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k-3731094_1920-696x395.jpg

연장 된 적색 구역의 코로나19 제재는 여전히 잘 진행되고 있고, 퀘벡인들은 이제 따라야 할 규칙에 대해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야외 공개 집회와 같은 특정 조치를 둘러싸고 여전히 혼란해 하고 있다.

몇 주간 지속된 좋은 날씨와 아름다운 가을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 많은 퀘벡인들은 야외 활동을 즐기고 싶어하지만, 적색 구역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누구와 함께 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지시사항은 명확하며, 경계 태세가 높은 지역에서는 비공개 및 공개 집회가 금지 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이 주민들의 실생활에 적용될 때는 몇가지 의문을 자아낸다.

퀘벡 정부 웹사이트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해 주기 위해 야외 활동에 대한 몇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게시했다.

 

주민들은 집 마당에 한 명 이상의 방문객을 맞이 할 수 있나요?

  • 아니요

이 문제에 대한 퀘벡의 입장은 명확하다. 적색 구역 거주자는 “집 밖이든 안이든” 개인 거주지, 별장 또는 숙소의 다른 주소에서 방문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혼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만 예외가 적용되며, 그들에게는 한 번에 한 명의 방문객만 허용된다.

 

같은 주소에 살지 않는 사람과 산책을 할 수 있나요?

  • 네, 하지만 몇 가지 지침을 따라야 한다.

퀘벡 정부는 이러한 경우, 가능하면 2미터의 물리적 거리를 지켜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주민들이 각자 2미터씩 떨어져 있다면 공원에서 친구들을 만날 수 있나요?

  • 네, 가능합니다.

여기서, 퀘벡 정부는 적색 구역에서 야외 활동이 허용된다는 것을 재차 강조하고 있으며, 2미터의 거리를 둔다면, 주민들은 친구 및 이웃 주민들을 만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조직적인 그룹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친구 및 지인들과 생일파티 혹은 소풍을 계획한다면, 이는 허용되지 않는다.

 

다른 레드존에서 하이킹해도 되나요?

  • 가능하지만, 추천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몬트리올에 살고 있는 주민이 Montérégie 혹은 Mont Saint-Hilaire에 하이킹을 가고 싶다고 가정해 보면, 두 지역 다 적색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하겠지만, 퀘벡 정부는 경계수준이 같더라도 “적색지역에 거주할 경우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공중 보건국과 퀘벡주는 적색 구역에 있는 모든 주민들에게 좋은 판단력을 발휘하고 사회적 접촉을 최대한 제한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walk-3731094_1920-696x395.jpg (File Size:91.4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17 캐나다 제17차 세계한상대회 사전등록 D-30, 9월2일 마감! 밴쿠버중앙일.. 18.08.03.
6016 캐나다 병무청 모든 병적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 밴쿠버중앙일.. 18.08.03.
6015 캐나다 [교통경찰 JJ KIM이 알려주는 BC주 교통 법규-2] 교통신호 이것만은 알아둬야 한다 밴쿠버중앙일.. 18.08.03.
6014 미국 “조국으로 귀환한 미국의 전몰장병들” 뉴스로_USA 18.08.05.
6013 캐나다 세계한인법률가회, 한국외교부와 업무협력약정 체결 밴쿠버중앙일.. 18.08.08.
6012 캐나다 한인회관 관리할 재단 새로 꾸린다 밴쿠버중앙일.. 18.08.08.
6011 미국 美폭스TV “북한과 평화조약 체결” 제안 뉴스로_USA 18.08.08.
6010 미국 땅콩 알레르기 있는 소녀, 쿠키 먹고 사망 코리아위클리.. 18.08.08.
6009 미국 왕따 피해 학생도 바우처 받는다 코리아위클리.. 18.08.08.
6008 미국 미 국가이익센터 고위 임원,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해야" 코리아위클리.. 18.08.08.
6007 캐나다 이상 고온과 산불에 밴쿠버 공기의 질까지 위험경고 밴쿠버중앙일.. 18.08.10.
6006 캐나다 이재정 교육감 "4차산업혁명 시기 교육이 중요하다" 밴쿠버중앙일.. 18.08.10.
6005 캐나다 ICBC 보험료율 대대적인 수술 단행 밴쿠버중앙일.. 18.08.10.
6004 미국 촘스키 교수 등 미 저명인사들, 트럼프에 싱가포르 성명 이행 촉구 file 코리아위클리.. 18.08.10.
6003 미국 "북 여종업원 기획탈북, 총선에 이용하고 폐기했다" 코리아위클리.. 18.08.11.
6002 미국 감시 카메라는 경고용? 돈벌기?...끊이지 않는 논란 코리아위클리.. 18.08.16.
6001 미국 신규 허리케인 예보, 5월보다 횟수 적어졌다 코리아위클리.. 18.08.16.
6000 미국 맥도널드 빅맥 출시 50주년… ‘빅 버거’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코리아위클리.. 18.08.16.
5999 미국 애플 주가 총액 1조 달러 갱신 프랑스존 18.08.17.
5998 미국 중국인들, 명품 피아노 스타인웨이Steinway에도 눈독 프랑스존 18.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