을 찾는 경쟁에서 UQ 연구팀은 상당히 잠재적 경쟁자임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플레반스키 교수는 “UQ 연구팀이 지역사회에 투여 가능한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려는 노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이들은 백신의 효능을 높이고, 이를 제조하는 다음 단계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햄스터가 백신 개발의 동물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 흥미로운 개발”이라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햄스터 폐의 병리학이 인간 환자와 유사하다는 것, 또 동물이 백신을 시험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아주 유망해 보이며, 지금까지는 모든 징후가 좋다”는 플레반스키 교수는 “물론 어떤 것이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최상의 면역을 제공할 것인지를 아직 확신하기에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59.5KB/Download:14)
  2. 5-2.jpg (File Size:55.1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1 뉴질랜드 해머로 강아지 공격한 남성의 댓가.... NZ코리아포.. 17.07.29.
1550 뉴질랜드 도심지에서 추방 작업 추진하는 노숙자 그 이유는? NZ코리아포.. 17.07.28.
1549 뉴질랜드 높은 아보카도 가격, 과일 도둑 증가 NZ코리아포.. 17.07.28.
1548 호주 <뉴스폴>턴불 가치관 및 리더십, 애벗 압도 톱뉴스 17.07.27.
1547 호주 경찰, 센트럴 역 꽃집 난동 괴한 사살 톱뉴스 17.07.27.
1546 호주 뉴스폴 여론조사- 노동당, 양당선호도에서 자유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5 호주 호주 퇴직자 복지 수준, 전 세계 상위권이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4 호주 World’s most dangerous cities...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3 호주 ‘이 시대 최고의 목소리’... 원주민 가수 ‘G 유누핑구’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2 호주 NSW대학교 제인 맥아담 교수, 호주 최초 ‘국제인권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1 호주 Don't break down here! 내륙 오지의 황량한 도로들(2)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40 호주 멜번 소재 대학에 ‘중국학생 출입 금지’ 전단지 붙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9 호주 주 정부, 이너웨스트 일대 7만 가구 주택 건설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8 호주 “무종교 학생들 윤리수업 시간, 학과공부 허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7 호주 처방 진통제 ‘오피오이드’로 인한 사망자 수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6 호주 필립 로우 RBA 총재, “해외 금리인상에 신경 안 써”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5 호주 “호주 성별 임금격차, 향후 50년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4 호주 4인 가족 식비 주 40달러... “대형 슈퍼 이용 말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3 호주 4주 연속 낙찰률 상승, 주춤했던 주택거래 ‘회복세’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1532 뉴질랜드 여자 세계 장타 골프 대회에서 우승한 키위 여성 골퍼. NZ코리아포.. 17.07.27.
1531 호주 ‘노스 본다이 유닛’ ‘세계 건축 페스티발 상’ 주택 부문 최종 후보 선정 톱뉴스 17.07.27.
1530 호주 보복 운전 시비 21살 여성 안면 가격 40대 남성 기소 톱뉴스 17.07.27.
152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출석 멜버른 치안법원 앞 북새통 톱뉴스 17.07.27.
1528 뉴질랜드 “멸종된 뉴질랜드 검은 백조는 토종” NZ코리아포.. 17.07.27.
1527 뉴질랜드 한국 머드 수입, 로토루아 머드토피아 페스티벌에 사용 NZ코리아포.. 17.07.27.
1526 뉴질랜드 훔친 반지 팔며 본명 사용해 7년 만에 잡힌 절도범 NZ코리아포.. 17.07.26.
1525 뉴질랜드 십대 청소년 , 자해 행위 늘고 있어 NZ코리아포.. 17.07.26.
1524 호주 <뉴스폴> 턴불 가치관 및 리더십, 전임자 압도 톱뉴스 17.07.25.
1523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1522 뉴질랜드 뉴질랜드 부자들 평균 부의 가치, 전 국민의 5백배 넘어 NZ코리아포.. 17.07.25.
1521 뉴질랜드 바다에서 먼 목장까지 찾아온 아기 물개 NZ코리아포.. 17.07.25.
1520 뉴질랜드 수입 맥주병에서 발견된 죽은 도마뱀 NZ코리아포.. 17.07.25.
1519 뉴질랜드 오클랜드 노숙자, 합성 대마초에 중독 NZ코리아포.. 17.07.24.
1518 뉴질랜드 주택 문제로 자녀 계획 미루는 오클랜드 젊은 교사들.. NZ코리아포.. 17.07.24.
1517 호주 제 8회 호주한국영화제, 내달 17일 개막 톱뉴스 17.07.23.
1516 호주 19세기 파이프 오르간의 매력 속으로 톱뉴스 17.07.23.
1515 호주 동물원에서 즐기는 수제 맥주 향연 톱뉴스 17.07.23.
1514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주민 99.9%, 아파트 혹은 유닛 거주 톱뉴스 17.07.23.
1513 호주 ‘파라마타 라이트 레일’ 구간 변경되나 톱뉴스 17.07.23.
1512 호주 호주 관광 내수 ‘초호황’ 숙박 및 관광 수익 ‘역대급’ 기록 톱뉴스 17.07.23.
1511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1510 호주 주택 절도, 최선의 예방법은? 톱뉴스 17.07.23.
1509 호주 <NSW 노조연합> “해외 근로자 임금착취 관례화” 톱뉴스 17.07.23.
1508 호주 호주 내각에 신설되는 ‘막강’…안보 첩보 부처 총괄 톱뉴스 17.07.23.
1507 호주 신고자 겨눈 미 경찰의 마구잡이 총격에 호주 여성 횡사 톱뉴스 17.07.23.
1506 호주 호주 노부부 안타까운 죽음…경찰 "페북 끄고 이웃에 관심을" 톱뉴스 17.07.23.
1505 뉴질랜드 지난 3년간 “경찰차 수리비 800만 달러 넘어” NZ코리아포.. 17.07.22.
1504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방부, 한국 파견 병력 2년간 더 연장 NZ코리아포.. 17.07.21.
1503 뉴질랜드 콜게이트 토털 치약에 내린 경고.. NZ코리아포.. 17.07.21.
1502 호주 ‘베이붐 세대’ 은퇴자들, 시드니 지역 비즈니스 판도 바꾼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