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적 어려움, 해외 운송 비용 상승 등 이유로

 

8.png

(사진=scmp)

 

동물 구조 및 보호 단체들에 따르면, 코비드19 팬데믹 기간 유기 동물의 수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주인들이 홍콩을 떠나거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반려동물을 유기하거나 학대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홍콩 농수산보존서(AFCD)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기간 반려동물 주인이 AFCD 보호소에 보낸 반려동물은 888마리다. 여기에는 개 419마리, 고양이 45마리를 포함해 토끼, 햄스터, 기니피그, 쥐, 파충류 등 다양하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입소한 반려동물 818마리를 이미 넘어섰다.

 

한편 AFCD가 길에서 포획한 유기 동물은 개 452마리, 고양이 159마리를 포함해 총 1,395마리에 달한다. AFCD는 반려동물을 잃은 주인을 일정 기간 기다렸다가 나타나지 않으며 입양하기 양호한 동물은 동물복지기관으로 이송시키고 나머지는 안락사를 시킨다. 올해 1~9월 기간, AFCD는 보호 중인 동물 264마리는 주인을 찾아 돌려줬으며 744마리는 새로운 주인에게 입양을 보냈다. 같은 기간 864마리가 안락사되었다.

 

동물보호단체 홍콩 도그 레스큐(Hong Kong Dog Rescue, HKDR)는 작년과 비교했을 때 올해 버려진 반려견이 매달 평균 10마리 늘었다고 밝혔다. HKDR는 “반려견 주인들이 코비드19에 감염될까 우려해 산책을 시키지 않고 실내에만 머물면서 반려견의 신체·정서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쳤다. 산책을 충분히 못한 반려견은 집안에서 안절부절 못하고 뛰어다니고 짖기도 하며, 때로는 가구를 물어 파손하고 실수로 주인을 다치게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대개 주인들은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반려견을 꾸짖는다”고 말했다.

 

코비드19로 유기 동물과 학대 동물이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전염병 확산 방지 이유로 많은 동물 보호 기관들의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동물 입양도 줄어들었다. SAA는 코비드19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방문객을 제한했다. 올해 대부분 기간 동안 입양 서비스와 입양 신청자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가정 방문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 밖에도 반려동물 해외운송 서비스가 까다로워지면서 유기 동물이 늘어났다. 대부분 반려동물 주인들은 홍콩을 떠날 때 반려동물을 함께 데리고 출국하지만, 올해는 코비드19로 인하여 해외로 운송된 동물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애완동물 운송회사 펀데일 캔넬 앤 캐터리(Ferndale Kennels and Cattery)의 매튜 머독(Matthew Murdoch) 대표는 “항공사들의 운항 횟수가 줄어든데다 일부 항공사는 동물 운송 서비스를 중단했다. 과거에 비해 해외 동물 운송 비용이 최대 5배까지 비싸졌다. 이뿐만 아니라 절차도 더 복잡해지면서 동물을 보내는데 더 오래 소요된다”고 말했다.

 

코비드19가 쉽게 종식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피오나 우드하우스(Fiona Woodhouse) SPCA 부센터장은 정부와 동물 복지 단체들이 동물 보호 복지를 위한 홍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히며 “반려동물 주인들은 반려동물 생명을 보살피는 책임과 의무가 따른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 통계에서도 올해 상반기 동안 동물 학대 사건이 34건 발생했고 동물 학대 혐의로 20명이 체포되었다. 동물 학대 방지 조례에 따라, 동물 학대는 최대 20만 홍콩달러 벌금과 3년 징역형에 처해진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907.6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7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3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1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0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9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8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