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f11709a66fa56eca2db7777b96eaf626_1455772059_79_600x450.jpg

[2013년 6월 21공중에서 본보우 리버 홍수로 잠긴 보우니스(Bowness)의 보우 크레센트(Bow Crescent) 지역 / 사진: Calgary Herald ]

 

이번 봄은 2013년 범람한 강들이 캘거리를 파괴했던 이후세 번째 홍수 시즌으로 기록될 것이다.

 

 

그 기억은 사람들을 벌써 예민하게 만들고 있다캘거리-엘보우(Calgary Elbow) 지역 의원인 그렉 클라크(Greg Clark)는 월요일에 모래주머니를 쌓고 있는 중인 어떤 사람으로부터 암시를 받았다.

 

그는 빈틈없이 장래를 대비하는 사람이었는데왜냐하면 주정부가 캘거리에 향후 닥칠 큰 홍수를 막기 위한 중요한 한 가지 일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앨리슨 레드포드(Alison Redford) 전수상이 2013년 재난을 다룬 이후세 명의 새로운 수상들이 차례로 집무실을 차지했다. : 데이브 핸콕(Dave Hancock), 짐 프렌티스(Jim Prentice), 그리고 현재의 레이첼 노틀리(Rachel Notley)

 

그들은 모두 홍수 경감 계획의 진행을 더디게 만들었다혹시나 문제가 생길지 냄새 맡아 보고그리고 다시 진행했는데항상 이전보다 더 느긋한 속도였다.

 

 

이것은 2013년의 괴물 같은 홍수보다는 한참 덜 심각하긴 했지만그 자체만으로도 엄청나게 큰 재난이었던 2005년 홍수의 똑 같은 반복이다.

 

그 당시 보수당 정부는 조치를 약속했었고보고서도 씌어졌다하지만 아무 것도 뒤따르지 않았고비밀리에 부쳐졌다.  

 

 

정부의 한 의원-하이우드(Highwood) 지역구의 죠지 그뢰너벨트(Groeneveld)-은 그러한 시간 끌기에 대해 불평을 했고내각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한 해두 해 지나감에 따라이 이슈는 정부의 레이더 스크린 저 밑바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버렸다.  

 

 

그러던 중에 2013년의 홍수가 닥쳐 왔고그들의 나태함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방수 바지를 꺼내 입어야만 했으며,보수당은 또 다시 조치를 취할 것을 맹세했다.

 

레드포드(Redford) 전수상은 피해자들의 모든 재건 비용을 부담하겠다고 공약했다주요 홍수 경감 프로젝트들은 그러한 일들이 다시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보증했었다.

 

 

하지만달이 바뀌고해가 바뀌면서재난 피해 청구인들은 관료 조직의 늪에 빠져 버렸고그리고 홍수 경감 프로젝트들은 전문 기술과 조사-연구들의 덤불 숲에 뒤엉켜 버렸다.

 

3년 후에도캘거리와 나머지 남부 앨버타 지방은 여전히 망연자실할 것이다.

 

 

작년 5월 집권 이후, NDP는 전임 짐 프렌티스(Jim Prentice) 수상이 승인했던 스프링뱅크 지류 유수지(the Springbank off-stream reservoir)의 건설 결정을 재검토했다.

 

재검토는 NDP가 스프링뱅크 건설이 옳은 결정이었음을 시인한 지난 10 26일까지 거의 6개월 가량이 걸렸다.

 

그 이후 많은 약속들이 있었지만토지를 수용하고 진행하기 위한 어떤 동의도 없었다.

 

 

홍수 관련 보고서에 가장 정통한 앨버타주 의원인앨버타당(Alberta Party)의 리더 클라크(Clark)는 현재로서는 2020년까지 스프링뱅크 건설이 제대로 되리라 보지 않는다고 말한다.

