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영향, ‘코비드19’ 관련 키워드 국내외 순위 휩쓸어

 

10.png

 

지난 9일(수) 구글이 2020년 검색어 순위를 발표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코비드19 관련 키워드가 다수 차지했다. 홍콩에서는 지난 12개월 동안 ‘코비드19’, ‘미국 대선’, ‘스탠리 호’ 등이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미국 대선 관련 키워드도 다수 상위 검색어를 차지해 미국 대선에 대한 홍콩인들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년 순위와 달리 올해 홍콩 검색어 순위에서는 정치 관련 키워드가 상위에 많이 노출되지 않았다. 코비드19 팬데믹으로 그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모든 카테고리에서 상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코비드19’가 국내 키워드(4위), 국내 뉴스(1위), 글로벌 뉴스(2위)에 높은 순위를 차지했으며 그와 관련된 ‘마스크’, ‘공공 모임 제한’, ‘확진 사례’ 등이 국내 뉴스 2~4위를 모두 차지했다. 한편 정치 관련 키워드는 국내 뉴스 카테고리에서 ‘BNO 여권’과 ‘국가보안법’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코비드19에 대한 정부의 방침 또한 주목받았다. ‘대규모 무료 코비드19 검사(UCTP)’, ‘고용 지원 제도(ESS)’가 국내 뉴스 카테고리에서 각각 7위와 10위를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온라인 쇼핑 플랫폼 ‘HKTV몰(HKTV Mall)’과 화상회의 소프트웨어 ‘줌(Zoom)’도 국내 검색어 카테고리에서 각각 2위와 6위를 차지했다.

 

올해 가장 많이 검색된 국내 인물은 98세 나이로 사망한 ‘카지노 황제’ 스탠리 호였으며, 정치평론가 스티븐 시우(Stephen Shiu), 캐리 람 행정장관, 미생물학자이자 정부 고문인 유엔 궉융(Yuen Kwok-yung)이 뒤를 이었다. 지난 2월, 코비드19 확산에 국경 폐쇄 요구 파업 시위를 이끈 병원직원연합의 위니 유(Winnie Yu)가 5위를 차지했다. 대만으로 도피하려다 중국 해안 경비대에 체포된 홍콩인 12명 중 한 명인 앤디 리(Andy Li)가 6위를 차지했다.

 

미국 대선에도 큰 관심이 쏠렸다. ‘미국 대선’이 국내 검색어와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해외 인물 카테고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1위)’와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4위)’이 모두 최다 검색어 리스트에 올랐다. 미국 대선 결과가 홍콩 정치적 향방에 미칠 영향에 대한 홍콩인들의 관심이 높음을 시사한다.

 

이 밖에도 ‘파크앤샵 추첨(ParknShop lucky draw)’, ‘홈 오너십 제도(Home Ownership Scheme 2020)’ 등 또한 최다 검색어로 떠올랐다.

 

글로벌 순위에서도 ‘코비드19’가 글로벌 검색어와 글로벌 뉴스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 대선’이 2위를 차지했다.

 

구글은 매년 한 해 동안 사용자들에게 가장 주목받은 검색어 순위 자료를 발표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관심사 및 중요 이슈와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전년도보다 검색량이 급증한 검색어를 집계하여 순위로 집계되며 국가별 순위는 IP 기준으로 집계되며, 모바일과 PC 검색량이 합산돼 집계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536.2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6 홍콩 DSE 입시 시험 7개 과목 올백 받은 학생 12명, 사상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5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이후 新투표자 35만 명 이상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4 홍콩 사이언스 파크, 혁신 기술 허브로 발돋움 위해 상위 연구기관 유치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3 홍콩 MPF 작년 평균 –8.21% 손해, 과연 대중들의 노년 생활 보장 제도인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2 홍콩 홍콩인들의 중국 군부대·정부기관 지원 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1 홍콩 제철 과일 예년보다 가격 저렴해…美 체리 작년 대비 20%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0 홍콩 브루스 리 저택 철거 소식에 수많은 팬들 실망감 표해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09 중국 중일전쟁, 히로시마와 오쿠노시마 독가스 생산 뉴스로_USA 19.07.19.
1108 홍콩 단기적 아파트 공급, 신계북서부 부동산 개발 수정...300채에서 11,000채 이상으로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7 홍콩 샤틴-센트럴 전체 개통 2021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6 홍콩 홍콩 여성 노동 인구 50.8%로, 기타 선진국에 비해 저조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5 홍콩 스마트 도시 계획 일환 ‘3년 내 스마트 가로등 400개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4 홍콩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 향상 위해 비강 분무형 백신 제공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3 홍콩 대기 오염 심화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 캠페인 진행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2 홍콩 영어 핫라인 서비스 수준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1 홍콩 중국계 체인회사·온라인 서점 출현으로 개인 서점 경영난 가중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0 홍콩 도시재생 에너지 제도 “발전차액지원제도” 대중의 관심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9 홍콩 지난 21일(일), 범죄인인도개정(송환법) 반대시위 참여, 주최측 43만명 집계, 경찰138천명으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8 홍콩 홍콩, 혼돈의 주말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7 홍콩 중국군, 홍콩 시위 진압에 배치 가능성 희박 file 위클리홍콩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