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일일 평균 1,680명→12월 3,900명

 

7.png

(사진=scmp)

 

홍콩 내 코비드19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홍콩을 떠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 특히 11월 말부터 4차 확산이 시작되고 일일 확진자 수가 세자릿수를 기록하면서 바이러스 감염 두려움, 가족 방문 등 다양한 이유로 중국 본토로 떠나는 주민들이 많다.

 

이민국 통계에 따르면, 12월 1일~8일 기간 중국 및 다른 국가 및 지역으로 떠난 홍콩 주민 수가 총 31,000명 이상으로 집계되었고, 이는 일일 평균 약 3,900명이 홍콩을 떠난 셈이다. 50,500명이 출국했던 11월의 일일 평균 1,680명과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달 초, 출국자 중 선전베이를 통해 중국 본토로 향한 홍콩 주민은 일일 평균 2,400명이었으며 강주아오 해상대교를 통해 떠난 사람이 약 280명이었다. 나머지는 홍콩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한 사람들이다.

홍콩 출입국 국경 세관은 지난 2월부터 3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폐쇄되었다. 홍콩 입출경을 원하는 사람들은 오직 홍콩국제공항, 선전베이, 강주아오대교를 통해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홍콩은 지난 11월 23일부터 광둥성 및 마카오에서 입국하는 홍콩 주민 일일 총 5천 명까지 의무 격리 없이 입국이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중국 본토는 홍콩에서 오는 사람들에 대한 격리 조치를 완화하지 않았으며 중국에 입국하는 사람들은 지정된 호텔에서 자가 부담으로 2주간 격리해야 한다.

 

2주 의무 호텔 격리와 격리 비용 자가 부담에도 불구하고 홍콩 내 코비드19 4차 확산이 시작되면서 중국으로 향하는 홍콩 주민들이 늘고 있다. 이들은 좁은 홍콩 집을 벗어나고 싶어하거나 중국 본토에 있는 가족과 친지들을 방문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식당을 운영하는 조(Joe)씨는 코비드19로 식당 문을 닫게 되었다. 학교들도 휴교되면서 자녀들이 집에 꼼짝없이 머물게 되었다. 4차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홍콩도 코비드19에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에 조씨는 이참에 온 가족을 데리고 중국을 가기로 결심했다.

 

코비드19 사태 이전에는 매주 중국 후이저우를 방문해 여자친구를 만나러 갔던 홍콩인 딕키(Dicky)씨는 코비드19 확산 이후 예전처럼 여자친구를 만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9월, 오랫동안 보지 못한 여자친구를 만나기 위해 선전베이 세관을 통해 후이저우로 향했다. 오전 10시에 선전베이 세관에 도착한 딕키씨는 모든 절차를 마치고 격리 호텔에 도착하니 오후 6시가 되었다. 2주간 호텔에서 격리하는데 4천 홍콩달러를 지불했다. 불편함과 비용 부담이 있지만, 여자친구를 만나기 위해서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선택이라고 밝혔다.

 

1년 내내 연일 코비드19 감염 두려움에 떨고 답답한 홍콩 생활로 인한 스트레스에 숨통을 트고 싶은 사람들도 많다. 특히 연말을 맞이해 긴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도 많다. 중국 주하이에 집이 있는 닉(Nick)과 엠마(Emma) 부부는 코비드19 확산으로 좁은 홍콩 집에서 장성한 아들 둘과 1년 내내 함께 머물며 갑갑한 생활을 이어갔다. 이들은 코비드19로 인한 두려움과 스트레스로부터 숨통을 트기 위해 올 연말 주하이를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749.7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6 홍콩 6월 수출 규모 전년대비 9%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5 홍콩 무역전쟁 장기화로 세계 경제 전망 불확실성 증대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4 홍콩 6월 인플레이션 3.3% 기록…2016년 이래 가장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3 홍콩 홍콩 소매 판매 연속 4개월 부진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2 홍콩 압수된 HPV 백신 가짜 판명…다행히 신체 무해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1 홍콩 츈완·콰이싱지역, 특수학교 부족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0 홍콩 불법체류 도운 가사도우미 에이전시, 2년형 선고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89 홍콩 홍콩 최대 합창 공연 성공리 끝나 ‘경쟁 없는 화합’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88 홍콩 중고아파트 가격 5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7 홍콩 홍콩 연간 경제성장률 전년대비 0.6%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6 홍콩 소매 판매에 이어 소매 임대업 타격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5 홍콩 ‘범죄인 인도개정 반대’ 시위, 지난 6월 이후,500명 검거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4 홍콩 입법회 건물 복구 비용 최소 HK$ 4천만 추정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3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1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80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79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1078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