 

 

확실한 최선의 시나리오 하에서스프링뱅크는 2019년 홍수 시즌을 맞아 준비될 수 있을 겁니다하지만그것은 글자 그대로다음 4주 이내로 환경 영향 평가를 시작하기 위해 해당 토지에 대한 접근 허가를 포함해서현재 시점에서 모든 것이 완벽하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클라크는 그 토지에 대한 4 시즌의 환경 평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사실상이번 봄에 평가를 시작하지 못한다면 그 중 하나의 전체 홍수 시즌을 잃어버릴 것이다.

 

 

환경 평가 작업을 하려는 토지에 대한 접근 허가를 빠르게 얻기 위해그는 주정부가 주 수용법 조항(section of the Provincial Expropriation Act)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고 느낀다.

 

63 조는만약 토지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또 수용 절차가 시작되기 전이라도정부는 그 토지에 가서 측량조사토양 테스트 또는 다른 준비 등을 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토지 소유주들은 스프링 뱅크 유수로(the Springbank Diversion)에 대해서 싸우고 있는 중이다그리고 우리는 그들에 대해 일말의 동정심을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만약 토지 협상이 더 늘어진다면, NDP 정부가 빠른 토지 수용을 진행해야 한다고 클라크는 말한다.

 

 

협상이 된 해결책은 언제나 최선이 될 수 있다하지만하나라도 얻을 수 없다면 그들은 발을 질질 끄는 것을 그만 두고 강제 수용을 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맥클린 크릭(McLean Creek)이 아니라 스프링뱅크(Springbank)로 가는 올바른 선택을 했습니다그러나,저는 그들이 그 토지를 얻기 위해서 협상이든또 필요하다면 강제 수용을 통해서든지 적극적으로 앞을 향해 나가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보지 못했습니다.

 

 

만약 이것이 진행되지 않고우리가 또 홍수를 맞게 된다면그것은 그들의 책임이 될 것입니다바로 NDP 정부가 또 다른 비극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빠른 조치를 충분히 취하지 않은 탓이 되기 때문이죠.

 

 

흘러가는 매해는정부가 아마도 그들이 걱정할 필요 없다고 느끼는 또 다른 한 해에 불과하다.-올해 홍수는 일어나지 않았고그래서 위험하지 않다이게 인간의 본성입니다.

 

 

하지만저는 확실히 얘기할 수 있습니다그건 굉장히 큰 위험입니다.

 

 

일부 캘거리인들이 그들의 믿음을 정부가 아닌모래 주머니 안에 채우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57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0기 마지막 정기회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6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캐나다한국학교연합회 학술대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5 캐나다 노인회도 둘? 한인회도 둘? 한인회관 화재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4 캐나다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고통 수준 상승 이어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3 캐나다 화마로 처참하게 무너진 밴쿠버 한인회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2 캐나다 밴쿠버서 집이 있어도 걱정, 집이 없어도 걱정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1 캐나다 밴쿠버 영상산업과 한국의 K-콘텐츠 관심 갖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0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미들파워이자 자유, 평화, 번영의 한편"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9 캐나다 2011년 이후 한인 이민자 주로 BC주 선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8 캐나다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7 캐나다 비영주거주자 한국인 비중 3.1%로 국가순 8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6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거소자면 입국시 자동심사대로 빠르게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5 캐나다 캐나다, 한국의 해외순투자 대상국 중 2위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4 미국 '리틀 트럼프' 디샌티스, '형님 트럼프' 이길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3.06.20.
8943 캐나다 '트뤼도를 국가 수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 59%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2 캐나다 시경찰 문제로 주정부와 써리시 갈등 표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1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는 우중이지만, BC산불은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0 미국 올랜도 지역 지난해 인구 6만5천명 늘어... 대도시 중 5번째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9 미국 '1천만 달러' 주택들 사이의 모빌홈 단지, 가격은?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8 미국 플로리다 2개 대학, 미국대학협회 가입 초청받아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