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ng

(사진=The Standard)

 

올해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대학 졸업생 초봉이 2년 연속 하락해, 평균 월급이 1만6,077 홍콩달러로 조사되었다.

 

잡스DB(JobsDB)가 지난 8~10월 기간 총 1,197명의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례 설문조사 결과, 올해 초년생 평균 월급이 지난해 1만6,692 홍콩달러보다 3.7% 줄어든 1만6,077 홍콩달러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월급 또한 홍콩 시위 영향으로 2018년 1만6,892 홍콩달러보다 1.1% 줄어들었다.

 

정부 및 공공기관(17%), 금융 서비스(8%), 은행(1%) 등 업계의 평균 월급이 지난해보다 낮아진 반면 교육(4%), 의료 및 제약(4%), 자산관리컨설팅(8%) 등이 올랐다. 의료 및 제약 산업의 평균 월급이 2만50 홍콩달러로 전체 부문 중 가장 높았다.

 

첫 직장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서 ‘만족한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76%를 차지해, 지난해보다 11% 포인트 줄어들었다. 불만족한다고 생각하는 주요 요인은 ‘월급 및 복리후생(30%)’, ‘경력 개발 및 실무 교육 부족(15%)’, ‘생각했던 것과 다른 업무 환경(11%)’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일자리 전망에 대하여 응답자의 54%가 ‘낙관적이다’고 답변했으며 지난해보다 20% 줄어들었다. 나머지 46%가 ‘업계 내 치열한 취업 경쟁’, ‘개별 역량’, ‘시장 수요’ 등 다양한 이유로 비관적인 전망으로 내놨다.

 

한편 작년부터 홍콩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고용시장이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응답자의 70%가 여전히 홍콩이 근무하고 경력 쌓기 좋은 곳이라고 여겼다. 나머지 30%는 아시아(8%), 미국 또는 캐나다(6%), 영국 (5%) 등 해외 취업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이삭 샤오(Isaac Shao) 잡스DB 홍콩 CEO는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침체가 고용시장 악화의 주요 요인이며, 백신이 광범위하게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 3분기 즈음에나 글로벌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예상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신입 일자리를 줄이고 있으며 양보다는 질을 더 중요하게 여겨 매우 선택적으로 사람을 고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7~11월 기간, 8개 공립대학이 공동 운영하는 취업 포털 사이트 JIJIS(Joint Institution Job Information System)에 게재된 대학 졸업생들을 위한 일자리 수가 약 2만5,200개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만3,400개보다 24% 줄어들었다.

 

올해 1~9월 기간 잡스DB에 게재된 일자리 수도 전년 동기 대비 40%나 줄어들었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8~10월 기간 실업률에 따르면, 20~24세 실업률이 16년래 가장 높은 19.7%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체 실업률 6.4%보다 훨씬 높아 청년 실업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174.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6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5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4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3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2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1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30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29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28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1127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6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5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4 홍콩 초소형 아파트 7개월 간 저조한 판매, 결국 최고 38% 가격 인하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3 홍콩 오션파크, 2020년까지 태양열 에너지 생산량 3배로 늘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2 홍콩 버드와이저 맥주회사, 홍콩에서 세계 최대 IPO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1 홍콩 홍콩-이탈리아 워킹홀리데이 협정 체결…연간 최대 500명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7.09.
1120 홍콩 反범죄인 인도법 시위, 홍콩인과 소수인종 출신자 하나 되어 위클리홍콩 19.07.09.
1119 홍콩 홍콩 중요 은행, 중고 아파트 가치 평가액 최대 3.6%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8 홍콩 ’범죄자인도 송환법 반대‘시위, 사틴(Sha Tin)지역에서 충돌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7 홍콩 외국인 은행종사자, 홍콩 취업문 좁아 재취업 어려워 file 위클리홍콩 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