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유세 복귀하겠다, 20년 전보다 건강 좋아"

 

 

tr.jpg
▲ 신종 코로나 감염으로 치료를 받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입원 나흘만인 5일 저녁 퇴원한 뒤 백악관으로 복귀했다고 <에이피통신>이 전했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신종 코로나 감염으로 메릴랜드 월터 리드 국립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입원 나흘만인 5일 저녁 퇴원한 뒤 백악관으로 복귀했다. 의료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퇴원에 필요한 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저녁 6시 35분쯤 하얀 마스크를 쓰고 병원을 걸어 나와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의 질문에 엄지 손가락을 치켜 들고 “매우 고맙다”라는 말만 한 채 SUV 차량에 탑승했다. 이어 대통령 전용 헬기인 '마린원'을 타고 백악관으로 향했다. 지난 2일 신종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고 입원한 지 나흘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퇴원에 앞서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대선 유세에 곧 복귀하겠다"며 "가짜뉴스는 가짜 여론조사만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숀 콘리 트럼프 대통령 주치의 등 의료팀은 5일 3시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이 퇴원에 필요한 기준을 충족했거나 초과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완전히 위험을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하루 24시간 주 7일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자택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의료진이 합의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72시간 동안 열이 오르지 않았고 산소 농도도 정상이며 신경계에도 이상이 없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료진의 기자회견에 앞서 트위터를 통해 퇴원 소식을 미리 알리면서 "기분이 매우 좋다, 코로나를 두려워 말고 코로나가 삶을 지배하도록 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 아래 몇몇 상당히 훌륭한 약과 지식을 개발했고, 자신은 20년 전보다 (건강 상태가) 더 좋다고 말했다.

또한 전날 저녁 병원 밖에 있던 지지자들을 위해 나선 외출 때문에 논란이 일고 있는 데 대해서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안전한 차량에 탑승해 자신에게 존경을 표하기 위해 수시간 또는 며칠 동안 병원 밖 지지자에게 감사를 표시한 것을 언론들이 언짢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언론은 무례하다고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날 아침부터 트럼프 대통령은 주식시장 상황부터 자신의 공약, 치적, 유권자 등록 마감일 등을 설명하며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트윗 18개를 올렸다.

<폭스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입원 중에도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 마크 에스퍼 국장장관 등으로부터 화상 안보 보고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참모들은 적대국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건강 상태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없는 상황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는 참모들 사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퇴원이 다시 상태 악화로 이어져 재입원하는 사태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 측근의 감염은 계속 확산하고 있다.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이 5일 신종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매커내니 대변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지난 1일부터 매일 똑같이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5일 오전에 양성 판정이 나왔으며 증상은 없다고 밝혔다.

매커내니 대변인의 확진은 지난 1일 이후, 백악관과 의회, 선거대책본부 등에서 발생한 12번째 사례다.

트럼프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 확진 소식이 향후 대선 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당장 오는 15일 플로리다 마이애미에서 열릴 예정인 2차 TV토론회의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 선거본부는 5일 트럼프 대통령이 2차 TV토론회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팀 머태프 트럼프 선거본부 공보국장은 5일 < ABC 뉴스 >에 토론회에 참석한다는 것이 대통령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 |
  1. tr.jpg (File Size:45.3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57 캐나다 참전용사 추모 컴패스카드 특별 에디션 밴쿠버중앙일.. 18.11.06.
5856 캐나다 폭설 대비 트랜스링크 버스 타이어양말 착용 밴쿠버중앙일.. 18.11.06.
5855 캐나다 연방정부 탄소세 발표에 즉각 반격 나선 제이슨 케니 CN드림 18.11.06.
5854 캐나다 캘거리 Co-op 마리화나 판매점 문 열었다 CN드림 18.11.06.
5853 미국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당선 file 뉴스앤포스트 18.11.08.
5852 미국 “조지아 주지사 선거, 끝나지 않았다” file 뉴스앤포스트 18.11.08.
5851 미국 오바마 케어 연례 등록 11월부터 시작 코리아위클리.. 18.11.08.
5850 미국 남부플로리다 웨스톤, 스몰 비즈니스 창업 적절한 소도시 2위 코리아위클리.. 18.11.08.
5849 미국 플로리다 입시생 SAT 점수 여전히 낮아 코리아위클리.. 18.11.08.
5848 미국 플로리다주 차기 주지사에 론 드샌티스 코리아위클리.. 18.11.08.
5847 캐나다 BC주정부이민 추가점수 직업군 조정 밴쿠버중앙일.. 18.11.14.
5846 캐나다 재외국민 주민등록 발급 때 출입국 확인 강화 밴쿠버중앙일.. 18.11.14.
5845 캐나다 북한 단체 여행 시리즈-2, 북한 여행, 관광만 말고 사업기회도 찾아 보자 밴쿠버중앙일.. 18.11.14.
5844 캐나다 캘거리 올림픽 유치 신청, 시민들 손에 달렸다 CN드림 18.11.14.
5843 미국 올랜도 새 지역 전화번호 ‘689’ 생긴다 코리아위클리.. 18.11.15.
5842 미국 올해 선거에서 재산세 추가 공제안 부결 코리아위클리.. 18.11.15.
5841 미국 플로리다주 주요 선거, ‘공식’ 승자는 없다 코리아위클리.. 18.11.15.
5840 미국 <더 디플로맷>, "미국은 북한과 평화 협정에 우선순위 두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11.16.
5839 캐나다 크리스마스 글로우 페스티벌 에드먼튼서 열린다 CN드림 18.11.20.
5838 캐나다 캘거리 시민, 2026년 동계 올림픽 유치 반대 CN드림 18.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