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달러 이하 주택 구입 어려워... 활동 공간 넓은 집 선호
 
sale.jpg
▲ 메트로올랜도 평균 주택 가격이 2019년에 비해 거의 10% 상승한 것으로 나왔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롱우드시 한 주택 앞에 내걸린 매매 완료 절차중 사인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라위클리) 최정희 기자 = 메트로올랜도 평균 주택 가격이 2019년에 비해 거의 10% 상승한 것으로 나왔다.

올랜도지역부동산중개인 협회(ORA)가 2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메트로올랜도 주택 재고치(매물량)는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평균 주택 가격은 거의 10% 올랐다. 특히 30만 달러 이하의 주택 재고는 시장에 머무는 기간이 한 달 반까지 떨어졌다. 주택 시장에서 적정 재고 기간은 6개월이다.

이같은 형세는 셀러측에 유리한 반면 바이어에게는 불리한 상황이란 것을 말해준다. <올랜도센티널>은 21일자에서 한 주민의 사례를 들었다. 이 주민은 올랜도에서 8년간 렌트로 살았으나, 임대비가 계속 치솟으면서 집을 구입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직장이 있는 동네에서 자신이 원하는 가격대의 집을 얻기가 쉽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둘러 본 첫 집이 시장에 나온지 이틀만에 팔리자, 주택시장 현황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융자 사전 승인을 얻어냈다. 그리고 한 집이 시장에 오르자 마자 셀러와 접촉해 구매를 성사시켰다. 앨프슨이 구입한 집 가격은 지난해 올랜도 지역 주택 중위가격(미디안)과 맞먹는 26만9000달러로, 전년 대비 9.2%가 오른 것이다.

공급이 감소하고 수요가 증가하면 자연 가격이 오른다는 간단한 경제 이론이 주택시장에 적용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올랜도부동산중개인협회 애로우스미스 회장은 지난해 3∼4월에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도 주택 판매를 촉진하는 데 한몫 했다고 말했다. 펜데믹은 바이어에게 마당, 홈 오피스, 그리고 실내 운동을 할 수 있는 널찍한 공간을 갖춘 집으로 이사하고 싶어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현재 집값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팬데믹임이 분명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지리 공간 분석 회사인 '오비탈 인사이트(Orbital Insight)는 팬데믹 기간에 이주가 가장 활발한 도시로 올랜도를 5번째로 지목했다.

하지만 새로운 이주자들이 늘고 있는 것도 또다른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플로리다주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 24만 명 이상의 새 주민이 이주해 들어왔다. 지난해 11월에 열린 인구통계 추정 회의(Demographic Estimate Conference)는 앞으로 2025년까지 플로리다에 매일 800명 이상의 거주자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플로리다가 요즘처럼 낮은 주택 재고를 기록한 것은 2005년이다. 그렇다면 10여년 전에 발생했던 주택시장 붕괴가 다시 찾아올 수 있을까. 애로우스미스는 2008-09년 이후 시행된 주택융자 규제가 보다 안정적인 모기지 지원을 하는데 효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 같다며 "버블에 가까워지고 있는 듯 보이며, 현재 시장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애로우스미스는 현재 주택시장이 바이어에 불리하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저수준인 점을 고려한다면 주택 구입에 도전해 볼만한 가치는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소개한 주민의 경우, 지난해 금리가 3% 미만일 당시 집을 구입해 모기지로 나가는 비용이 렌트비보다 거의 400달러가 낮춰지게 됐다.

한편 로런스 윤 미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도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최근 예측했다.
  • |
  1. sale.jpg (File Size:24.1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17 캐나다 BC주민 36%, 단기렌트가 장기렌트비 인상 부추긴다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6 캐나다 치솟는 기름값 과연 BC주 몽니 때문인가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5 캐나다 '먹방, MUKBANG' 세계 공용어, 신 한류로 등장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4 캐나다 퀘벡 아동 64명당 1명꼴로 Autisme 자폐 Hancatimes 18.04.21.
6313 캐나다 차에 탄 아이는 Carpool 대상에서 제외? Hancatimes 18.04.21.
6312 캐나다 Jacques-Cartier다리 보행로 다시 열려 file Hancatimes 18.04.21.
6311 캐나다 CBC/Radio-Canada에 여성사장 취임 Hancatimes 18.04.21.
6310 캐나다 퀘벡 주 신규 웰페어 시스템에 수급자들 반발 커져 Hancatimes 18.04.21.
6309 캐나다 안락사 판결로 같은 날 같은 시 죽음 맞이한 노부부 Hancatimes 18.04.21.
6308 캐나다 퀘벡의 교육대학 지원율 급감 file Hancatimes 18.04.21.
6307 캐나다 퀘벡의 학부모들, 아이들이 더 많은 시간 뛰어 놀기 원해 Hancatimes 18.04.21.
6306 캐나다 McGill, 학생들의 요구에 교수들 동참하고 나서 file Hancatimes 18.04.21.
6305 캐나다 30년동안 코마상태에 빠져 있던 경찰관 끝내 숨져 Hancatimes 18.04.21.
6304 캐나다 아도니스 딸기 관련제품 리콜 Hancatimes 18.04.21.
6303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불법총기 제작업체 적발 Hancatimes 18.04.21.
6302 캐나다 도로표지판에 고라니 사체 내걸려 Hancatimes 18.04.21.
6301 캐나다 학생 성추행 혐의로 체포된 여교사, 추가혐의 드러나 Hancatimes 18.04.21.
6300 캐나다 비둘기떼에 총을 쏜 커플 적발 Hancatimes 18.04.21.
6299 캐나다 당첨복권 빼돌린 한인가족 유죄판결 file Hancatimes 18.04.21.
6298 캐나다 운전자의 대마초흡연 탐지장비 준비 미비 Hancatimes 18.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