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ng

(사진=The Standard)

 

올해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대학 졸업생 초봉이 2년 연속 하락해, 평균 월급이 1만6,077 홍콩달러로 조사되었다.

 

잡스DB(JobsDB)가 지난 8~10월 기간 총 1,197명의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례 설문조사 결과, 올해 초년생 평균 월급이 지난해 1만6,692 홍콩달러보다 3.7% 줄어든 1만6,077 홍콩달러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월급 또한 홍콩 시위 영향으로 2018년 1만6,892 홍콩달러보다 1.1% 줄어들었다.

 

정부 및 공공기관(17%), 금융 서비스(8%), 은행(1%) 등 업계의 평균 월급이 지난해보다 낮아진 반면 교육(4%), 의료 및 제약(4%), 자산관리컨설팅(8%) 등이 올랐다. 의료 및 제약 산업의 평균 월급이 2만50 홍콩달러로 전체 부문 중 가장 높았다.

 

첫 직장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서 ‘만족한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76%를 차지해, 지난해보다 11% 포인트 줄어들었다. 불만족한다고 생각하는 주요 요인은 ‘월급 및 복리후생(30%)’, ‘경력 개발 및 실무 교육 부족(15%)’, ‘생각했던 것과 다른 업무 환경(11%)’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일자리 전망에 대하여 응답자의 54%가 ‘낙관적이다’고 답변했으며 지난해보다 20% 줄어들었다. 나머지 46%가 ‘업계 내 치열한 취업 경쟁’, ‘개별 역량’, ‘시장 수요’ 등 다양한 이유로 비관적인 전망으로 내놨다.

 

한편 작년부터 홍콩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고용시장이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응답자의 70%가 여전히 홍콩이 근무하고 경력 쌓기 좋은 곳이라고 여겼다. 나머지 30%는 아시아(8%), 미국 또는 캐나다(6%), 영국 (5%) 등 해외 취업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이삭 샤오(Isaac Shao) 잡스DB 홍콩 CEO는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침체가 고용시장 악화의 주요 요인이며, 백신이 광범위하게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 3분기 즈음에나 글로벌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예상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신입 일자리를 줄이고 있으며 양보다는 질을 더 중요하게 여겨 매우 선택적으로 사람을 고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7~11월 기간, 8개 공립대학이 공동 운영하는 취업 포털 사이트 JIJIS(Joint Institution Job Information System)에 게재된 대학 졸업생들을 위한 일자리 수가 약 2만5,200개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만3,400개보다 24% 줄어들었다.

 

올해 1~9월 기간 잡스DB에 게재된 일자리 수도 전년 동기 대비 40%나 줄어들었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8~10월 기간 실업률에 따르면, 20~24세 실업률이 16년래 가장 높은 19.7%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체 실업률 6.4%보다 훨씬 높아 청년 실업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174.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16 홍콩 DSE 입시 시험 7개 과목 올백 받은 학생 12명, 사상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5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이후 新투표자 35만 명 이상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4 홍콩 사이언스 파크, 혁신 기술 허브로 발돋움 위해 상위 연구기관 유치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3 홍콩 MPF 작년 평균 –8.21% 손해, 과연 대중들의 노년 생활 보장 제도인가?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2 홍콩 홍콩인들의 중국 군부대·정부기관 지원 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1 홍콩 제철 과일 예년보다 가격 저렴해…美 체리 작년 대비 20%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10 홍콩 브루스 리 저택 철거 소식에 수많은 팬들 실망감 표해 file 위클리홍콩 19.07.16.
1109 중국 중일전쟁, 히로시마와 오쿠노시마 독가스 생산 뉴스로_USA 19.07.19.
1108 홍콩 단기적 아파트 공급, 신계북서부 부동산 개발 수정...300채에서 11,000채 이상으로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7 홍콩 샤틴-센트럴 전체 개통 2021년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6 홍콩 홍콩 여성 노동 인구 50.8%로, 기타 선진국에 비해 저조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5 홍콩 스마트 도시 계획 일환 ‘3년 내 스마트 가로등 400개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4 홍콩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 향상 위해 비강 분무형 백신 제공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3 홍콩 대기 오염 심화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 캠페인 진행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2 홍콩 영어 핫라인 서비스 수준 낮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1 홍콩 중국계 체인회사·온라인 서점 출현으로 개인 서점 경영난 가중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100 홍콩 도시재생 에너지 제도 “발전차액지원제도” 대중의 관심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9 홍콩 지난 21일(일), 범죄인인도개정(송환법) 반대시위 참여, 주최측 43만명 집계, 경찰138천명으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7.23.
1098 홍콩 홍콩, 혼돈의 주말 file 위클리홍콩 19.07.30.
1097 홍콩 중국군, 홍콩 시위 진압에 배치 가능성 희박 file 위클리홍콩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