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자연감소 경고, ‘인구 정책을 최우선 과제 삼아야’ 촉구

 

10.png

 

지난해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하는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홍콩 인구 감소 적신호가 깜빡였다.

 

SCMP가 정부통계처로부터 입수한 최신 인구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가 각각 43,100명과 49,800명으로 나타나 약 6,700명 자연 감소했다. 이는 1960년대 인구 통계 기록이 시작한 이래 처음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선 것이다.

 

홍콩 인구는 1961년과 1962년에 약 91,600명 자연 증가해 인구가 가장 큰 폭 증가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6,700명과 4,300명 자연 증가했다. 정부는 홍콩 인구가 2026년에 처음 인구 자연 감소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지만, 이보다 더 빨리 도래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이 종식되더라도 단기적으로 홍콩 인구가 다시 자연 증가할 가능성이 낮다고 경고했다.

 

폴 입(Paul Yip) 홍콩대학 사회복지·사회행정학 석좌교수는 “지난해 저출산의 주요 요인은 2019년에 발생한 사회 혼란이다. 사회 혼란이 부부의 출산 욕구를 낮췄다. 팬데믹의 영향을 내년 수치에 반영될 것이다”며 “지난해 처음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났으며 정부가 시민들의 출산을 장려하지 않는다면 출생자와 사망자 수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홍콩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18.5% 감소했다. 이는 홍콩 정부가 원정 출산을 위한 중국 임산부들의 공립병원 이용을 법적으로 금지했던 2013년에 출산아 수가 37.7%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폭 하락이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각각 1.6%, 5%, 7.1% 하락했다.

 

출산율 하락은 혼인 건수 감소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민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가 28,161건으로 이는 2019년 44,522건보다 36.7% 감소했다.

 

상업·경제 연구 ACE 센터(ACE Center for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의 앤디 콴(Andy Kwan) 센터장은 지난해 발생한 인구 자연 감소 현상은 홍콩 전체 인구 감소의 첫 적신호라고 경고했다. 그는 “홍콩 내 정치적 불안으로 만약 홍콩을 떠나는 사람이 이주비자(one-way permit)를 통해 홍콩으로 이민 오는 중국인 수를 넘어선다면 홍콩 전체 인구가 감소할 것이다”고 말했다.

 

폴 입 교수와 앤디 콴 센터장은 정부가 인구 자연감소 문제에 대비가 안 되었다고 지적했다. 오래전부터 고령화 문제가 대두되었지만 인구 정책이 홍콩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적절한 인구 정책을 마련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폴 입 교수는 “정부는 국가보안법에 대한 대중들의 불안을 완화해 해외 이민 물결을 늦춰야 한다. 또한 출산 장려를 위해 가족 친환경적 근무 환경 마련하는 등 장기적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앤디 콴 센터장은 “홍콩 청년들을 위해 웨강아오 대만구 지역에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홍콩 인구 유지에 바람직한 정책이 아니며 오히려 사람들을 홍콩으로 유치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 대변인은 출생률 하락은 혼인 감소, 혼인 연기, 출산 연기 등 다양한 복합적 요인에 따를 수 있으며 출산 장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환경을 조성하고 부부들을 위한 지원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홍콩 인구 공식 통계는 2월 중에 발표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186.2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6 홍콩 홍콩 생활 물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 홍콩 달러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5 홍콩 홍콩 생산가능 인구 감소…2027년 약 17만 명 노동력 부족 전망, 주부와 은퇴자 재취업 방안 모색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4 홍콩 TSA 학업평가시험, 학업 부담 논란 속에서 작년보다 응시율 높아, 작년보다 난이도 하향…학생 부담 줄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3 홍콩 홍콩의 건축양식 발전 역사와 현재… 통라우의 흔적,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사회정치적 영향 속에서 변모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2 홍콩 간호학 학생 37.3% 환자로부터 폭력 경험.. 부족한 간호 인력난 심화 우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1 중국 中 과일 가격 상승에 중국 소비자 울상.. 작년 한파·서리 피해로 공급과 수요 불균형 현상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50 중국 中 인프라 투자 촉진 위해 “특별 지방 정부 채권 발행 지원” 중국 부채 비율 낮아… 충분히 통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6.18.
1149 중국 시진핑 방북, 한반도정세 어떤 영향줄까 뉴스로_USA 19.06.20.
1148 홍콩 공립병원 내원 시위자 정보 유출 의혹… 병원 당국 전면 부인, 시위 환자 목록·병원 현장 체포 등 유출 정황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7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6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5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4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3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2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1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1140 중국 북중, 인도적 지원으로 동맹 강화 뉴스로_USA 19.06.27.
1139 중국 “대북제재 구멍 찾는 중국과 북한” 러일간지 뉴스로_USA 19.06.27.
1138 중국 ‘중국, 북한 안보우려 해결 지원 약속’ 러 신문 뉴스로_USA 19.06.28.
1137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