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일시적 개선, 환경 보호 정책 개선 필요’

 

11.png

 

올 한해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고 경제가 둔화했지만, 역설적으로 해양 수질과 대기질이 개선되어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코비드19 확산 이후 국경 간 페리 서비스가 중단되어 해상 교통량이 감소한 덕분에 취약종으로 등록된 핑크 돌고래가 홍콩 해역에서 더 자주 포착되고 있다. 수중 녹음기를 이용해 돌고래가 해역에 머무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결과, 24시간 중 2.6~4.3시간 감지되었으며 지난해 1.2시간 미만보다 길어졌다. 이는 해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거나 개체 수가 늘어났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도태평양혹등돌고래, 중국흰돌고래로도 알려진 핑크 돌고래는 주강 삼각주에 서식하는 돌고래로, WWF홍콩 통계에 따르면, 주강 삼각주에 서식하는 핑크 돌고래 개체 수가 2013년 2,500마리에서 지난해 약 2,000마리로 감소했다. 홍콩 란타우섬 인근 해역에서 발견된 돌고래 개체 수는 2004년 188마리에서 2018년 32마리로 감소했다. 작년 개체 수가 52마리로 소폭 증가했는데,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 개통과 홍콩 시위 여파로 국경 간 페리 교통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콩대 해상과학 스와이어 연구소의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박사는 해상 교통 감소뿐 아니라 관광객 감소로 폐수가 줄어들면서 해양 수질이 개선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국경 폐쇄 조치가 해제되면 빠르게 원상복귀될 수 있다. 국경 간 해상 교통량 및 페리 속도 제한, 폐수 관리 시스템 개선 등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콩 방문객 수가 1~9월 기간 전년 동기 대비 약 92% 감소한 360만 명으로 나타났다.

 

WWF홍콩은 해상 교통으로 인한 소음과 해양 동물 부상이 줄어들었고 팬데믹 기간 해양 환경 및 수질이 개선되면서 이러한 효과가 나타났다며 코비드19 팬데믹이 환경 및 동물 보호에 대하여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코비드19로 대기 오염도 개선되었다. 클린 에어 네트워크(Clean Air Network) 10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홍콩 도로변 대기 오염도가 5년래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기간 도로 교통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일 평균 대중교통 승객 수가 약 890만 명으로, 지난해 1,240만 명보다 약 30% 감소했다.

 

클린 에어 네트워크는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인 개선이며, 정부는 오염물질 배출 감소, 저탄소 배출 지역 설정 등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팬데믹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가져온 건 아니다. 마스크와 위생용품 사용이 늘고 온라인 쇼핑과 음식 테이크아웃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일회용 용기 등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급증했다. 환경 NGO단체 더 그린 어스(The Green Earth)는 “팬데믹 기간 공중 보건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지만, 공중 보건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환경이 파괴되면 공중 보건이 개선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1.png (File Size:512.3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6 홍콩 6월 수출 규모 전년대비 9%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5 홍콩 무역전쟁 장기화로 세계 경제 전망 불확실성 증대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4 홍콩 6월 인플레이션 3.3% 기록…2016년 이래 가장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3 홍콩 홍콩 소매 판매 연속 4개월 부진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2 홍콩 압수된 HPV 백신 가짜 판명…다행히 신체 무해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1 홍콩 츈완·콰이싱지역, 특수학교 부족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0 홍콩 불법체류 도운 가사도우미 에이전시, 2년형 선고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89 홍콩 홍콩 최대 합창 공연 성공리 끝나 ‘경쟁 없는 화합’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88 홍콩 중고아파트 가격 5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7 홍콩 홍콩 연간 경제성장률 전년대비 0.6%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6 홍콩 소매 판매에 이어 소매 임대업 타격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5 홍콩 ‘범죄인 인도개정 반대’ 시위, 지난 6월 이후,500명 검거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4 홍콩 입법회 건물 복구 비용 최소 HK$ 4천만 추정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3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1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0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79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78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