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1934279980_eCYbEoP9_1c1c603de78cc99

 

 

남아공발 변이 3건 지역내 깜깜이 전파

백신 접종 더디면 변이 바이러스 못잡아

 

 

22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주 BC주에서 확인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사례가 총 9건에 달했다. 그중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 3건은 해외 입국자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지역사회 내 깜깜이 전파에 의한 것으로 판단돼 큰 우려를 사고 있다.

 

BC질병관리본부가 매주 한 차례 발표하는 ‘코비드-19 상황 리포트’에 내용에 따르면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총 6건으로 모두 해외 입국자와 연관성이 드러났다. 하지만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크고 치사율마저 높은 것으로 의심되는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그 감염 경로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정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 자리에서 향후 백신 접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다른 주에 앞서 대대적으로 공개하는 언론 이벤트를 펼치면서도 변이 바이러스 전파 사례에 대해서는 정확한 언급을 피한 데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의 비판을 사고 있다. 정부는 대신 일주일 상황을 종합 정리해 발표하는 보고서에 ‘소리 없이’ 끼워 공개했다.

 

SFU대학 보건정책 관련 연구자 앤드류 롱허스트(Andrew Longhurst)씨는 CBC와의 인터뷰에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와 관련해 해외 입국과의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면 지역 사회 내에서 조용한 전파가 상당히 이뤄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면서 “정부가 왜 이 문제에 대해 시급히 대처하지 않는지, 왜 시민들에게 그 사정을 명확히 밝히지 않는지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주정부가 변이 바이러스 전파에 대해 말을 아끼는 이유는 현재 진행 중일 백신 접종과 관련이 깊다는 분석이다. BC주에 보급되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새로 등장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 효능이 있는지 밝혀지지 않는 상황에서 접종 속도가 바이러스 전파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접종한 사람이 코로나19에 재감염되는 사례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변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파해가면서 원조 바이러스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존에 개발된 백신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는데, 따라서 초기에 백신 접종의 속도를 올려 전파의 고리를 최대한 끊는 것이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최소화하는데 주요하다는 설명이다.

 

롱허스트 연구관도 “정부 백신 접종 계획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면서도 접종 시간표가 변이 바이러스 전파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다”고 우려를 표했다.

 

캐나다 전역을 보자면 최근 실시된 샘플 조사에서 약 5%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드러났으며, 드러난 확진 사례도 십여 건에 달한다. 지난 23일 온타리오주 베리(Barrie)시 한 장기요양원에서 입소자 총 129명 중 127명이 변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자로 밝혀졌고 그중 32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에 따라 다른 주로부터의 인구 유입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민간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일고 있지만, 지난주 존 호건 주수상은 법리 검토 결과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없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또 해외 유입 변이 바이러스의 차단을 위해 해외 입국자의 자가격리 조치가 호주처럼 지정시설 격리 조치로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율성에 의존한 자가격리로는 위험한 변이 바이러스 유입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77 미국 보건당국 “로메인 상추 먹지 마라” KoreaTimesTexas 18.04.25.
6276 캐나다 봄 홍수 시즌 갑자기 불어나는 물에 차 조심 밴쿠버중앙일.. 18.04.26.
6275 캐나다 토론토 중상 한인 명단 공개돼 밴쿠버중앙일.. 18.04.26.
6274 캐나다 "지하 여유 공간에 손님 들여도 되나요?" 밴쿠버중앙일.. 18.04.26.
6273 캐나다 재닛 오스틴 신임 BC주총독 취임 밴쿠버중앙일.. 18.04.26.
6272 캐나다 EE이민 통과점수 441점...연중 최저 밴쿠버중앙일.. 18.04.26.
6271 캐나다 "EB-5 최저투자금50만불로 그린 카드를" 밴쿠버중앙일.. 18.04.27.
6270 캐나다 한국 노동자 평균 임금 캐나다보다 미화 1.5만 달러 많아 밴쿠버중앙일.. 18.04.27.
6269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궁금증 해결사 밴쿠버중앙일.. 18.04.27.
6268 캐나다 BC 마리화나 판매 법제화 시동 밴쿠버중앙일.. 18.04.27.
6267 캐나다 "일부 석유류 반입시 주정부 별도 허가 거쳐야" 밴쿠버중앙일.. 18.04.27.
6266 캐나다 캐나다보훈처 '한국사 왜곡' 결국 정정 밴쿠버중앙일.. 18.04.28.
6265 캐나다 포드 "세단 안 판다" 전격 선언… 캐나다 공장 미래는? 밴쿠버중앙일.. 18.04.28.
6264 캐나다 남북정상회담 밴쿠버 한인도 큰 기대와 희망 품어 밴쿠버중앙일.. 18.04.28.
6263 미국 로메인 상추 섭취 금지해야 코리아위클리.. 18.04.28.
6262 미국 공중화장실 핸드 드라이어 사용은 비위생적 코리아위클리.. 18.04.28.
6261 미국 은퇴자들의 스포츠 ‘피클볼’ 인구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8.04.28.
6260 미국 “플로리다 버추얼 스쿨 교사는 플로리다에 거주해야” 코리아위클리.. 18.04.28.
6259 미국 ‘남북정상 DMZ에서 외교댄스’ NY타임스 file 뉴스로_USA 18.04.28.
6258 캐나다 노틀리 주수상, “파이프라인 지지 보내 달라” 시민들에 요청 CN드림 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