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부 유권자 등록 3676명의 7% 불과… 13일 마감 남겨두고 몰릴 듯
 
number.jpg

 
(올랜도=코리아 위클리) 김명곤 기자 = 오는 4월 13일 실시되는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참여를 위한 국외부재자와 재외선거인 등록 마감이 3∼4일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플로리다주 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15일부터 시작한 등록신청 접수는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을 비롯한 전 세계 169개 재외공관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이달 13일에 마감한다.

특히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플로리다(올랜도 우성식품)에 재외투표소가 마련되어 지난 총선이나 대선에서와 같은 장거리 여행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플로리다 지역 투표일은 4월 2일(토)과 3일(일) 이틀간이다.

2월 10일 현재 동남부 유권자 등록수는 3676명

미 동남부 담당 김지현 재외선거관에 따르면 2월 10일 현재 애틀랜타를 포함해 총 3676명이 등록해 지난 3일 총계(3181명)보다 500여명이 더 증가한 상태이다. 애틀랜타 총영사관 관할 전체의 재외유권자 수를 7만9000명(재외국민수 9만8996명의 80%)으로 추산할 때 등록자 수는 여전히 5% 미만에 불과한 실정이다.

플로리다에서는 영구명부 등재자수 59명을 포함하여 10일 현재 256명이 등록해 지난 3일 통계(227명)보다 29명이 늘었다. 등록 숫자는 동남부 전체에서 조지아(2569명)와 앨러배마(513명) 다음으로 세번째로 높다. 그러나 전체 등록자 대비 7%에 불과한 실정이다.

미국 동남부는 전세계 170여 공관 중 한인규모가 5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이곳에서는 3700여명이 유권자로 등록했다.

공관측은 이번 선거에서 2만명의 유권자 등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도 등록 가능

특히 이번 선거부터는 인터넷을 이용한 신고 신청이 도입되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중앙선관위 홈페이지(www.nec.go.kr / ok.nec.go.kr)에 접속하면 신고 신청서와 여권 같은 첨부서류 없이 간편하게 유권자 등록을 할 수 있다.

김지현 선거관은 "여권 유효기간이 지난 불법체류자 신분일 경우에도 투표권이 있다는 점을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면서 체류신분에 관계없이 국민의 권리를 행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국외부재자 신고와 관련하여 "한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은 국외부재자 신고를 해야 하는데,주민등록 말소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외선거인등록신청을 하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주민등록 정보를 조회하여 수정해 준다"고 설명했다.

유권자 등록, 팔 걷고 나선 중앙플로리다한인회
 
heungkyu.jpg
▲ 6일 우성식품 앞에서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서민호 한인회 회장(왼쪽), 이흥규 전 한인회장(중앙) 등 한인회 관계자들. ⓒ 코리아위클리
 
한편 중앙플로리다한인회(회장 서민호)는 지난 달 30일과 31일, 그리고 이달 6일 등 사흘에 걸쳐 우성식품 앞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펼쳤다.

또 유권자 등록 캠페인은 7일 한인회 주최 설 잔치 행사장에서도 진행됐다.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이흥규 전 한인회장은 "지역내 일부 교회에서도 캠페인을 펼쳐 한 교회에서 40여명이 등록을 하는 등 성과를 올렸다"고 전했다. 이 전 회장은 이번 캠페인으로 센트럴플로리다대학(UCF)에 재학중인 유학생들도 다수가 참여했다고 밝혔다.

재외투표소가 설치될 우성식품은 실내 한쪽으로 400∼450평방피트 규모의 사무실 2개를 나란히 보유하고 있다. 이 전 한인회장에 따르면 사무실 1개는 대기실로, 다른 1개는 투표소로 사용될 예정이다.

일부에서는 마감을 남겨두고 등록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당초 목표치 2만명에는 훨씬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0 미국 [속보] 미국 지역 재외선거 투표 전면 취소 [3] file 코리아위클리.. 20.03.28.
269 미국 총선 해외투표 역대 최저 우려 뉴스로_USA 20.03.29.
268 미국 3월 19일부터 한국입국 특별절차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3.30.
267 미국 재외유권자 8만명 투표불발 file 뉴스로_USA 20.03.31.
266 미국 민주평통 마이애미-덴버협의회, 대구에 ‘코로나 성금’ 전달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265 미국 美마이클윤 시의원 코로나19 타계 충격 file 뉴스로_USA 20.04.08.
264 미국 제22회 재외동포문학상 작품 공모 코리아위클리.. 20.04.12.
263 미국 잭슨빌 동포, 잭슨빌시에 마스크 9천개 기증 코리아위클리.. 20.04.12.
262 미국 집에서 즐기는‘온라인 한국문화’ file 뉴스로_USA 20.04.16.
261 미국 2020 AHL-T&W 현대미술공모전 file 뉴스로_USA 20.04.17.
260 캐나다 식당들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 이어가 file CN드림 20.04.20.
259 캐나다 외국 국적 한인들, 모국 방문시 단기비자 필요 file CN드림 20.04.20.
258 미국 ‘제재강화’ 美의원들에 항의편지 file 뉴스로_USA 20.04.21.
257 캐나다 COVID -19 환자를 대상으로 한/캐나다 임상시험계획 file 밴쿠버코리안.. 20.04.24.
256 미국 美한인회 경찰-학생들에 마스크 기증 file 뉴스로_USA 20.04.29.
255 캐나다 고대 요법, 현대 과학을 만나다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1.
254 미국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프다” file 뉴스로_USA 20.05.02.
253 미국 수요힐링 국악콘서트 뉴욕한국문화원 file 뉴스로_USA 20.05.06.
252 캐나다 부모가 집에서 공부하는 자녀를 위해 분위기를 “만화화”하는 방법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
251 캐나다 BC 회사, 한국에서 COVID-19 임상시험 시작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