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7-10.jpg

 

프랑스 회계감사원(Cour des comptes)은 프랑스의 실직 수당(indemnité de chômage/assurance chômage)이 너무 후하므로 이를 하향 조정할 것을 건의했다. 프랑소아 올랑드 대통령도 이 사실을 인정했다. 

 

근로자가 실직을 하면 받는 실직 수당의 지급 기간이 유럽 국가들 중 프랑스가 가장 길다. 수당을 지급하는 실직수당금고(UNEDIC)의 2015년도 누적 적자액이 260억 유로에 달할 만큼 과다지급 되고 있는데, 적자액은 2016년 말에 30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는 유럽 국가 중에서 실업자가 가장 많은 나라이며, 게다가 실직 수당 지급 기간도 가장 길다. 수당을 지급 받는 실업자 수가 260만 명으로, 2015년 12월기준 작년 대비 9만여명 증가하였으며, 올랑드 대통령 임기시작 이후 실업자 수는 총 70만명 증가했다. (증가율 7.8%) 

프랑스의 2015년 경제성장률은 1.1%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기업투자율이 전년대비 2%, 소비율은 1.4% 증가하는 등 정부 공급정책이 일정 정도 효과를 발생시켰으나, 고용창출로 이어지기 위해 필요한 목표치인 1.5% 성장은 요원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 37%가 창업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200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당분간 프랑스의 경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UNEDIC의 적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프랑스 실업자 정부의 실업대책 긴급플랜에 따라 2월초부터 실업수당 규정에 관한 재협상이 시작될 예정이다.

 

자녀가 없는 독신 실업자가 받는 실직 수당은 종전에 받던 월급(각종 부담금 공제전 salaire brut)의 57%에서 75%까지인데, 이를 1%만 줄여도 4억2200만 유로가 절약된다고 한다. 또 일을 하던 때 실직 수당 납부 일 수만큼 실직 수당 지급 일 수를 정하면 12억 유로 절감이 가능하다. 

현재 50세부터는 실직 수당을 받는 최대 기간이 36개월이고, 50세 이하의 젊은층은 24개월인데, 36개월 혜택의 실시 연령을 55세로 올리면 4억5000만 유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또, 근로자의 실직 수당 납부금 비율(taux de cotisation)이 2007년 이래 불변 상태인데, 이를 0,1% 올리면 5억만 유로가 UNEDIC으로 들어온다.

현재 실업 수당으로 매월 순 수당액 6200유로(실직 수당 상한액)를 받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유럽에서 가장 높은 실직 수당액이다. 

 

2015년 12월 31일, 프랑스 노동부가 운영하는 프랑스 본토의 « 직장 알선소(Pôle Emploi)에 등록된 실업자 수는 613만 명인데, 이는 실업률 10.5 %에 해당한다. 이중 264만 명이 실직 수당을 받고 있다. 실직 수당을 지급 받는 기간 중 직장을 구하면 수당 지급이 중단된다.

실직 수당 지급이 제도적으로 후(厚)하므로, 이를 악용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직장을 구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은 하지 않고, 한 2년 일하고, 실직하여 2년 간 수당 받고, 또 일하고 수당 받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업자 수는 줄어 들지 않고, UNEDIC의 적자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이며 고질적인 프랑스의 높은 실업율에는 정부가 쓰는 «백약(百藥)이 무효»인 것처럼 보인다. 

 

917-10a.jpg

 

프랑스는 실직 수당의 천국

  

프랑스가 실직 수당(assurance chômage) 지급에서 얼마나 후하고 관대한 나라인지 다른 나라들의 예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 프랑스 : 실업률 10.5%, 지난 28개월 동안, 직장에서 최소 4개월 이상 근무하면서, 실직 수당 부담금(cotisations d’assurance chômage – 고용주 부담 및 본인 부담)을 부은 사람으로, 실직 후 수당을 받는 수혜(受惠)  기간은 최하 4개월에서 최고 2년(직장에서 2년간 실직 수당을 부은 경우)까지인데, 50세 이상은 최고 3년까지이며, 수당은 월급 액의 57%에서 75%까지이며, 상한액은 월 6 624€.

-영국 : 실업률 6,2%, 직장 근무 2년 이상, 수혜(受惠) 기간은 최대 6개월, 금액은 평균 주당 91 유로, 상한액은 주당 143€.

-스웨덴 : 실업률 6,2%, 직장 근무 3개월 이상, 수혜 기간은 최대 300일 (즉 10개월), 금액은 월급의 80%에서 차츰 줄어들어서 70%까지, 상한액은 월 2 430€.

-독일 : 실업률 4,6%, 지난 2년 간 직장 근무 1년 이상, 수혜 기간은 6개월 ~  2년, 월급의 60% ~ 67%, 상한액 월 2 300€.

-이탈리아 : 실업률 12,4%, 지난 2년 간 직장 근무 2년 이상, 수혜 기간은 8개월 ~  13개월, 월급 액의 60%, 그 다음 50%, 그 다음 40%, 상한액 월 1 700€.

-스페인 : 실업률 21,5%, 지난 6년 간 직장 근무 1년 이상, 수당을 받는 기간은 4개월 ~  2년, 상한액 월 1 300€.  

 

【편집부 / 이진명 jinmieungli@g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8 독일 독일, 2030년에도 전문인력 부족할 것 유로저널 14.03.20.
1257 영국 영국 정부,스코틀랜드 독립시 국경 봉쇄 유로저널 14.03.20.
1256 프랑스 프랑스 정년퇴직 75세 ?, 노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대기업들의 자세 유로저널 14.03.20.
1255 영국 체코, 유로화 도입위한 재정적자와 물가 부분에서 충족 못시켜 유로저널 14.03.20.
1254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1253 기타 스페인 영화, 테러리즘을 마주하다 유로저널 14.03.20.
1252 독일 오스트리아, 투자 증대로 중국 위상 높아져 유로저널 14.03.21.
1251 독일 OECD, 유로존 사회 분열 경고 file 유로저널 14.03.24.
1250 독일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1249 영국 G7 정상,러시아 고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file 유로저널 14.03.26.
1248 프랑스 시테국제기숙사촌 한국관 건립 약정 서명식 file 프랑스존 14.03.26.
1247 영국 스코틀랜드 독립하면 영국 대학생들 학비 내야 file 유로저널 14.03.27.
1246 스페인 스페인 천주교신자들,낙태와 동성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03.28.
1245 영국 영국 육류 제품중에 다른 고기 뒤섞여 판매 심각해 file 유로저널 14.03.30.
1244 영국 유럽 젊은이들,자립어려워 부모와 함께 살아 file 유로저널 14.03.31.
1243 프랑스 프랑스 성인 4명 중 1명,이명 증상 시달려 file 유로저널 14.03.31.
1242 독일 독일 이주가정 자녀, 앞으로 이중국적 허용 file 유로저널 14.04.05.
1241 영국 영국, 앞으로 자식에 대한 애정 표현 결여는 범죄 file 유로저널 14.04.05.
1240 베네룩스 유럽 경제 위기, 갈수록 악화되어 file 유로저널 14.04.06.
1239 영국 세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향후 5 년이내 302억 달러 전망 file 유로저널 1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