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영향으로 티켓 수입 줄자 지원금도 줄어

 

 

ticket.jpg
▲ 플로리다주 교통위반 티켓 감소로 비영리 단체들의 예산이 고갈 상태에 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롱우드시 17-92 선상에서 경찰의 정지명령을 받은 차량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운전자들은 교통위반 티켓을 받지 않으려 애를 쓰지만, 티켓이 줄어 울상을 짓는 이들이 있다.

플로리다주에서 교통 티켓에 따른 벌금은 야생자연보호, 범죄 희생자 연금 등에 사용될 뿐 아니라 뇌 및 척추 손상 환자 치료비의 주요 재원이다.

팬데믹 기간 어느 시점에서 플로리다 지역 교통위반 티켓은 70%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학교 및 사업체 등의 폐쇄로 거리의 차량이 줄어든 것이 큰 이유이다.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의 경우 2019년 교통위반 딱지는 총 69만3624개였다. 그러나 지난해 11개월 동안 36만1718개로 대폭 떨어졌다.

간질환자 지원을 위한 비영리 단체인 '에필렙시 플로리다(Epilepsy Florida)'는 자동차 좌석 안전벨트 위반 1건당 5달러를 예금하는 주정부 신탁기금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신경 장애 환자들을 돕는다. 이 단체는 팬데믹 이전에도 안전벨트 위반 적발이 많지 않아 어려움을 겪어왔다.

올해 주정부 예산은 팬데믹 영향에 따라 여러모로 맞춰나가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이런 때에 불확실한 예산에 기대야 하는 에필렙시 플로리다와 같은 단체는 더욱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이 단체 수장인 카렌 바샤 이고지는 최근 <마이애미 헤럴드>지에 "잇몸으로 떼우기 식으로 어렵사리 직원을 유지해 왔다"라고 전하며, 티켓 벌금 뿐 아니라 기부금도 줄어 극한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교통위반 벌금 감소는 '음주운전 반대 엄마들(MADD)'이라는 인권단체 예산도 위태롭게 만든다. 이 단체는 음주운전 희생자들의 경험을 듣는 모임에 참가하기 위해 음주운전자들이 등록비로 지불하는 50달러 중 상당부분을 예산으로 가져간다. 그러나 팬데믹 기간에 이 모임은 화상으로 바뀐데다 등록자도 적어졌고, 기금 모금행사도 불가능해 예산 확충이 어려워졌다.

마이애미지역 비영리단체인 '크라임 스톱퍼(Crime Stopper)'는 이미 카운티 정부로부터 나오는 예산이 깎여 파트타임 행정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크라임 스톱퍼는 경찰의 범죄 수사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 이들에게 현상금을 제공하는 비영리단체다.

팬데믹 법원 폐쇄로 벌금 거두기 어려워

교통위반 티켓 감소 외에 법원 폐쇄에 따른 벌금 수거에 차질이 생긴 것도 예산 감소의 요인이다.

팬데믹으로 법원이 폐쇄되면서 티켓 처리를 비롯한 많은 사건들이 밀리고 민형사상 사법 처리가 지연되면서 정부 재원이 크게 줄었다.

주 전역에 걸쳐 법원은 2020년 9월 30일에 끝난 회계연도에서 벌금과 수수료로 3억7740만 달러를 징수했는데, 이는 전년도의 4억3200만 달러에서 17% 가량 감소한 것이다. 11월 대선에서 투표권을 회복하려는 전과자들에 부과된 수수료와 벌금 수백만 달러를 거둬들이지 않았다면 수익 손실은 훨씬 더 클 수 있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된 올해도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주정부 예산담당 관리들은 올해 회계연도의 수수료와 벌금액을 4억1000만 달러에서 4억2190만 달러 사이로 예측했다. 이는 2014년의 4억7200만 달러 보다 적고, 2009년의 5억3900만 달러와는 큰 차이가 나는 액수이다.

한편 주 의회 관련부서 의원들은 교통위반 벌금 감소로 주정부 예산에 4~5천만 달러의 구멍이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1월 말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7월부터 시작하는 새 회계연도 예산안을 공개하고, 주 의회는 3월 개원하는 의회에서 토의를 거친 다음 다시 주지사 서명으로 주 1년 예산이 확정된다.

비영리단체인 플로리다 벌금 정의 센터(the Florida director for the Fines and Fees Justice Cente) 디렉터 애슐리 토마스는 의회 차원에서 비영리 단체 예산과 관련한 개혁을 시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요한 프로젝트라면 교통위반 벌금과 같은 불확실한 예산에 의존하는 식으로 내버려 두지 말고 적정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 |
  1. ticket.jpg (File Size:57.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17 미국 뉴욕 보행중 문자메시지 처벌될까 뉴스로_USA 18.03.20.
6416 미국 뉴욕에 또 겨울폭풍 오나 file 뉴스로_USA 18.03.20.
6415 캐나다 밴쿠버 휘발유 1.6달러 진입? 밴쿠버중앙일.. 18.03.21.
6414 캐나다 평창패럴림픽, 캐나다 역대 최고 성적 밴쿠버중앙일.. 18.03.21.
6413 캐나다 "진로 고민할 때 C3 선배 조언 들으세요" 밴쿠버중앙일.. 18.03.21.
6412 캐나다 한-터키 영사관 공동 '아일라' 영화 상영 밴쿠버중앙일.. 18.03.21.
6411 캐나다 "캐나다 이주 시 한국 연금 해지 말아야" 밴쿠버중앙일.. 18.03.21.
6410 캐나다 "크레이그리스트보다 무서운 놈이 나타났다" 밴쿠버중앙일.. 18.03.21.
6409 미국 취업 영주권 심사·노동허가 ‘2배 이상 지연’ KoreaTimesTexas 18.03.21.
6408 미국 텍사스 ‘소포 폭탄 공포’…6번째 폭탄 발견 KoreaTimesTexas 18.03.21.
6407 미국 매케인, ‘푸틴축하’ 트럼프 비난 뉴스로_USA 18.03.22.
6406 미국 뉴욕한인타운 고교 무장경관 배치요구 file 뉴스로_USA 18.03.22.
6405 미국 미국서 또 학교총격 file 뉴스로_USA 18.03.22.
6404 미국 美북동부 봄꽃대신 눈폭탄 file 뉴스로_USA 18.03.23.
6403 미국 美남가주 ‘몬스터폭우’ 내습 뉴스로_USA 18.03.23.
6402 미국 마이애미 육교 붕괴로 6명 사망 코리아위클리.. 18.03.23.
6401 미국 메인주 한 식당서 선불 요구했다 도리어 사과 코리아위클리.. 18.03.23.
6400 미국 탬파 라우리 파크, 생태 관광 위한 보트 라이드 신설 코리아위클리.. 18.03.23.
6399 미국 플로리다 멕시코만 바닥에서 7천년 된 유골 발견 코리아위클리.. 18.03.23.
6398 미국 “소포 폭탄 공격 24세 남성 용의자 자폭 사망” 뉴스코리아 18.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