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중국 본토 출신, 줄어드는 홍콩인

 

10.png

(사진=scmp)

 

홍콩 금융업계에서 중국 본토 출신 은행가 인력 풀이 크게 늘면서 홍콩 출신 은행가들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글로벌 리크루트 회사 로버트 월터스(Robert Walters)에 따르면, 홍콩 내 금융업 전문가 중 홍콩 출신자의 비중이 2년 전 40%에서 현재 30%로 감소했다. 중국 출신자가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외국인들이 나머지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고위직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리서치 회사 웰즐리(Wellesley)는 은행 업계 내 고위 임원 중 절반 이상이 중국 출신자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인재 풀이 늘고 홍콩 시장으로 유입되는 중국 자본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모두 예상했으나 업계는 최근 더욱 빨라진 변화 속도에 놀라움을 표했다. 업계는 작년 홍콩 시위 이후 중국계 은행들이 홍콩 출신자 채용 및 승진을 꺼리고 있다는 점이 부분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소재 중국계 금융회사만 중국 출신자를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모건 스탠리는 2015년 이후 총 15명의 중국 출신 임원을 선임했다. 같은 기간 홍콩인은 11명에 머물렀다. 골드만 삭스의 경우, 2018년에 중국 국적자 3명을 파트너급 인사로 임명하면서 파트너 출신 국가 중 중국이 가장 많다. 홍콩 출신자의 경우, 대부분 트레이딩, 리서치 등 고객 대면이 비교적 적은 직무에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버트 월터스의 존 멀러리(John Mullally) 지역담당 책임자는 “20년 전만 해도 홍콩 금융업계에서 중국 본토 출신자가 15%에 불과했다. 그러나 해외 유학 및 근무 등 다양한 국제적 경력을 쌓은 중국 인재들이 늘어나면서 홍콩 인재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웰즐리의 크리스티안 브런(Christian Brun)은 “자사에서 조사한 홍콩 소재 금융회사 중 90% 이상이 유창한 만다린 구사력을 필수요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영국, 미국 등 출신의 외국인 인재들의 일자리 기회도 줄어들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홍콩 소재 8대 투자 은행에서 고위직 임원 중 홍콩과 중국 외 외국인 출신자는 단 7%에 불과하다.

 

한편 중국 출신 인재가 크게 늘면서 홍콩 금융업계 임금 수준도 낮아졌다. 웰즐리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금융권 임원직의 임금이 15~20% 하락했다. 2015년, 100만~200만 달러를 받았던 전무이사(Senior Managing Director)직이 현재는 85만~175만 달러로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홍콩의 금융 허브로서의 지위가 흔들리면서 많은 홍콩 은행가들의 일자리 보존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중국과 홍콩 간의 관할권 경계가 모호해진 데다 미국 정부의 잇따른 홍콩에 대한 경제 제재 위협으로 홍콩의 지위가 약화시키고 있다. 게다가 최근 중국이 다국적 기업에 대한 중국 법인 운영 규제를 완화하면서 많은 해외 금융 기업들이 중국 법인을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최근 중국 정부가 해외 거주 자국민의 역외소득에 세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많은 중국 인재들이 홍콩을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소득세율의 3배 수준인 중국 세율 부과와 높은 홍콩 물가 수준으로, 홍콩에 거주 중인 많은 중국 인재들이 중국으로 복귀하려는 의향을 내비쳤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768.4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6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5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4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3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2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1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0 홍콩 홍콩-필리핀, 해양 폐그물 공동 수거 작업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49 홍콩 손모아 행복 "홍콩內 한인업체 이용하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8 홍콩 HSBC, 중소기업 지원 사격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7 홍콩 부동산 침체로 8천명 부동산 종사자 실업 위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6 홍콩 안전한 도시 2019, 홍콩 9위에서 20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5 홍콩 3개 중국계 기업, 홍콩 상장 신청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4 홍콩 우주박물관 기념품 가게 입찰 실패로 문 닫아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3 홍콩 음식재활용 계획, 식품 수거해 저소득층에게 배포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2 홍콩 위안화의 국제 결제율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1 홍콩 선전, 자유태환제도 시행…은행 사전 승인 안 거쳐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40 중국 선전 중학생, 단 44%만 공립고 진학 file 위클리홍콩 19.09.03.
1039 홍콩 범죄인 인도법 철회 발표에 부동산 시장 반등 file 위클리홍콩 19.09.10.
1038 홍콩 홍콩 경제계, 범죄인 인도법 철회 환영 file 위클리홍콩 19.09.10.
1037 홍콩 홍콩 신용등급 강등·증권거래소 해킹 ‘악재’ 겹쳐 file 위클리홍콩 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