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청 ‘향후 3~6개월, 국경 간 여행 재개 불가능’ 예상

 

5.png

 

데인 청(Dane Cheng) 홍콩 관광청 청장은 홍콩에서 대규모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향후 최소 3~6개월까지 국경 간 여행이 여전히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타격받은 관광 산업을 회복하기 위해 올해 11억3천만 홍콩달러 상당의 예산이 배정됐으며, 여기에는 단기적 전략으로 무료 현지 여행 투어, 호텔 스테이케이션 할인권 등이 포함되어있다.

 

관광청은 단기, 중장기적 전략을 통해 타격받은 관광업을 회복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2021/22년도 예산에 정부는 홍콩관광청에 11억3800만 홍콩달러를 배정했으며, 이 중 35%는 단기적 전략인 무료 투어, 호텔 할인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중장기적으로 웨강아오 대만구 관광 시장 개발에 투자된다. 중국 정부의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 이니셔티브에서 홍콩은 대만구 내 국제행사 조직 및 주요 경유지 역할을 할 예정이다. 팬데믹 이전 홍콩의 전체 관광객 중 중국 본토인이 78%를 차지했으며 그 중 웨강아오 대만구 지역에서 온 관광객이 60%를 차지했을 정도로 대만구 지역 관광객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데인 청 청장은 “많은 대만구 지역 방문객들이 홍콩에 휴가나 쇼핑 목적으로만 오지 않고 의료 또는 보험 서비스 때문에 홍콩을 찾는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관광청은 2019년 반정부 시위와 지난해 정치적 혼란으로 손상된 홍콩의 국제 도시라는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홍콩 관광에 대한 리포지셔닝(Repositioning)과 리브랜딩(Rebranding)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기적 관광 산업 회복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 말에 실시했던 ‘홀리데이 앳 홈(holiday-at-home)’ 캠페인을 또 한번 선보일 예정이다. 홍콩 관광청은 지정된 소매 상점과 식당에서 800 홍콩달러 이상을 소비한 주민들에게 현지 여행사를 통해 무료 현지 투어 또는 “호텔 스테이케이션 50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정부는 처음 ‘홀리데이 앳 홈’ 캠페인을 실시했으며, 800 홍콩달러 이상 소비한 주민에게 무료 현지 투어를 제공했다. 캠페인을 시작한 지 일주일 만에 무료 현지 투어 1만 건 신청이 모두 마감되었다. 올해는 신청 건수를 2만 건까지 지난해보다 두 배 수준으로 늘리고, 여기에 작년에는 없었던 호텔 스테이케이션 500 홍콩달러 할인도 2만 명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적격 주민은 무료 투어 또는 스테이케이션 할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여행사 200곳과 호텔 140곳이 캠페인 참여 신청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인 청 정장은 “빠르면 수 주 내로 또는 전염병 확산이 안정화되면 실시할 예정이다”고 밝혀 구체적인 캠페인 시행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

 

프레디 입(Freddy Yip Hing-ning) 여행사대표협회 협회장은 “총 1,700개의 여행사 중 단 200개 여행사만 신청했다는 것은 많은 여행사들이 캠페인에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업계 종사자들은 캠페인을 통해 수익을 거의 낼 수 없기 때문이다”며 비관적 입장을 내비쳤다.

 

홍콩은 지난해 2월부터 엄격한 코비드19 방지 조치를 실시했으며 현재 오직 3개 국경 세관만 개방되었고 관광객의 입국을 제한하고 있다. 지난해 홍콩 방문객은 93.6% 감소한 약 360만 명으로 급감했다.

 

한편 데인 청 청장은 전 세계적으로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국경 간 여행은 최소 3~6개월 이상 재개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경 간 여행이 시작되더라도 조건부적으로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전 세계적인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팬데믹 상황이 여전히 매우 불안정하고 불가측성이 높아 팬데믹이 올해 내로 종식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코비드19 백신 접종이 바이러스 대규모 확산을 크게 완화할 것이다”고 밝혔다. 최근 몇 개월 전부터 많은 국가들이 코비드19 백신 접종을 시작했고 홍콩도 최근 시노박과 바이오엔테크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데인 청 청장은 “최소 3~6개월 이후 조건부 국경 간 여행이 점진적으로 허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부분 여행은 여전히 국내 여행을 중심으로 허용될 것이며 트래블 버블 협정 형태로 점진적으로 조건부 여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예시로 유럽연합(EU)을 들며, “유럽연합이 공동 경제권 내에서 국가 간 여행을 재개하기 위해 개인 백신 접종 증명서인 디지털 그린 패스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술적 어려움이 많다”고 덧붙였다.

 

홍콩은 지난해 말, 싱가포르와 트래블 버블을 시행하려고 했지만 11월에 홍콩에서 코로나바이러스 4차 확산이 거세지면서 결국 취소되었다. 그러나 바이러스 확산세가 안정을 찾기 시작하면서 최근 다시 트레블 버블 재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말, 에드워드 야우(Edward Yau) 상무부 장관이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코비드19 확진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싱가포르와 트래블 버블을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밝힌 바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지난 1일(월), 올해 말까지 코로나바이러스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섣부르고 비현실적이라고 밝히며 백신 접종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기본적인 방역대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628.4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6 홍콩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부동산 거래량 큰폭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5 홍콩 웨스턴 하버 터널 6월부터 통행료 인상…최대 8% 1997년 개통 이후 18번째 요금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4 홍콩 정부, 스마트업과 협력해 첨단 기술 공공 서비스 향상, 스마트 랩 개회식에서 로봇 택배, 나무 움직임 센서 등 선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3 홍콩 유치원 교사 주당 70시간 근무, 인력 부족 문제 직면 우려 행정 업무 증가로 2년 전보다 20시간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2 홍콩 IMD, 홍콩, 세계에서 가장 국가경쟁력 있는 국가 2위 유지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1 홍콩 하버프론트 산책로와 함께 친환경 보행자 육교 프로젝트 승인돼 갤러리·전망대 등 문화 공간 있는 인도교 조성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0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9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8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7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6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5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4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3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2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1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0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9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8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7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