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모임 인원수 제한 완화도 필요

 

12.png
 

홍콩 관광 업계가 홍콩과 싱가포르 간의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코비드19 검사 비용이 저렴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5일(목), 홍콩과 싱가포르 정부는 성명을 통해 격리기간 없이 양국 간 상호 왕래할 수 있는 트래블 버블 협정에 원칙 합의했다고 밝혔다. 합의 내용에 따르면, 여행 목적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여행객은 72시간 내 발급된 양국이 상호 승인하는 코비드19 음성 결과서를 소지해야 한다. 여행객은 오직 지정된 항공편만 이용할 수 있으며 입경 후, 시설 격리나 자가 격리를 할 의무가 없다. 양국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트래블 버블을 실시할지 구체적인 시기와 방안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코비드19 사태 이후 홍콩은 지난 3월부터 해외 관광객 입국을 금지했다. 이번 협약은 전 세계 첫 트래블 버블 협정인 만큼 여행 재개와 관광 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우 시윙(Yiu Si-wing) 관광 부문 의원은 양국 간의 트래블 버블 협정 도달에 환영의 입장을 표명하며 수주 내로 시행되기를 기대했다. 더 나아가 이번 트래블 버블 협정을 시작으로 중국 본토, 대만, 태국, 일본, 한국 더 많은 국가와 유사한 협정이 체결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관광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코비드19 검사 비용이 더 저렴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6일(금), 한 라디오 방송에서 “여행객들은 비행기표, 숙박비 이외에 최소 2천 홍콩달러(258 달러) 이상에 달하는 코비드19 검사 비용을 추가로 부담하게 된다. 비싼 코비드19 검사 비용이 일반 관광 여행객들의 여행 욕구를 제한시킬 것이다. 가족 및 친인척 방문 또는 사업 출장 목적의 여행객들이 주로 이용하게 돼 지역 관광 산업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홍콩에서 코비드19 핵산증폭검사(PCR) 받기 위해서는 300 홍콩달러(39 달러)~1000 홍콩달러(129 달러) 이상을 지불해야 한다. 싱가포르 창이공항에서 유사한 검사를 받는데 약 300 싱가포르달러(221 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이 밖에도 프레디 입(Freddy Yip Hing-ning) 여행사대표협회 협회장은 공공 모임 인원수를 4명에서 30명으로 늘려야 단체 투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홍콩 아웃바운드 여행객 중 싱가포르로 여행을 가는 여행객 비중이 중국 본토, 대만, 일본, 한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적다며 중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와의 여행 재개를 위한 대화 속도를 높일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호 팍령(Ho Pak-leung) 홍콩대 전염병센터 센터장은 여행 버블이 시작하기 전까지 모든 코비드19 관련 조치들이 완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행 버블 시행 성공 여부는 향후 2,3주 동안 확진자 수 감소 여부에 달려 있다. 이번 달 첫 2주 동안 발생한 지역 감염 확진자 대부분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사례였기 때문에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한편 양국 간 트래블 버블 협정 발표 이후, 싱가포르에어라인 홈페이지에서 싱가포르에서 홍콩으로 가는 비행기표 가격이 인상되었다. 발표 직후였던 15일(목) 오후, 싱가포르에서 출발하는 왕복 비행기표가 올해 말까지 약 2,280 홍콩달러였지만, 다음날 가격이 3,180 홍콩달러로 약 40% 인상됐다.

 

홍콩-싱가포르 비행기표 검색량도 발표 이후 400% 급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2.png (File Size:574.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6 홍콩 선전, 자유태환제도 시행…은행 사전 승인 안 거쳐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5 홍콩 위안화의 국제 결제율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4 홍콩 음식재활용 계획, 식품 수거해 저소득층에게 배포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3 홍콩 우주박물관 기념품 가게 입찰 실패로 문 닫아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2 홍콩 3개 중국계 기업, 홍콩 상장 신청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1 홍콩 안전한 도시 2019, 홍콩 9위에서 20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0 홍콩 부동산 침체로 8천명 부동산 종사자 실업 위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9 홍콩 HSBC, 중소기업 지원 사격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8 홍콩 손모아 행복 "홍콩內 한인업체 이용하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7 홍콩 홍콩-필리핀, 해양 폐그물 공동 수거 작업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6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5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4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3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2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1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0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59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58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557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