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제 2의 문화대혁명’, ‘사회 불신 조장’ 비판

 

5.png

 

5일(목), 홍콩 경찰 당국이 국가보안법 위반 범죄를 신고할 수 있는 핫라인을 개설한 지 몇 시간 만에 1천 건이 넘는 신고가 쇄도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양극화된 홍콩에서 불신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 6월, 국가보안법이 시행되고 약 4개월 만에 핫라인 채널이 개설되었다. 6월 30일에 발효된 국가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처벌한다. 지금까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최소 남성 22명과 여성 6명이 체포되었다.

 

홍콩 국가보안법 관련 사건 전담조직인 국가안보처가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긴급하지 않은 정보, 사진, 음성 및 영상 파일을 신고할 수 있는 신고 채널을 개설했다. 시민들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위챗을 이용해 국가 안보 관련 신고를 할 수 있다.

 

경찰청 대변인은 5일 오후 6시 현재, 이미 1천 건 이상의 신고가 접수되었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처 신고 핫라인은 오직 국가 안보와 관련된 신고만 받으며 전화로 신고를 접수하거나 신고 내용에 대한 회신은 하지 않는다. 경찰은 핫라인을 통해 신고한 신고자의 신원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며 수집한 모든 정보는 제 3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 정부 소식통은 국가보안법 핫라인 채널 도입으로 잠재적 용의자들의 위법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야권에서는 핫라인 채널이 홍콩 사회의 분위기를 더욱 흉흉하게 만들고 사람 간 신뢰를 훼손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람 척팅(Lam Cheuk-ting) 민주당 의원은 “요즘 홍콩인들은 무슨 일이든 쉽게 비판받을 수 있고 ‘정치적 지뢰’를 쉽게 밟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며 핫라인 채널을 두고 이는 ‘제 2의 문화대혁명’이라며 사회 불신을 조장한다고 비판했다.

 

인권 단체들은 중국이 홍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핫라인 개설은 홍콩의 언론자유에 또 다른 타격이 된다고 우려했다.

 

마야 왕(Maya Wang)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선임연구원은 “신고자들이 핫라인을 통해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이나 정치적 견해가 다른 사람들을 신고할 수 있다”며 허점을 지적했다.

 

앞서 홍콩 경찰은 반정부 시위를 단속하기 위해 지난해 9월에 반폭력 핫라인 채널을 개설했으며 이번 국가안보 신고 핫라인 채널과 매우 유사하다. 작년 반폭력 핫라인 채널 개설 이후, 약 120만 건 이상의 신고가 채널을 통해 접수되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432.3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6 홍콩 선전, 자유태환제도 시행…은행 사전 승인 안 거쳐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5 홍콩 위안화의 국제 결제율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4 홍콩 음식재활용 계획, 식품 수거해 저소득층에게 배포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3 홍콩 우주박물관 기념품 가게 입찰 실패로 문 닫아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2 홍콩 3개 중국계 기업, 홍콩 상장 신청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1 홍콩 안전한 도시 2019, 홍콩 9위에서 20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70 홍콩 부동산 침체로 8천명 부동산 종사자 실업 위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9 홍콩 HSBC, 중소기업 지원 사격에 나서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8 홍콩 손모아 행복 "홍콩內 한인업체 이용하기” file 위클리홍콩 19.09.03.
567 홍콩 홍콩-필리핀, 해양 폐그물 공동 수거 작업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6 홍콩 샤틴, 플라스틱 없는 공동체 시범 운영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5 홍콩 홍콩 달러 페그제 오히려 홍콩 경제 ‘아킬레스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4 홍콩 유튜브, 중국 선전 동원 채널 정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3 홍콩 카우롱파크 지하개발보다 더 많은 횡단보도 필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2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계획 일환, 선전 ‘해외 인재 유치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1 홍콩 홍콩인 40% 이상, 중국 소속감 낮다고 답변해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60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59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558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557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