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1934279980_kZyK7bVe_4017f1b9935dd95

 

 

캐나다 화이자 백신 2천만회분 계약

초기 물량 한정...접종기간 1년 이상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이 3상 임상시험에서 90% 이상의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예방 접종의 시기가 한층 앞당겨진 가운데 연방정부가 아직까지 백신 보급 계획을 수립하지 않아 관계 전문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집단 면역력을 확보하는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접종 기간이 1년 넘게 걸릴 것으로 예상돼 누구부터 먼저 맞힐지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한국 한겨레신문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화이자사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2천만회분의 구매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이중 얼마큼의 물량이 언제부터 입수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관계 전문가들은 다만 그 시작이 언제든 접종에 필요한 시간이 최소 12~18개월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접종 초기에 누구부터 어떻게 백신을 맞힐 것이냐가 중요한 관건으로 떠올랐다. 미국, 유럽연합 등 여러 선진국들이 초기 백신 보급을 위한 계획을 이미 수립한 상태지만 캐나다에서는 그 밑그림이 나오지 않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백신 보급 계획은 크게 두 가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첫째 초기 확보 물량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누구부터 맞힐 것이냐라는 문제다. 통상적으로 고위험군에 속하는 노약자, 보건·의료 관계자 종사자, 코로나19 방역 관련 현장 근로자 등이 우선순위에 올라 있지만 공급선이 가늘고 길다 보니까 이를 더 세분해야 하는 필요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Immuniation(NACI, 전국 예방접종 권고위원회) 캐롤린 콰아취(Caroline Quach) 위원장은 11일 CBC와의 인터뷰에서 “(한 예로) 의료 종사자를 먼저 맞힐 것이냐 장기 요양시설 노인들을 우선시할 것이냐에 따라 백신 보급 계획이 아주 달라진다”고 말했다.

 

세밀한 보급 계획을 세우는 기준을 놓고도 의견이 갈린다.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때 가장 위험한 부류, 특정 백신에 가장 큰 효력을 얻을 수 있는 연령대, 주류 의료기관의 서비스에서 가장 소외된 원주민 집단 등 여러 기준 가운데 어떤 것에 비중을 더 두느냐가 관건이다.

 

또 이번에 개발된 화이자의 백신이 유통 기간에 최저 영하 70도 이하에서 보관돼야 한다는 특성은 백신 수송에 특별한 어려움을 끼침으로써 백신 보급 및 접종이라는 최종 결과에까지 그 여파가 미칠 전망이다. 즉 일반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통해 접종되는 기존의 독감 백신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설명이다.

 

한 전문가는 일반의 상업용 저장시설이 영하 15도 이하로 내려갈 수 없다는 사정을 고려하면 화이자 백신 보급에 특별한 냉동시설이 요구된다면서 “아마도 정부가 중추 시설을 확보한 후 접종을 위한 특수 인력과 실행 네트워크를 가동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예견했다.

 

저스틴 트뤼도(Justin Trudeau) 연방수상은 이 모든 사안을 고려한 듯 지난주 발표에서 “고도의 수송책을 갖춘 매우 세밀한 백신 보급 계획이 수립돼야 할 것”이라 그 필요성을 밝히면서도 언제까지 이 대책을 세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만큼 민감한 사안이라는 반증이다. 한 전염병 예방 전문의는 CBC 뉴스 방송 ‘The Nationa’에 출연해 “코로나19 백신 보급 계획을 세우는 것이야말로 예방접종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힘든 부분”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7 미국 페더러 잡은 호주 존 밀먼, 조코비치에 완패…후회 없는 한판 승부 톱뉴스 18.09.06.
3556 미국 옐프 검색 ‘애완견’에 ‘개고기’ 뜨고 한식당 연결 코리아위클리.. 18.09.05.
3555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후보, 민주 ‘길럼’ 공화 ‘드샌티스’ 확정 코리아위클리.. 18.09.05.
3554 미국 디즈니월드 노사 최저 시급 15달러 타결 코리아위클리.. 18.09.05.
3553 캐나다 블루칼라 80% 현재 일에 만족 밴쿠버중앙일.. 18.09.05.
3552 캐나다 인천시, 한상대회 준비 차질없다 장담 밴쿠버중앙일.. 18.09.05.
3551 캐나다 외교부 내년 재외국민보호 예산 대폭 증액 편성 밴쿠버중앙일.. 18.09.05.
3550 미국 “나는 예수다” 총기소지 대학생 체포 file 뉴스앤포스트 18.09.05.
3549 미국 NYT, "미국의 행동 없이 북 더 이상 조치 없다" file 코리아위클리.. 18.09.03.
3548 미국 플로리다 탤러해시, ‘가족 부양하기 좋은 도시 ‘ 5위에 file 코리아위클리.. 18.09.01.
3547 미국 <더 위크>, "남북문제는 남북이 해결하게 하자" file 코리아위클리.. 18.09.01.
3546 미국 UN 코피 아난 前총장 추모 file 뉴스로_USA 18.09.01.
3545 캐나다 후배 한인 차세대들의 방향타가 되어줄 C3 캠프코리아의 카운슬러들 밴쿠버중앙일.. 18.09.01.
3544 캐나다 연방항소법원 "송유관 공사 허가 무효" 밴쿠버중앙일.. 18.09.01.
3543 캐나다 캐나다 6월 노동자 평균 주급 1000달러 코앞 밴쿠버중앙일.. 18.09.01.
3542 미국 오렌지카운티 시의회, 때아닌 ‘박쥐집 설치’ 놓고 충돌 코리아위클리.. 18.08.30.
3541 미국 아팝카시, 내년부터 교차로 감시카메라 티켓 중단 코리아위클리.. 18.08.30.
3540 미국 올랜도 지역 주택 차압 신청건수 세달 연속 증가 코리아위클리.. 18.08.30.
3539 미국 40여개 미국 도시, 세계 100대 혁신 도시에 포함 코리아위클리.. 18.08.30.
3538 미국 잭슨빌서 총격 사건 발생, 2명 사망 코리아위클리.. 18.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