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çois Legault Twitter

 

퀘벡 주정부는 지난 며칠간 코로나 19 확진자, 입원 환자, 사망자가 계속 늘어남에 따라 이전에 주에서 내린 휴일 모임에 관한 지침을 번복했다.

 

프랑수아 르고(François Legault) 주총리는 지난 3일 크리스티안 두베(Christian Dubé) 퀘벡주 보건장관과 호라시오 아루다(Horacio Arruda) 퀘벡주 공중 보건 책임자와 함께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지침을 밝혔다.

 

르고 주총리는 현재 퀘벡주의 코로나 상황을 보면 크리스마스까지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바이러스의 확산을 제어 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인정했다.

 

하지만 홀로 사는 노인 및 1인 가구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며 여전히 한 명의 방문객을 받을 수 있다.

지난 일주일 동안 퀘벡주는 코로나 19 확진자 수 계속 증가하면서 당일 최고 확진자 수를 계속 경신했다.  지난 2일 보고된 기록은 1,514건이었다.

 

르고 주총리는 지난 9월부터 시작된 2차 웨이브 기간에 퀘벡주에서는 하루 평균 1,000건에 이르는 사례가 보고되었지만, 불행히도 11월에는 2차 웨이브 안에서도 한 번 더 증가한 수치가 기록되고 있다.

 

퀘벡주는 당초 12월 24일부터 27일까지 최대 10명을 대상으로 한 크리스마스 모임을 실시하려고 했고, 이후 그 기간 내에 최대 2차례의 모임이 허용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3일 기자회견에서 르고 주총리는 위기관리에 만점을 줄 수 없다고 언급하며 휴일 이후에 기업, 상점과 학교들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크리스마스 모임 지침을 수정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주정부는 보건부의 권장 사항에 따라 결정을 내리지만 이러한 수정 사항은 르고 정부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다. 퀘벡주 보건부가 12월 11일까지 휴일 모임에 관한 결정을 내릴 것을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르고 주총리는 그때까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책임이 없다며 이러한 지침의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그는 지난 9개월 동안 최악의 순간에 와 있으며, 현재 퀘벡주는 코로나 19 관련 최악의 상황에 있다고 언급했다.

 

3일의 발표는 휴일을 앞둔 학교들을 위해 마련된 계획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며, 방학 전 마지막 주 동안은 여전히 원격으로 수업이 진행될 것이다.

 

르고는 적색구역 밖에 사는 주민들의 모임은 허용하지만, 노란색 구역에서는 최대 10명, 주황색 구역에서는 최대 6명 이상이 모이면 안 된다고 말하며 모임은 작은 규모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팬데믹이 퀘벡인들에게 힘든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알지만 이는 “마라톤의 마지막이 가장 힘든 부분”이라며 이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달 동안 경계를 늦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아루다 보건 책임자는 “나흘 동안의 모임은 조건부였다”고 밝혔고, 르고 주총리는 불행히도 상황이 악화했다고 덧붙였다.

 

몬트리올 전염병 전문가인 매튜 오우그톤(Matthew Oughton) 박사는 주정부의 결정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이번 조치가 더 큰 계획의 일부에 불과하기를 바란다.

 

그는 만약 르고 주총리가 이러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면, 내년 1월에 병원들은 많은 환자로 붐빌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주총리 쪽에서 잘한 결정이었고 퀘벡주 전역에서 매일 발생하는 수많은 사례를 볼 때, 크리스마스 계획이 많은 사람과 의료 시스템을 더 많은 질병에 걸릴 심각한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밝혔다.

 

수천 명의 퀘벡인처럼 크리스마스는 오우그톤 박사도 일 년 중 가장 좋아하는 시간이지만 올해 사람들이 서로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물은 건강이라는 선물일 것이라며 르고 주총리의 결정을 환영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hanca.jpg (File Size:22.8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37 캐나다 재외동포 건보료 먹튀 막기 위해 조건 강화 밴쿠버중앙일.. 18.06.08.
6136 미국 美피자배달원, 군부대 배달갔다 체포 file 뉴스로_USA 18.06.08.
6135 미국 야구공 우박의 습격…“신이 바위를 던지는 것 같았다” KoreaTimesTexas 18.06.09.
6134 미국 시니어 할인, 쓰면서 돈 버는 재미 KoreaTimesTexas 18.06.09.
6133 미국 20만불로 집사면? “클리블랜드는 저택, 맨하탄은 쪽방” KoreaTimesTexas 18.06.09.
6132 미국 ‘북미평화회담 성공’ 155개 해외동포, 외국인단체 성명 file 뉴스로_USA 18.06.10.
6131 캐나다 5월 BC주 노동인구 감소 덕분에 실업률 하락 밴쿠버중앙일.. 18.06.12.
6130 캐나다 한국팀도 출전하는 밴쿠버 불꽃축제 이벤트 확정 밴쿠버중앙일.. 18.06.12.
6129 캐나다 22년만에 밴쿠버 욕조 경주 대회 재개 밴쿠버중앙일.. 18.06.12.
6128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 “미국 철강관세, 캐나다에 대한 모욕” CN드림 18.06.13.
6127 캐나다 트럼프에 맞서 간만에 한목소리낸 캐나다 정계 밴쿠버중앙일.. 18.06.14.
6126 캐나다 연방 EE 3750명에게 초청장 발송 밴쿠버중앙일.. 18.06.14.
6125 캐나다 트럼프, 연일 트뤼도 공격 밴쿠버중앙일.. 18.06.14.
6124 미국 "강한 군대 가진 한국에 왜 미군이 주둔해야 하나" 코리아위클리.. 18.06.14.
6123 미국 ‘70년 주둔 주한미군 철수 찬반론’ 뉴스로_USA 18.06.14.
6122 미국 연일 내리는 비에 '독사굴'도 물난리 코리아위클리.. 18.06.15.
6121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수퍼 스칼라 프로그램 운영 코리아위클리.. 18.06.15.
6120 미국 플로리다 장기 기증 서약자 1천만명 넘어 코리아위클리.. 18.06.15.
6119 미국 2026월드컵 북중미3개국 연합개최 file 뉴스로_USA 18.06.15.
6118 미국 한국 자살률, 선진국 중 가장 높아… 미국의 두 배 코리아위클리.. 18.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