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의 한 장기 요양 시설의 몇몇 거주자들은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사람 중 한 명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 양성반응을 보였다.

퀘벡주 보건 당국은 몬트리올 서부에 있는 Maimonides 장기 요양원에 거주 중인 7명은 첫 번째 백신을 접종 후 28일 이내에 감염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병이 백신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이미 단 한 번의 복용으로는 완전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분명했지만, 퀘벡주의 “오프라벨(off-label)” 백신 캠페인과 그 주변의 모순된 정보에 대해 사람들이 이미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발표는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보건 당국은 28일 동안 주민들이 언제 감염됐는지 아직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화이자 백신의 추가 면역력은 첫 번째 접종 후 약 12일이 지나서야 시작되며 다른 말로 하자면, 만약 거주자들이 주사를 맞은 지 2주 이내에 감염되었다면, 그 기간 추가 면역이 없었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

만약 그들이 3주 또는 4주 내에 접종을 받았다고 해도 화이자가 1차 접종을 자체적으로 유지하면서 52%의 보호만 제공하기 때문에 이 또한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 2차 접종 이후에야 그 수치를 최대 95%까지 끌어 올린다.

이러한 상황은 2차 접종에 대한 즉각적인 필요성을 나타내는 좋은 예이며 Maimonides 시설의 가족 단체는 이미 12월 말에 퀘벡주가 발표한 백신 접종 계획에 대해 퀘벡주를 고소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현재 퀘벡주는 가능한 가장 많은 사람에게 부분적인 보호를 주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2차 접종량을 다른 사람들의 1차 접종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퀘벡주는 언제 2차 접종량을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으며 연방 자문 위원회는 2차 접종을 연기할 것을 권고했지만, 1차 접종이 있고 난 뒤 42일 안에 2차 접종이 시작돼야 된다고 덧붙였다.

화이자의 일정에 따르면, Maimonides 시설에서 1차 접종을 받은 사람들은 이미 2차 접종을 받았어야 했지만, 이미 2차 접종을 받기까지 일주일 이상이나 늦었다고 전했다.

화이자 백신은 1차 접종 이후 21일 후에 제공하기로 되어 있다. Maimonides 시설의 2차 백신 접종은 지난 1월 4일 월요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Maimonides 시설에 자신의 아버지가 거주 중인 조이스 생크스(Joyce Shanks)씨는 이번 사건이 “놀랍지 않은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7건의 새로운 사건이 가족들의 걱정에 절박함을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가족들은 또한 1차 접종이 부분적인 보호만을 제공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으며 화이자 데이터를 인용하며 1차 접종이 52.4%의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로 일부는 화이자가 발표한 것과는 달리 퀘벡주와 주 최고 의료 고문은 달리 1차 접종만으로 약 90%의 보호를 제공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해왔다. 

생크스씨는 새로운 감염이 12월 중순이 최근에 나타났기 때문에 감염된 사람들이 백신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받았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12월 중순 이후로 사람들이 언제든지 백신을 맞을 수 있었기 때문에, 그것은 여전히 많은 것을 확인 시켜 주지는 못한다.

서부 몬트리올 보건당국의 칼 테리오트(Carl Theriault) 대변인은 현재까지 84%의 주민들이 백신 접종을 받았고, 접종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기 위해 공중 보건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츠 슐만(Mitch Shulman) 박사는 양성 사례가 반드시 그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접종을 받은 후,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백신의 유전 물질 조각은 “매우 민감한” 테스트를 통해 선택되어 양성 테스트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백신으로부터 코로나 19에 감염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Maimonides 시설과 마찬가지로 1차 백신 접종을 진행한 퀘벡시티에 있는 St-Antoine 요양소는 1차 접종 이후 12월 내내 수십 명이 감염되는 등 심각한 코로나 19 감염이 발생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57 캐나다 연방경찰, 험볼트 브롱코스 버스 사고 원인 규명 CN드림 18.05.01.
6256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바라보는 加언론 시각 밴쿠버중앙일.. 18.05.01.
6255 캐나다 토론토 경찰 한인 3명 포함 사망자 명단 발표 밴쿠버중앙일.. 18.05.01.
6254 캐나다 가스비 사상최고치 경신 밴쿠버중앙일.. 18.05.01.
6253 캐나다 밴쿠버 대중교통개선비용 천문학적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5.01.
6252 캐나다 아마존, 밴쿠버에 3000명 새로 채용 밴쿠버중앙일.. 18.05.01.
6251 캐나다 3명 교통사고의 진실 1년 만에 밝혀지나 밴쿠버중앙일.. 18.05.02.
6250 캐나다 노스욕 참사 캐나다 한글학교도 적극 참여 밴쿠버중앙일.. 18.05.03.
6249 캐나다 밴쿠버의 또 다른 랜드마크 추억 속으로 밴쿠버중앙일.. 18.05.03.
6248 캐나다 토론토의 다리에 대롱대롱 매달린 자동차 밴쿠버중앙일.. 18.05.03.
6247 미국 영주권 카드 등 우편물, 서명 확인 배달제 시행 코리아위클리.. 18.05.03.
6246 미국 영주권 카드 등 우편물, 서명 확인 배달제 시행 코리아위클리.. 18.05.03.
6245 미국 귀찮아! 운전 방해꾼 '러브버그'… 잔디에는 이로워 코리아위클리.. 18.05.03.
6244 미국 미국인 결혼 비용은 평균 3만4천달러 코리아위클리.. 18.05.03.
6243 미국 뉴 테크놀로지가 고독한 시니어들을 지킨다 코리아위클리.. 18.05.03.
6242 캐나다 스카이트레인역사서 여성 폭행당한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8.05.04.
6241 캐나다 지갑 속 20달러가 위폐는 아닐까? 밴쿠버중앙일.. 18.05.04.
6240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가 다시 밴쿠버를 찾아온다 밴쿠버중앙일.. 18.05.04.
6239 캐나다 2월 캐나다 찾은 한국인 2만 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5.05.
6238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수용성 세계 4위 밴쿠버중앙일.. 18.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